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381개
-
전자회로실험_A+레포트_Diode Rectifier2025.01.131. 반파정류회로 반파정류회로는 다이오드와 저항을 직렬 연결한 회로에 교류전원을 연결한 회로이다. 다이오드가 있을 경우에는 양의 주기에서는 순방향 바이어스가 되고 음의 주기에서는 역방향 바이어스가 된다. 이러한 이유로 입력전원의 양의 값을 정류해서 직류로 변환시킨다. 2. 전파정류회로 전파정류회로는 중간탭이 있는 변압기를 이용하여 180° 위상차가 나는 두 교류신호를 생성한다. 다이오드의 정류 작용으로 (+), (-) 파형 모두 통과하여 한쪽 방향으로 흐르도록 구성한 회로이다. 변압기를 사용한 이유는 실험실 220V의 전원을 적절한...2025.01.13
-
[A+]전자회로설계실습 예비보고서 12025.01.041. 센서 측정 및 등가회로 센서의 출력 전압을 오실로스코프로 측정한 결과, peak to peak 전압이 200 mV였고 센서의 부하로 10 kΩ 저항을 연결한 후 10 kΩ 저항에 걸리는 전압을 측정한 결과 peak to peak 전압이 100 mV였다. 이를 통해 센서의 내부저항이 10 kΩ임을 알 수 있으며, 센서의 Thevenin 등가회로를 구할 수 있다. 또한 Function Generator의 출력을 100 mV로 설정하면 실제 출력전압의 peak to peak 전압이 200 mV가 출력된다. 2. Op amp를 사용한...2025.01.04
-
일반 물리학 및 실험 2 - 아두이노를 이용한 회로 꾸미기2025.01.271. 아두이노 회로 구성 이 실험에서는 아두이노 보드, 회로 조립판, 전자 부품들을 사용하여 간단한 회로를 구성하는 방법을 다룹니다. LED 점등, 밝기 조절, 조도 센서 활용 등의 실험을 통해 아두이노를 이용한 기초 회로 제작 기술을 익힐 수 있습니다. 2. LED 제어 실험 1과 2에서는 아두이노를 이용하여 LED의 점등, 깜빡임, 밝기 조절 등을 구현합니다. 코드의 delay() 함수 값을 변경하여 LED의 동작 속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다색 LED를 사용하면 다양한 색상 표현도 가능합니다. 3. 조도 센서 활용 실험 3에서...2025.01.27
-
트랜지스터 결과보고서2025.01.051. 트랜지스터 스위칭 기능 트랜지스터 스위칭 회로는 작은 베이스 전류로 큰 콜렉터 전류를 스위칭할 수 있는 회로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 회로에서 트랜지스터의 콜렉터는 전류를 흡입하는 기능이므로 전류를 출력할 수 없다. 사용법은 제어하고 싶은 것의 플러스쪽을 전원에 연결하고 마이너스쪽을 트랜지스터의 콜렉터에 연결한 후, 베이스 전류를 ON/OFF하면 부하의 전류를 ON/OFF할 수 있다. 2. 트랜지스터 스위칭 동작원리 트랜지스터의 이미터와 컬렉터 간을 도통 상태로 하려면 베이스 전류 IB가 흐르게 하면 된다. 이를 반대로 생각...2025.01.05
-
다이오드의 응용 실험 보고서2025.01.021. 정류회로 정류회로는 다이오드 응용의 가장 간단한 예이다. 다이오드의 전류-전압 특성곡선을 이상화하면 다이오드는 양단에 걸리는 전압의 극성에 따라 단락이 되기도 하고 개방이 되기도 한다. 반파 정류회로는 입력신호가 양인 경우만 취하고 음일 때는 버린다. 그러나 출력 전압 V_L도 입력 전압 v_i와 마찬가지로 주기함수이므로 푸리에 급수로 전개할 수 있다. 1. 정류회로 정류회로는 교류(AC) 전압을 직류(DC) 전압으로 변환하는 중요한 전자 회로입니다. 이를 통해 다양한 전자 기기와 시스템에서 안정적인 전원 공급이 가능해집니다....2025.01.02
-
