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콜로 마키아벨리의 《군주론》은 지도자의 도덕적 자질보다는 파격적인 통치의 기술과 권모술수를 더 강조하기 때문에 1531년 첫 출간된 이래 많은 논쟁을 불러일으킨 책이다. 이같이 정치(사실)와 윤리(가치)를 구분했다는 점에서 《군주론》은 근대 정치학의 시작이라고 본다. 《군주론》은 군주를 위한 거울 책자라고 했는데, 이 책은 우리 독자에게도 하나의 거울이 된다. 《군주론》을 읽는 독자는 이러한 욕망의 거울에 자연스럽게 자기 자신을 비추어 보게 된다. 기존에 《군주론》을 읽어온 독자들 중에는 나폴레옹, 레닌, 무솔리니 같은 통치자만 있는 게 아니라 평범한 사람들이 훨씬 더 많은데, 그들은 이 책에 대하여 매혹 혹은 반감을 느껴왔다. 이 책을 읽고 거기에 반응하는 방식에 따라 독자의 자아의식과 아이덴티티가 은연중 드러나게 된다. 바로 이것이 《군주론》을 하나의 문학 작품으로 읽을 수 있는 근거가 된다. 《군주론》을 거듭 읽으면, 우리는 마키아벨리에 대해서 더 많이 알게 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우리 자신에 대해서 더 많은 것을 알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군주론》은 정치학 책으로 읽을 수도 있지만 하나의 문학 작품으로 더 호소력이 있다는 것이다. 《군주론》은 서양의 문학적 전통이 많이 스며들어가 있어서 문학 작품으로 읽어도 전혀 손색이 없고, 읽는 사람에 따라 해석이 달라진다는 점에서 문학적 텍스트로 볼 수 있는 여지가 많다.
로마인들은 위기 때마다 왜 《영웅전》을 읽었을까?여러 강연과 저서를 통해 독자들에게 인문학적 영감과 감동을 불러일으켜온 연세대 김상근 교수는 『군주의 거울: 영웅전』을 통해 《영웅전》에 등장하는 그리스와 로마의 영웅들의 생애를 비교해서 살펴본다. 그리스의 철학적 성찰과 로마의 실천적...
이때 기록된 책이 크세노폰의 『키루스의 교육』, 헤로도토스의 『역사』, 투키디데스의... 그리고 이들 고전은 기원후 8세기, 카롤링거 왕조(Carolingian Dynasty) 시대에 군주나 봉건 귀족의 자제를 위한 리더십 교육 과정으로 재탄생한다. 새로 탄생한 왕자(Prince)가 마땅히 본받아야 할 거울...
군중과 권력, 그리고 인간의 본질에 대한 성찰!
노벨문학상 수상자 엘리아스 카네티가 풀어놓는 군중과 권력에 대한 통찰『군중과 권력』. 35년간의 치밀한 조사와 분석을 바탕으로 한 이 책은 군중의 본질을 새로운 각도에서 조명함으로써 인간사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의 토대를 마련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20세기의 대표적인 르네상스 지성으로 꼽히는 저자는 문학, 종교, 인류학, 심리학, 생물학 등을 넘나들며 군중과 권력을 둘러싼 보편적 '인간 조건'을 파악하고자 했다. 전반부에서는 군중의 다양한 형태를 분석하고 그 역학을 규명했으며, 후반부에서는 그런 군중이 어떻게 권력에 길들여지고 복종하는가를 밝히고 있다.
군중이 지닌 은밀한 힘의 정체를 파헤치다!『군중심리』는 인간 집단의 심리와 행동에 대한 최고의 분석서로 꼽히는 귀스타브 르 봉의 《군중심리》를 프랑스에 거주하며 30여 년째 프랑스어 전문 번역가로 활동하고 있는 이재형이 번역하여 새롭게 재탄생한 책이다. 귀스타브 르 봉이 짚어낸 군중심리와 행동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