골든아워 60분에 생사가 달린 목숨들, 그리고 그들을 지키려 애써온 사람들의 생생한 이야기!외상외과 의사 이국종 교수가 대한민국 중증외상 의료 현실에 대한 냉정한 보고서이자, 시스템이 기능하지 않는 현실 속에서도 생명을 지키려 애써온 사람들의 분투를 날 것 그대로 담아낸 『골든아워』 제1권. 2002년...
담아낸 『골든아워』 제1권. 2002년 지도교수의 권유로 외상외과에 발을 내딛으며 인생의 전환점을 맞이한 저자는 대한민국에 국제 표준의 중증외상 시스템을 정착하기 위해 지난한 싸움을 했고, 17년간 외상외과 의사로서 맞닥뜨린 냉혹한 현실, 고뇌와 사색, 의료 시스템에 대한 문제의식 등을 기록해왔다.
이...
“사람을 살리는 것, 그것이 우리의 일이다.”
단 한 생명도 놓치지 않으려는 이름 없는 사람들의 분투
외상외과 의사 이국종 교수가 눌러쓴 삶과 죽음의 기록이다. 저자는 17년간 외상외과 의사로서 맞닥뜨린 냉혹한 현실, 고뇌와 사색, 의료 시스템에 대한 문제의식 등을 기록해왔다. 때로는 짧게 때로는 길게 적어 내려간 글은 그동안 ‘이국종 비망록’으로 일부 언론에 알려졌다. 그 기록이 오랜 시간 갈고 다듬어져 두 권의 책(1권 2002~2013년, 2권 2013~2018)으로 출간되었고, 2024년을 맞이해 개정판으로 다시 독자를 찾아왔다. 이번 2024년 개정판에서는 기존에 2권에 수록되어 있던 인물지를 수정해 1권 후반부에 재배치하였다. 이국종 교수의 『골든아워』는 대한민국 중증외상 의료 현실에 대한 냉정한 보고서이자, 시스템이 기능하지 않는 현실 속에서도 생명을 지키려 애써온 사람들-의료진, 소방대원, 군인 등-의 분투를 날 것 그대로 담아낸 역사적 기록이다.
1권에서는 외상외과에 발을 들여놓은 후 마주친 척박한 의료 현실에 절망하고 미국과 영국의 외상센터에 연수하면서 비로소 국제 표준의 외상센터가 어떠해야 하는지 스스로 기준을 세워나가는 과정이 그려진다. 생사가 갈리는 위중한 상황에 처한 의료진과 환자, 보호자의 통렬한 심정, 늘 사고의 위험에 노출된 육체노동자들의 고단한 삶, 가정폭력, 조직폭력 등 우리네 세상의 다양한 면면이 펼쳐진다. 무엇보다도 아덴만 여명 작전에서 부상당한 석 선장을 생환하고 소생시킨 석 선장 프로젝트의 전말은 물론, 전 국민적 관심 속에 중증외상 치료 시스템의 획기적인 전기를 마련하고도 소중한 기회를 제대로 살리지 못한 대한민국의 의료 현실을, 슬픔을 꾹꾹 눌러 담은 담담한 어조로 묘사한다.
2권에서는 우여곡절 끝에 저자가 몸담은 대학병원이 권역별 외상센터로 지정된 후에도 국제 표준에 훨씬 못 미치는 의료 현실 속에서 고투하는 과정을 그렸다.
아직, 멈추지 않았다
삶과 죽음의 경계에서 희망을 찾는 사람들
‘회복’과 ‘희망’ 이것은 의사들이 환자들에게 자주 사용하는 단어다. ‘생명’ 이것은 의사들의 가슴에 새겨진 단어다. ‘최선’ 이것은 의사들의 머리와 몸속에 녹아들어 체득된 단어다. 의사는 자신의 최선이 환자에게 회복과 희망을 선물하지 못할 때 좌절하지만, 환자가 스스로 절망과 죽음을 선택하면 더 큰 충격과 혼란에 빠진다. 아픈 환자를 회복시키는 것은 의사의 몫이다. 하지만 아픈 사회를 회복시키는 것은 우리 모두의 몫이다. 의사의 고민은 그 두 가지를 구분하기 어렵다는 데 있다.
_본문 중에서
골든타임, 사고나 사건에서 인명을 구조하기 위한 금쪽같은 시간(1~2시간). 환자들이 생과 사의 갈림길에 놓이는 그 짧은 시간을 위해 고군분투하는 사람들이 있다. 의료진, 바로 의사들이다. 이 책은 삶과 죽음이 교차되는, 병원이라는 전쟁터에서 죽음과 맞서 싸우는 이들에 대한 기록이다.
1973년 10월 이스라엘은 이집트와 시리아로부터 기습적인 침공을 당했다. 이스라엘군은 전쟁초기의 참담한 손실에도 불구하고, 수적으로 절대 우세한 아랍군에 대항하여 싸워 승리하였다. 짧고 치열했던 욤키푸르 전쟁은 현대 전쟁사에 있어 중대한 한 획을 긋고 있다. 이 책은 당시 골란고원에서 싸웠던 이스라엘군 제77전차대대장 카할라니 중령과 여러 제대의 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