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21개
-
FMC CRRT2025.01.261. 서론 1.1. CRRT(Continuous Renal Replacement Therapy)의 개념 CRRT(Continuous Renal Replacement Therapy)는 신장기능이 손상된 환자에게 하루 24시간동안 지속적으로 신 대체 요법으로 체외순환을 통해 혈액을 정화하는 치료이다. CRRT는 주로 신장 손상으로 인한 급성신부전 환자, 특히 다발성 장기 부전증이 동반되어 혈역동 상태가 불안정한 중환자에게 시행된다. CRRT는 수분과 용질에 대한 투과성이 높은 여과막을 사용하여 효과적으로 수분과 용질을 제거할 수 있으...2025.01.26
-
CRRT2024.10.131. 지속적 신대체요법(CRRT)의 개요 1.1. 정의 CRRT는 확산, 대류, 초여과의 원리를 이용하여 신기능을 대처하기 위한 혈액투석의 한 형태로 24시간 이상 용질을 서서히 지속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치료방법이다. 일반적으로 혈역학적으로 불안정한 중증의 급성 신손상 환자를 치료하기 위해 사용되며, 장시간에 걸쳐 서서히 노폐물과 잉여수분을 제거한다. 1.2. 원리 1.2.1. 반투막 반투막은 미세한 세공을 가진 얇은 막으로, 현미경으로 관찰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의 세공을 가지고 있다. 이 반투막을 경계로 하여 혈액과 투석액...2024.10.13
-
AKI CRRT2025.02.131. 서론 1.1. AKI CRRT 정의 및 소개 CRRT는 중환자실에서 주로 사용되는 신장 대체 요법(RRT)의 한 형태이다. CRRT는 느리고 부드러운 연속 체외 혈액 정화로, 신장의 정화 기능을 복제하도록 고안된 기계이다. 일반적으로 체액 과부하를 부드럽게 수정하고 과도한 요독 독소를 제거하기 위해 24시간에서 며칠에 걸쳐 시행된다. 중환자에서 치료되지 않은 중증 급성 신장 손상(AKI)은 높은 사망률과 관련이 있으며, CRRT는 AKI 관리를 위한 더 나은 방법으로 간주되고 있다. CRRT의 효과는 주로 정확한 부피 조절,...2025.02.13
-
투석환자간호2025.03.111. 투석환자 간호 1.1. 만성 신부전의 증상과 진단 만성 신부전은 신장이 정상적인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여 체내 노폐물과 수분을 제거하지 못하는 질환이다. 거의 모든 장기에서 다양한 증상이 나타나는데, 신경계 증상(감각 및 운동 장애, 피로 증가, 졸음, 의식 장애, 혼수), 심혈관계 증상(고혈압, 동맥 경화증), 호흡기계 증상(폐부종, 흉수), 소화기계 증상(식욕 감퇴, 구역질과 구토, 복수), 피부의 소양증, 빈혈, 출혈 경향, 부갑상선기능항진증, 고환 및 난소 기능 저하, 면역 기능 저하 등이 있다. 만성 신부전을 진단하기...2025.03.11
-
투석환자간호2025.02.171. 서론 1.1. 투석환자간호 개요 투석환자 간호는 신부전으로 진행된 만성신부전 환자의 생명을 연장하고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이루어진다. 만성신부전은 신장이 더 이상 정상적인 기능을 하지 못하는 말기 신질환의 상태로, 노폐물을 제거하지 못하여 전신 증상이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전문적인 신대체요법인 혈액투석, 복막투석, 지속적 신대체요법(CRRT) 등을 통해 노폐물 제거와 전해질 균형을 유지하여 합병증을 예방하고 건강한 삶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더불어 자가관리 교육과 투석 방법 선택에 대한 고려 등을 통...2025.02.17
