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어떤 바이러스보다 치명적인 나르시시즘! 나르시시즘에 병들어가고 있는 사회를 구원할 단 하나의 책! 패륜녀와 발길질녀가 사는 나라! 2010년 5월, 대한민국의 인터넷 웹사이트는 한 대학생 때문에 떠들썩했다. 일명 ‘경희대 패륜녀’라 불린 그 여학생은 학교에서 일하는 환경미화원 아주머니께...
‘나를 사랑하는 법’
남이 준 상처보다 내가 만든 상처와 흉터가 더 깊고 아프다
베스트셀러 《천만 번 괜찮아》, 《치유하는 글쓰기》의 저자 박미라가 상처받은 나를 사랑하고 존중하는 법에 대해... 이 책은 자기를 온전히 이해하는 것에서 자기사랑이 시작된다고 강조하며 자신의 욕구 알기, 자신의 부정적...
당신은 있는 그대로 충분히 사랑받을 만한 존재다!
쉽게 상처받고 주눅드는 사람들을 위한 자기 회복의 심리학 『나는 왜 나를 사랑하지 못할까』. 《감정사용설명서》, 《왜 나는 우울한 걸까》 등으로 국내에서도 잘 알려진 독일의 심리상담가 롤프 메르클레의 신작으로, 낮은 자존감으로 고민하는 사람들을 위해 자존감 높이는 스물여섯 가지의 방법을 알려준다.
저자는 어린 시절 우리를 보호하기 위해 시작된 부모의 잔소리와 꾸짖음으로 인해 내면화된 내면의 비판자로부터 자유로워지고 행복해지기 위해 스스로 자신을 책임져야 한다고 말한다. 아울러, 더 나은 사람이 되기 위해 자신을 바꿀 필요는 없으며, 우리는 있는 그대로 사랑받을 만한 존재라고 강조한다.
‘당신은 누가 돌보죠?’
눈치 보기, 호감 얻기, 욕구 억누르기로 지쳐버린 당신
자신을 지지하고 존중하며 자존감을 회복하는 자기돌봄 솔루션
직장 상사, 친구, 가족의 눈치를 보느라 감정과 체력을 소비하다가 자주 녹초가 되곤 하는가. 자기 이야기를 신이 나서 하다가도 자랑같이 느껴져 위축되지는 않는가. 모든 상황을 잘 돌아가게 해야 한다는 생각에 자기 의견을 내기보다 남들을 관찰하고 조율하고 있지 않은가.
30년 경력의 심리치료사 낸시 콜리어가 심리적 압박감에 시달리는 현대인을 위해 효과적이고 치유력 강한 자기돌봄 방법을 제시한다. 전작 『나는 왜 생각을 멈출 수 없을까?』에서 생각의 부정적 속성을 밝히고 생각 중독에서 벗어나는 연습법을 제시했다면 이번 책에서는 여성들의 마음을 괴롭게 하는 고통의 원인을 다각도로 분석하고 지친 내면을 치유하는 방법을 알려준다.
책에 따르면 여성들이 고통받는 이유는 세상이 여성에게 눈치 보기, 호감 얻기, 욕구 억누르기를 끊임없이 강조하기 때문이다. 반대로 남성들은 성장 과정에서 자신에게 필요한 것을 당당하게 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배우며 남의 말에 신경 쓰기보다는 자신만의 길을 가라는 조언에 둘러싸인다. 분노를 표출하는 것이 강인함의 상징이라고 교육받으며 진취적인 태도로 여겨지기도 한다. 화를 내도 흠이 되지 않는 것이다. 가족, 학교, 사회, 미디어 속에 살아오는 동안 주입된 이 삶의 태도는 무의식적으로 내재화되어 여성들 스스로를 괴롭힌다. 여기에서 벗어나면 비난이 이어지고 평온해 보였던 일상에 금이 가기도 한다. 소속감을 유지하고, 인정을 받고, 호감도를 올리며, 안전을 지키기 위해 여성들은 불가피한 선택을 하는 것이다.
저자는 두렵더라도 이대로는 불행할 수밖에 없다는 것을 직시하고 사회적 통념에서 벗어날 용기를 내라고 말한다. 그것이 치유의 출발점이다. 저자는 많은 상담 사례를 통해 자신의 요구사항을 말하고, 마음에 들지 않으면 거절하고, 행복하지 않다고 솔직하게 표현하는 것부터 시작하라고 조언한다. 나아가 마음의 소리를 듣지 않고 음주, 운동, 쇼핑, 피부 관리, 건강식품 섭취 등으로 회피하는 것은 근본적인 치유를 어렵게 한다고 강조한다. 저자의 조언을 따라가다 보면 자신에게 집중하고 스스로를 지지하며 고통을 줄이는 길이 보일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