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33개
-
Western Blotting2025.01.211. Western Blotting Western blotting은 sample 내 특정 단백질의 존재 여부나 크기, 양 등을 확인하는 실험법으로, 해당 단백질과 결합하는 antibody를 이용하여 단백질을 찾아내는 방식을 이용한다. 이 실험을 통해 western blotting의 과정과 원리를 이해할 수 있다. 2. SDS-PAGE SDS-PAGE는 SDS(Sodium Dodecyl Sulfate)로 coating 된 단백질을 2PAGE(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를 통해 크기에 따라 분리하는 ...2025.01.21
-
단백질 분석(SDS-PAGE & Fluorescence)2025.05.141. SDS-PAGE SDS-PAGE는 Sodium dodecyl sulfate - polyacrylamide gel eletrophoresis의 약자로, 5~250 kDa 사이의 단백질을 분리할 때 사용되는 방법입니다. SDS는 단백질에 결합하여 전하의 영향을 배제하고 크기에 의해 이동속도가 결정되도록 합니다. 또한 DTT와 같은 reducing agent는 단백질의 disulfide bond를 변성시켜 linear한 1차 구조로 만듭니다. SDS-PAGE 후 단백질을 확인하기 위해 Coomassie Briliant Blue, s...2025.05.14
-
[일반생물학실험] 전기 영동2025.01.021. 전기 영동 전기 영동은 단백질, 아미노산, 뉴클레오티드 등의 하전된 물질을 분리하거나 분석하는 데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단백질 분자는 표면에 양전하 또는 음전하를 띠고 있어, 전극을 설치하고 전압을 가하면 양극 또는 음극으로 이동하게 됩니다. 이동 속도는 입자의 전하량, 크기, 모양, 용액의 pH와 점성도, 다른 전해질의 농도 등 여러 요인에 따라 달라집니다. 전기영동법에는 이동계면 전기영동법, 띠 전기영동법, 불연속 gel 전기영동법, SDS-PAGE, agarose gel 전기영동법 등이 있습니다. 2. DNA 전기영동 D...2025.01.02
-
Gel 제조 (SDS-PAGE 실험을 위한 사전 준비) 보고서2025.01.131. 전기영동 전기영동은 DNA와 단백질과 같은 생체 고분자들을 분리 및 정제하는 방법입니다. 전기영동 원리는 음전하를 띄고 있는 생체고분자(DNA/단백질)들에게 전기적 힘(-음전하 ->+양전하)을 가해주어, 물질이 사이즈에 따라 분리되는 것입니다. DNA 전기영동과 단백질 전기영동(SDS-PAGE)의 차이는 DNA는 음전하를 띄고 있어 Agarose(한천) Gel에서 관찰할 수 있지만, 단백질은 양, 음전하를 갖고 있어 SDS-sample buffer와의 혼합이 필요하며 Poly Acrylamide gel에서 관찰할 수 있습니다....2025.01.13
-
닭 배아 관찰 및 단백질 분석 보고서2025.01.021. 닭 배아 발달 닭 배아의 발달 과정을 단계별로 설명하였다. 초기 세포 분열부터 시작하여 gastrulation, 신경관 및 심장 형성, 장기 발달 등 닭 배아의 발달 단계를 자세히 기술하였다. 특히 hox 유전자가 닭 배아의 신체 구조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2. SDS-PAGE 전기영동 SDS-PAGE 기법의 원리와 방법을 설명하였다. SDS가 단백질의 3차 구조를 1차 구조로 풀어내고 균일한 음전하를 부여하여 단백질을 크기별로 분리하는 과정을 자세히 기술하였다. 또한 전기영동 실험 과정을 단계별로 제...2025.01.02
-
SDS-PAGE2025.01.121. SDS-PAGE SDS-PAGE는 단백질을 분리하는 기술로, 전기영동 이동성을 이용한다. 단백질은 SDS 처리를 통해 균일하게 음전하를 띠게 되어 분자량에 따라 분리될 수 있다. 이 실험에서는 단백질 발현에 IPTG의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으나 이전 실험 결과의 불확실성으로 인해 IPTG의 영향을 명확히 알기 어려웠다. 단백질 염색 결과를 통해 약 45 kDa 크기의 단백질이 분리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2. Discontinuous Buffer System Discontinuous buffer system은 stackin...2025.01.12
-
생명과학실험1 SDS-PAGE & Coomassie blue Staining2025.01.131. SDS의 역할 및 원리 SDS(sodium dodecyl sulfate)는 계면활성제의 일종으로 단백질이나 핵산의 구조를 깨뜨려 선형으로 만들어주는 역할을 한다. 아미노산의 소수성 부분과 hydrophobic interaction을 하며 결합하는데, 아미노산 2개당 1개 정도 binding하여 단백질을 변성한다. 2. Gel에 들어가는 시료의 역할 ① Tris-HCl: Stacking gel과 Resolving gel의 pH를 다르게 하여 각 gel에서 Glycine의 charge 다르게 조정해준다. 또한 Cl-를 첨가해주어서...2025.01.13
-
SDS-PAGE and Protein Analysis2025.01.211. SDS의 역할 및 SDS-PAGE 원리 SDS(Sodium Dodecyl Sulfate)는 계면활성제로서 친수성과 소수성 부분을 모두 지니고 있으며, 단백질을 변성할 수 있는 물질이다. SDS-PAGE는 이러한 SDS의 특성을 토대로 하여 단백질을 분자량에 따라 band 형태로 분리하는 실험이다. 단백질은 그 구조와 전하, 분자량이 모두 다르기 때문에 SDS를 통해 단백질의 구조와 전하를 모두 일정하게 한 뒤 분자량에 의해서만 분석을 진행한다. 2. Gel에 들어가는 시료의 역할 Acrylamide와 N,N'-Methylene...2025.01.21
-
생화학실험 단백질의 정성분석2025.05.061. Western blot Western blot은 단백질을 폴리아크릴아마이드 겔에서 전기영동을 이용하여 분리하고, 니트로셀룰로오스 membrane에 옮긴 후 찾고자 하는 단백질의 항체(1차 항체)와 결합시킨 후 이 항체와 반응하는 2차 항체를 이용하여 밴드를 형상화하는 기술이다. 이 기술은 크기별 분리, 단백질을 고체 지지체로 이동, 1차 및 2차 항체를 사용하여 표적 단백질을 표시하여 시각화하는 3가지 요소를 사용한다. 2. SDS-PAGE SDS-PAGE는 질량에 의한 단백질 분리가 가능한 전기 영동법이다. 폴리아크릴아마이드...2025.05.06
-
면역학 SDS-PAGE 실험 레포트2025.01.031. SDS-PAGE SDS-PAGE는 단백질 분리 기술로, 전기 영동 이동성을 이용한 기술입니다. SDS는 단백질에 결합하여 일시적으로 음전하를 띄게 하고, 분자량에 따라 각각의 단백질을 분리할 수 있습니다. SDS-PAGE는 stacking gel과 running gel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온들의 이동속도 차이로 인해 단백질들이 동일한 속도로 내려가게 됩니다. 이를 통해 단백질의 유무와 분자량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Coomassie Blue Staining Coomassie Brilliant Blue G250은 단백질을...2025.0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