전자회로실험 A+ 5주차 결과보고서(Bipolar Junction Transistor Characterization)2025.05.101. Bipolar Junction Transistor (BJT) BJT는 1948년 윌리엄 쇼클리에 의해 발명되었으며, 최초로 대량 생산된 트랜지스터입니다. BJT의 물리적 특성을 이해하는 것은 그 동작과 응용을 이해하는 데 핵심적입니다. 이 실험에서는 BJT의 4가지 동작 영역을 탐구하고 DC 전류 이득, Early 전압과 같은 특성값을 결정합니다. 실험에 사용된 트랜지스터는 NPN 소자인 2N3904입니다. 2. BJT 동작 영역 분석 실험에서는 VB와 VC를 변화시키면서 IC, β 등을 측정하여 BJT의 동작 영역을 확인했습...2025.05.10
-
중앙대학교 전자회로설계실습 예비보고서62025.01.111. Common Emitter Amplifier 설계 이 보고서는 50Ω, 5kΩ, 12V인 경우, β=100인 NPN BJT를 사용하여 이 kΩ 단위이고 amplifier gain(Av)이 -100V/V인 증폭기를 설계, 구현, 측정, 평가하는 내용을 다루고 있습니다. 설계 과정에서 Early Effect를 무시하고 이론부의 Overall Voltage Gain 식을 사용하여 부하저항 RL에 최대전력이 전달되도록 하는 방법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또한 Emitter 저항을 사용한 Common Emitter Amplifier의 설계...2025.01.11
-
전자회로설계실습 5번 결과보고서2025.01.201. BJT와 MOSFET을 사용한 구동회로 이번 실험에서는 BJT와 MOSFET을 이용하여 TTL 레벨이 전압(5V)으로 동작하는 RTL switch회로를 설계, 구현하여 relay, 또는 LED를 구동하고 그 동작을 측정, 평가하였습니다. 부하가 emitter에 연결된 LED구동회로, 부하가 BJTd 인버터에 연결된 LED구동회로, MOSFET를 이용한 LED구동회로 등 3가지 회로를 구현하고 각 회로의 동작을 분석하였습니다. 회로 구현 과정에서 발생한 오차와 그 원인을 분석하였으며, MOSFET의 동작 원리와 RG의 역할 등을...2025.01.20
-
아주대학교 A+전자회로실험 실험7 결과보고서2025.05.091. Class-A 증폭기 Class-A 증폭기는 적당한 바이어스가 걸릴 때 신호의 최대 진폭에서 항상 모든 트랜지스터가 작동한다. 신호 파형의 distortion이 가장 작지만, 입력신호에 상관없이 항상 전류가 흐르기에 전력 효율이 낮다. 실험 결과를 토대로 이를 확인할 수 있다. DC bias의 측정값들이 실험 2, 3과 비교하면 큰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class-A 증폭기는 항상 bias 전류가 걸려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전력 효율이 좋지 않다. 출력파형은 입력과 마찬가지로 삼각파인데, (+), (-) 신호의 반전이 생...2025.05.09
-
[A+] 중앙대학교 전자회로 설계실습 예비보고서 10. Oscillator 설계2025.04.291. Oscillator 설계 이 보고서는 OP-amp를 이용한 Oscillator(신호 발생기)의 설계 및 측정을 다루고 있습니다. 주요 내용은 positive feedback의 개념 이해, 피드백 회로의 parameter 변화에 따른 신호 파형 학습입니다. 설계 과정에서 OrCAD PSPICE를 사용하여 회로도를 작성하고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으며, 이론값과 시뮬레이션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습니다. 또한 feedback factor(β)와 feedback 저항(R)의 영향을 분석하였습니다. 1. Oscillator 설계 Oscill...2025.04.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