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7개
-
수술후 환자 성찰일지2024.10.041. 실습일지 1.1. 체위변경 체위변경은 환자의 건강 상태를 사정하고 압박 부위의 혈행 및 피부 상태를 확인하며 욕창 예방을 위해 주기적으로 실시하는 간호 활동이다. 간호사들은 환자를 돌려눕히고 자세를 교정해주며 피부와 근육을 살펴 환자의 전반적인 상태를 파악한다. 구체적으로 간호사들은 먼저 손소독을 한 후 폴리 장갑을 착용한다. 그리고 둘씩 팀을 이루어 왼쪽에서 환자를 돌려눕히고 오른쪽에서 피부 상태를 사정한다. 이후 혈액 순환을 원활히 하도록 이불이나 베개로 다리, 발목, 엉덩이 등을 받쳐준다. 이러한 체위변경은 단순...2024.10.04
-
외상성 지주막하뇌출혈 간호진단2024.08.28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OO대학교병원 TICU는 외상중환자실로 중증의 외상환자들이 입원하여 24시간 체제로 집중적으로 치료간호를 하는 병동으로 대부분 외상으로 인해 입원하는 경우가 다반수이다. TICU의 대부분의 환자들은 외상으로 인한 뇌 손상으로 SAH 진단명을 가지고 입원해 있는 환자들이 많아 SAH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알아보고 이에 대한 간호를 알아보고자 하여 연구하였다""라고 볼 수 있다. 2. 문헌고찰 2.1. 정의 지주막하 공간은 비교적 넓은 공간으로, 뇌의 혈액을 공급하는 대부분의 큰 혈관이 지...2024.08.28
-
의식수준저하와 관련된 낙상위험성2024.09.251. 간호진단: 의식수준 저하와 관련된 낙상위험성 1.1. 간호 사정 1.1.1. 주관적 자료 "대상자는 "여기가 어디에요." "잘 모르겠어요..."라며 장소와 시간에 대한 지남력이 저하된 모습을 보였다. 또한 보호자는 "갑자기 사람이 안 하던 헛소리를 하더니만 이렇게 정신이 없네."라고 말하며 대상자의 혼돈 증상을 호소했다." 1.1.2. 객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는 다음과 같다. 대상자는 Dx: SDH(subdural hemorrhage)를 진단 받았으며, 대부분 Drowsy mentality 상태이다. 대상자를 깨워 대화가...2024.09.25
-
icp control 간호2025.03.151. ICP(Intracranial Pressure) 관리 1.1. ICP 정의 및 정상 범위 ICP(Intracranial Pressure) 정의 및 정상 범위 두개강 내부의 뇌(70-80%), 혈액(4-10%), 뇌척수액(9-10%)으로 구성되어 있는 두개내압은 정상적으로 5-15mmHg의 범위를 유지한다. 이는 뇌실질의 정상적인 기능을 위해 적절한 혈류와 산소 공급이 이루어지기 위한 수준이다. 정상 두개내압 범위를 벗어나 상승하거나 감소하면 뇌의 손상을 초래할 수 있다. 1.2. ICP 상승 원인 두개내압(ICP)은 수술,...2025.03.15
-
icp control 간호2025.03.151. ICP 모니터와 ICP 상승 환자 간호 1.1. ICP의 정의와 정상 범위 두개내압(intracranial pressure, ICP)은 뇌(70-80%), 혈액(4-10%), 뇌척수액(9-10%)으로 구성된 두개골 내부의 압력을 의미한다. 정상적인 두개내압의 범위는 5-15mmHg 사이이다. 1.2. ICP 상승의 원인 수두증이나 뇌경색, 종양, 감염 등으로 인해 두개강 내 용적이 증가한다. 또한 뇌혈류량 증가, 뇌척수액 생성 증가 및 흡수 장애 등으로 인해서도 두개내압이 상승한다. 구체적으로 뇌용적 증가의 원인은 뇌부종, ...2025.03.15
-
gcs motor grade사정2025.03.191. GCS (Glasgow Coma Scale) 의 이해 1.1. GCS의 정의 GCS(Glasgow Coma Scale)는 의식장애의 수준을 눈 뜨기, 언어, 운동의 3가지 기능마다 4~6단계로 평가하는 국제적인 평가분류법이다. GCS는 환자의 의식 수준을 객관적으로 측정하여 평가하는 도구이며, 환자의 예후를 판정하는 데에도 유용하게 사용된다. 1.2. GCS의 평가 항목 및 점수화 1.2.1. 눈뜨기 반응 자발적으로 눈을 뜨는 경우 4점을 부여한다. 음성 자극에 의해 눈을 뜨는 경우 3점을 부여한다. 통증 자극에 의해 눈...2025.03.19
-
심정지로 인한 급성혼돈 환자 간호과정2025.04.081. 심정지로 인한 급성혼돈 환자 간호과정 1.1. 간호 술기 급성혼돈 환자의 간호 술기는 다음과 같다. 각성변화단계의 제1단계는 정상적인 의식인 명료상태로, 대상자는 시각, 청각, 그 외 감각에 대한 자극에 즉시 적절한 반응을 보인다. 제2단계는 졸림 또는 기면상태로, 자극에 대한 반응이 느리고 불완전하다. 제3단계는 혼미상태로, 지속적이고 강한 자극에 반응을 보이며 간단한 질문에 한두 마디로 대답한다. 제4단계는 반혼수 상태로, 자발적인 근육 움직임이 거의 없고 통증 자극에 약간의 반응을 보인다. 제5단계는 혼수상태로, 모...2025.04.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