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4개
-
반도체2024.11.141. 반도체 기초 1.1. 반도체 정의 반도체는 전기 전도도에 따라 도체, 부도체, 반도체로 구분할 수 있다. 반도체는 전기가 잘 통하는 도체와 전기가 전혀 통하지 않는 부도체의 중간 정도의 전기 전도도를 가지는 물질을 말한다. 반도체는 일반적으로 금속에 비해 전기 전도도가 낮지만, 외부 환경에 따라 전기 전도도를 인위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특성이 있다. 이러한 반도체의 특성을 이용하여 다양한 전자 소자를 만들어낼 수 있다. 따라서 반도체는 전자 기기 및 정보 통신 기술의 핵심 재료로 활용되고 있다. 1.2. 전도체, 부도체, 반...2024.11.14
-
파운드리2024.11.151. 파운드리 산업 개요 1.1. 파운드리의 개념 파운드리(foundry)는 반도체 위탁생산 업체이다. 펩리스(fabless) 기업의 반도체 설계만을 전문으로 하는 것과 달리, 파운드리 기업은 펩리스 기업의 설계를 위탁받아 전문적으로 반도체 생산에 집중한다. 대표적인 파운드리 기업으로는 삼성전자, TSMC, 글로벌 파운드리, 인텔 등이 있다. 파운드리 회사가 반도체 설계를 배제하고 반도체 생산만을 담당하는 이유는 첫째, 반도체 제조업체 자체의 설계 능력이 전혀 없다는 점과 둘째, 기밀 유지에 민감한 반도체 업계의 특성이 존재하여...2024.11.15
-
트랜지스터 MOSFET의 작동원리2025.04.251. 서론 1.1. CMOS 이미지 센서의 원리 CMOS 이미지 센서는 CMOS를 이용한 고체 촬상 소자이다. CMOS는 PMOS와 NMOS 트랜지스터를 가지고 구현하며, 이를 통해 저 전력을 실현할 수 있다. 따라서 CIS는 이러한 CMOS 기술을 이용한 화상 정보 감지기이다. CIS는 CMOS를 사용함으로써 수율이 매우 높고, 공정 개선이 용이하며 이미 다른 제품들에도 같이 사용되기 때문에 규모의 경제를 실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CMOS의 특징 중 하나였던 전력 소모가 매우 작다는 점 또한 CIS의 장점이 된다. ...2025.04.25
-
식각공정2025.05.241. 반도체 공정 개요 1.1. 반도체 기술의 발전 반도체 기술의 발전은 정보화 사회의 근간이 되는 핵심 기술로, 지속적인 혁신과 발전을 거듭해 왔다. 반도체 제품의 고집적화와 다기능화가 이루어지면서 기존 반도체 소자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새로운 소자 구조와 제조 공정이 속속 등장하고 있다. 반도체 기술은 1960년대 이후 규모의 경제 실현과 생산성 향상을 위해 집적도를 지속적으로 높여왔다. 집적도 향상은 반도체 소자의 크기를 줄이는 미세화와 더불어 트랜지스터의 수를 늘리는 다기능화로 이루어져 왔다. 미세화를 통해 단위 면적당 ...2025.05.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