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중 여성잡지의 시원, 《신여성》 발간 100년
그때와 지금은 얼마나 다른가
한순간 경성 거리를 점령했다 사라진 ‘그 언니’들의 투쟁기
“지금부터 100여 년 전 일군의 여성이 거리에 등장한다. 수백 년 동안 집 안의 존재로서 목소리조차 울타리 밖으로 넘지 말아야 했던 여성들이 밖에, 거리에 등장하자 하나의 사건이 된다.”(7쪽) 단발과 뾰족구두, 교육받은 여학생과 신 직업부인. 근대 경성의 거리에 불현듯 등장해 기득 남성 세력을 아연 긴장시켰던 ‘신여성’에 대해 우리가 그리는 초상화다. 하지만 이것은 이 미스테리한 집단의 모든 면을 충실히 설명하고 있을까? 지금껏 신여성에 관한 논의는 나혜석, 윤심덕 등 소수 엘리트 신여성에 한하거나 혹은 그녀들의 개성적인 외양을 평가하는 데 그쳤다. 이 책의 초판 《신여성: 매체로 보는 근대 여성 풍속사》는 대중 여성잡지의 시원이라고 할 수 있는 《신여성》 속 글과 사진을 분석하여, 위 같은 당대 담론의 한계를 넘어 ‘신여성’ 집단을 다층적으로 복원하고자 시도한 결과였다. 하지만 그로부터 20여 년이 지난 지금. 또 하나의 질문이 떠오른다. “그때 그 많던 신여성은 어디로 갔을까?” 왜 우리는 그들의 이후 행보에 관해 궁금해하지 않을까? 잡지 《신여성》의 발간 100주년을 맞아, 개정판을 펴낸 이유도 이 새로운 질문에 답을 하기 위함이다.
초판 출간 후 20년이 흐르는 동안 한국 사회의 페미니즘 담론은 부지런히 변화하였고, 또 가려져 있던 여성의 역사 또한 다채롭게 드러났다. 이러한 현실에 발맞춰 낡은 논의들은 과감히 삭제하고, 현재 시점에 맞는 질문을 새로이 던지고 걸맞은 사진과 글을 덧붙였다. 그 결과 놀랍게도 100년 전 ‘그 언니’들의 투쟁기가 현재 여성들의 싸움과도 똑 닮아 있음이 선명히 드러났다. “그때와 지금은 얼마나 다른가”라는 질문 아래 일군의 여성들이 욕망을 드러내기 시작하고, 기득 세력에 의해 강력한 ‘백래시’의 피해자가 되며, 다시 가정과 기존의 직분으로 회귀하는 일련의 과정들을 세심히 발굴하여 펼쳐 보이는 데 집중했다.
결국 신여성은 화려한 도시의 모던걸, 거리의 침입자에서 ‘스위트 홈’의 파수꾼, 똑똑한 어머니, 능력 있는 워킹맘이 된다. 왜 그녀들은 이처럼 ‘막힌 출구’를 향해 나아갔을까? 9인의 저자는 그들의 행보를 보고 배움으로써 지금의 우리가 ‘진짜 출구’에 관한 힌트를 얻을 수 있음을 말한다. 이 책은 정희진의 추천사처럼 “여성의 역사뿐 아니라 남성의 역사를 새로 쓰는 일”이지만, “100여 년 전 우리 사회의 일상사, 정치경제, 문화에 대한 지식”을 담고 있는 것만으로도 읽을 가치와 재미를 담보한다.
“사회의 이중적 잣대, 강력한 여성혐오, 노동 기회의 원천 봉쇄 등으로 신여성은 ‘밖’에 자리하지 못하고 점차 도시의 거리에서 사라져갔다. 그 많던 신여성은 다 어디로 갔을까? 《신여성》 읽기는 당대와 지금 여기의 현실을 관통하는 문제의식을 구성하고 발전시키는 일이자, 100년 전 신여성을 통해 현재의 현실과 대결하는 일이다.”_머리말에서
전세계 식량부족 사태를 통해 자유시장 정책의 본질을 파헤친다!최초로 옥수수를 재배했던 멕시코, 모범적인 쌀 자급국가였던 필리핀이 수입쌀과... 세계적인 석학이자 탈세계화 운동의 지도자 월든 벨로가 『그 많던 쌀과 옥수수는 모두 어디로 갔는가(THE FOOD WARS)』를 통해 이 질문에 대해 답한다.
탐욕에 찌든 시스템에서 내 재정을 지키는 법 노동운동가에서 금융운동가로 변모한 저자가 실랄하게 비판한 금융 이야기 우리는 부자가 될 꿈에 부풀어서 돈 버는 일에 집중했다. 돈을 모으겠다고 재테크에도 기웃거렸다. 그러면서 소비와 지출로 노력을 보상받고 싶어 했다. 그렇게 살아온 결과는 참혹하다....
책으로부터 구원받은 한 소년이
세상 모든 책에 바치는 헌사
“그는 도대체 인간의 언어가 어떻게 해서
그렇게 아름다울 수 있는가를 깨달을 때까지,
마침내 그 구절의 필요성이 스스로 존중될 때까지 읽고 또 읽었다.”
- 루이스 세풀베다
책이라는 문명의 입석들에게 배운
삶의 모든 것
무언가 읽고 쓰는 것은 가장 인간다운 행위다. 책은 그 행위를 완성하는 궁극의 형식이자 내용이다. 이 책 《그 문장을 읽고 또 읽었다》는 오랫동안 문화전문기자로서 또 시인으로서 읽고 쓰는 일을 천형으로 여겨온 저자 허연이 ‘책 읽기’라는 제의에 바치는 헌사이자 애가다. 소설가 박상륭부터 영미 현대시의 아버지 W. H. 오든, 철학자 박이문, 시대를 앞선 페미니즘 전사 케이트 밀릿, 그리고 최초로 구름의 이름을 지은 루크 하워드까지 세상을 구하고 바꾸었던 이들의 빛나는 책과 문장을 소개한다. 책의 시대 끄트머리(?)일지도 모를 오늘날, 책에게 “유일하게 뭔가를 배웠으며, 유일하게 패배했고, 유일하게 고개를 숙였던” 한 소년의 비블리오그라피가 펼쳐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