-
crrt 환자 대상 교육2025.03.241. crrt 환자 대상 교육 1.1. 급성 신부전의 병태생리 급성 신부전이란 신장 기능이 수시간에서 수일에 걸쳐 급격하게 저하되는 것이다. 신장 기능 저하의 결과로 신체 내에 질소 노폐물이 축적되어 혈액 내에 고질소혈증이 일어나고, 체액 및 전해질 균형에 이상이 생긴다. 급성 신부전의 주요 원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신장 자체에는 이상이 없지만 전반적인 신체기능 저하로 인해 신장으로 가는 혈액이 부족한 경우이다. 이는 출혈, 구토, 설사, 저혈압, 심부전, 신독성 소염제 사용 등으로 인해 발생한다. 둘째, 신장 자체에 이상...2025.03.24
-
울혈성심부전 간호진단2025.03.221. 울혈성심부전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1.1. 가스교환장애 심박출량 감소로 인한 산소 공급 부족과 관련된 가스교환장애(Impaired Gas Exchange)이다. 심박출량 감소는 혈액과 산소가 충분히 공급되지 않아 폐에서의 가스 교환을 방해하고, 이로 인해 산소 부족과 호흡 곤란이 나타나게 된다. 산소 공급은 환자가 산소 부족을 극복하고 심박출량을 증가시켜 가스교환 장애를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심호흡과 기침 기술을 교육하여 환자가 폐의 가스를 효과적으로 교환하고 가래를 배출할 수 있도록 돕는다. 이를 통해 호흡 상태를 개선하...2025.03.22
-
저체온요법2025.03.291. 저체온요법 1.1. 정의 및 적응증 저체온요법은 심정지로부터 순환회복이 되었으나, 혼수상태인 환자를 경도(32~34℃)의 저체온 상태로 일정 시간동안 유지함으로써 뇌손상을 치료하는 방법이다. 그 목적은 체온을 내리는 것에 의해 생체의 대사 및 산소소비량을 감소시켜, 장기의 저산소상태나 혈류차단에 견딜 수 있는 시간을 연장하는 것이다. 적응증으로는 심정지후 뇌부종 치료, 뇌수술, 심장수술 등이 있다. 외부 냉각법과 내부 냉각법을 각각 또는 함께 사용하여 저체온의 유도 및 유지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 유도기에는 가능한 빠른...2025.03.29
-
패혈증 낙상위험성2025.03.091. 서론 1.1. 사례 선정의 의의 실습을 하면서 1시간마다 활력징후와 소변량을 체크할 때 소변량이 0이고 CRRT와 Ventilator를 달고 있는 환자를 볼 수 있었다. EMR에 접속하여 MICU에 입원 중인 환자 리스트를 확인해보니 대부분 노인 환자들이었다. 그중 나이가 53세로 가장 젊은 환자가 이 환자였다. 이 환자의 경우가 어떤 증례인지 궁금하였고, 적용 중인 치료기계에 대해서도 공부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여 이 환자를 대상자로 선정하게 되었다. 1.2. 문헌고찰 패혈증(sepsis)은 미생물에 감염되어 전신에 심...2025.03.09
-
수술후 환자 성찰일지2024.10.041. 실습일지 1.1. 체위변경 체위변경은 환자의 건강 상태를 사정하고 압박 부위의 혈행 및 피부 상태를 확인하며 욕창 예방을 위해 주기적으로 실시하는 간호 활동이다. 간호사들은 환자를 돌려눕히고 자세를 교정해주며 피부와 근육을 살펴 환자의 전반적인 상태를 파악한다. 구체적으로 간호사들은 먼저 손소독을 한 후 폴리 장갑을 착용한다. 그리고 둘씩 팀을 이루어 왼쪽에서 환자를 돌려눕히고 오른쪽에서 피부 상태를 사정한다. 이후 혈액 순환을 원활히 하도록 이불이나 베개로 다리, 발목, 엉덩이 등을 받쳐준다. 이러한 체위변경은 단순...2024.1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