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9개
-
micu 실습일지2024.09.181. 중환자실 실습 경험 1.1. 심정지와 관련된 질환 심정지와 관련된 주요 질환으로는 급성심근경색증, 심장성 쇼크, 심실세동, 심실빈맥 등이 있다. 급성심근경색증은 관상동맥이 갑자기 막혀 심근에 허혈이 발생하여 심근 괴사가 일어나는 질환이다. 이로 인해 심장의 펌프 기능이 저하되면서 쇼크 상태에 빠질 수 있다. 심실세동은 심실근육이 무질서한 전기적 활성을 보이는 상태로, 심장이 효과적으로 수축하지 못해 혈액 순환이 정지되는 심정지 상태를 유발한다. 심실빈맥은 심실의 불규칙한 빠른 박동으로, 효과적인 심장 수축을 방해하여 결국 심...2024.09.18
-
중심정맥관 이해하기2024.09.121. 중심정맥관과 중심정맥영양 지원 방법 1.1. 중심정맥관의 유형 1.1.1. 쇄골하중심정맥 (또는 경정맥) 중심정맥관 중심정맥관은 크게 말초 삽입 중심정맥관, 터널형 카테터, 매립형 포트로 구분된다. 쇄골하중심정맥 (또는 경정맥) 중심정맥관은 주로 쇄골하정맥 또는 경정맥을 통해 삽입되는 카테터이다. 이는 침상에서 삽입할 수 있지만, 장기간 사용을 위해서는 외과적으로 삽입한다. 쇄골하중심정맥 카테터는 보행 시 움직임이 자유롭지만, 기흉의 위험이 있고, 삽입 후 짧은 호흡, 흉통, 저혈압, 빈맥, 기침, 불안과 같은 증상이 나타...2024.09.12
-
중심정맥관 간호2024.09.231. 중심정맥관이란? 1.1. 정의 중심정맥관은 신체의 중심에 위치한 큰 정맥에 삽입하는 카테터로, 쇄골하정맥, 경정맥, 대퇴정맥 등 팔의 대정맥에 삽입하여 수액이나 약물을 주입하는 방법이다. 카테터의 끝부분은 상대정맥이나 심장의 우심방에 위치한다. 중환자실, 병실, 외래는 물론 가정과 장기요양 시설에서도 사용되고 있으며, 중심 정맥을 통해 다양한 종류의 용액과 약물을 주입할 수 있고, 혈액 성분과 영양수액을 줄 수 있다. 또한, 중심 정맥을 통해 혈역학적 감시 즉 중심정맥압(CVP)을 측정할 수 있고 혈액채취도 가능하다. 모든 ...2024.09.23
-
picc 실습 일지2024.09.291. 간호 실습 일지 1.1. 실습 내용 1.1.1. 심정지 및 주요 질환 관리 심정지 및 주요 질환 관리는 응급상황에서 신속하고 적절한 대응이 필요하다. 먼저 심정지 환자의 경우 기도 확보, 인공호흡, 가슴압박 등의 심폐소생술을 시행하여 조직으로의 산소 공급을 유지해야 한다. 또한 심근경색, 폐렴, 급성 호흡곤란 증후군 등의 주요 질환에 대해서도 환자의 상태를 신속히 파악하고 필요한 처치를 신속히 수행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다양한 임상 증상에 대한 정확한 사정과 즉각적인 의사소통이 필요하다. 응급상황에서 정확한 관찰과 신속...2024.09.29
-
picc 실습 일지picc 채혈2024.09.291. 말초 삽입 중심 정맥관(PICC) 1.1. 개요 PICC(말초 삽입 중심 정맥관)는 말초 정맥을 통해 중심 정맥으로 관을 삽입하는 중심정맥관의 일종이다. PICC는 다른 중심정맥관에 비해 길이가 길지만 시술이 간단하고 부작용이 적으며, 수주에서 6개월간 유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PICC는 말초정맥인 팔의 척측피정맥, 주 피 정맥, 요측 피정맥을 천자해 상대정맥이나 쇄골하 정맥까지 삽입된다. 따라서 다른 중심정맥관에 비해 길이가 길다. 이를 통해 중심정맥압의 측정, 대량의 수액 및 약물 투여, 항암 약물 투...2024.09.29
-
정맥영양2024.10.281. 중심정맥영양 지원 1.1. 중심정맥관의 유형 1.1.1. 말초삽입 중심정맥관(PICC) 말초삽입 중심정맥관(PICC)은 척골측 피부정맥, 주정중피정맥, 요골측피부정맥, 상완정맥과 같은 대상자의 말초정맥을 통해 삽입되며, 카테터의 끝은 상대정맥까지 위치하게 된다. PICC는 길이가 약 50~60cm로 길지만 시술이 간단하고 3~12개월까지 사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침상 옆에서 삽입할 수 있어 혈소판 수가 적거나 출혈 위험성이 높은 환자에게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즉, PICC는 혈소판 감소증이나 출혈 경향이 ...2024.10.28
-
중심정맥관 종류2024.11.191. 중심정맥관(Central Venous Catheters, CVC) 1.1. 정의 및 목적 중심정맥관(Central Venous Catheters, CVC)은 경정맥, 쇄골하 정맥을 통해 관을 삽입하여 상대정맥이나 우심방 끝에 위치하게 하는 의료기구이다.""중심정맥관의 주요 목적은 중심정맥압(CVP) 측정, 혈액투석을 위한 혈관 접근로 확보, 말초정맥으로 주입하기 어려운 약물이나 고농도 수액의 투여, 반복적인 정맥주사 및 채혈을 위한 혈관 확보 등이다."" 1.2. 적응증 중심정맥관(CVC)의 주요 적응증은 다음과 같다. 첫...2024.11.19
-
카테터 종류2024.12.191. 혈관 카테터 종류 1.1. 말초정맥 카테터 (Intravenous catheter) 말초정맥 카테터는 일반적으로 손, 상박 등에 삽입하며 최대 4일까지 유지가능하다. 정맥주사에 흔히 사용되며, 수혈, 수액/약물 주입, 조영제 주입을 위해 사용된다. 혈류감염을 잘 일으키지는 않으나 장기간 사용 시 정맥염이 나타날 수 있다. 카테터의 gage 숫자가 작을수록 바늘크기가 굵고 길어진다. 18G 카테터는 수술전 환자, 수혈 환자, CT, MRI 환자에게 적용되며 응급실에서 주로 사용된다. 24G 카테터는 가장 얇고 짧아서 단순 약물...2024.12.19
-
PICC 간호2024.09.231. PICC(말초삽입 중심정맥관) 관리 및 간호 1.1. PICC의 정의 및 특성 PICC(말초삽입 중심정맥관)는 말초정맥(Antecubital space나 Upper arm)에 삽입되어 카테터 끝이 상대정맥(Superior vena cava)에 위치하는 중심정맥관이다. 이를 통해 항생제치료, 항암화학요법, 총정맥영양 등을 4일에서 6개월까지 장기간 시행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4~8주동안 사용할 것을 권장하지만, 염증만 없다면 5개월까지 사용하는 병원도 있고, 2주~최대 2개월까지 사용하는 병원도 있다. PICC는 상대정맥과 ...2024.09.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