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6개
-
MICU 주요간호2024.10.051. 만성신부전 1.1. 정의 및 단계 만성신부전은 만성적인 신 질환이 수개월 이상 계속되어 기능적 nephron(60%이상)이 불가역적으로 감소함으로써 발생하는 상태이다. 신장의 손상 정도와 기능의 감소 정도에 따라 1단계에서 5단계로 나누어진다. 1단계는 신장 기능 검사상 정상 혹은 소변 검사상 이상이 관찰되는 단계이다. 2단계는 신장 기능이 정상의 69~89%로 약간의 기능 감소가 관찰되는 단계이다. 1~2단계에서는 신장 기능 저하의 원인을 찾아 치료하고, 신장 기능 저하의 진행 여부를 주기적으로 관찰해야 한다. 3단계...2024.10.05
-
중환자실 기구2024.10.081. 중환자실의 이해 1.1. 중환자실의 정의 중환자실은 내과계, 외과계를 막론하고 전신관리를 필요로 하는 위독한 급성 기능부전이 있으나, 회복 가능성이 있는 환자를 수용하여 24시간 체제로 강력하면서도 집중적으로 치료간호를 하는 병동이다. 또한 집중치료실이라고도 한다. 일반병동보다 넓은 전용공간을 확보하며, 전담의사와 간호사(환자 2 : 간호사 1의 비율 이상)를 상시 배치해야 한다. 따라서 중환자실은 중증 환자의 생명을 살리고 회복을 돕기 위해 집중적이고 집중적인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특별한 병동이라고 할 수 있다. 1.2. ...2024.10.08
-
Ecmo2024.10.261. 체외막산소화장치 ECMO(Extracorporeal Membrane Oxygenation) 1.1. ECMO의 정의와 원리 ECMO(Extracorporeal Membrane Oxygenation)는 심장과 폐의 기능을 보조할 목적으로 수일~2주간 심폐 bypass 기법을 사용하는 것으로, 경부 또는 대퇴부의 혈관을 도관으로 사용한다. 심폐 부전 환자들이 자체 치유 과정을 거칠 수 있도록 심폐보조를 해주는 것이 ECMO의 주된 목적이다. ECMO의 기본 원리는 환자의 정맥혈을 체외로 배출하여 산화기(oxygenator)를 ...2024.10.26
-
ECMO2024.11.111. ECMO (Extracorporeal Membrane Oxygenation) 1.1. 정의 ECMO(Extracorporeal Membrane Oxygenation)는 심장과 폐의 기능을 보조할 목적으로 수일에서 2주간 심폐 bypass 기법을 사용하는 것으로, 경부 또는 대퇴부의 혈관을 도관으로 이용하는 장치이다. 심폐 부전 환자들이 자체 치유 과정을 거칠 수 있도록 심폐보조를 해주는 것이 ECMO의 주된 목적이다. 즉, ECMO는 환자의 심폐 기능이 정상적이지 않은 경우 부착하여 환자의 순환기능을 보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2024.11.11
-
악행금지의 원칙2024.08.251. 서론 1.1. 간호윤리 사례와 생명윤리원칙 자율성 존중의 원칙은 개인이 스스로 선택한 계획에 따라 행동과정을 결정하는 행동자유의 한 형태를 의미한다"" 이때 진정한 동의가 갖춰지기 위해서는 동의자의 능력, 의사소통, 이해력, 자발성이 있어야 한다"" 악행금지의 원칙은 타인에게 의도적으로 해를 입히거나 타인에게 해를 입히는 위험을 초래하는 것을 금지하는 원칙이다"" 의료진은 환자에게 신체적, 정신적 해를 가하는 모든 행위를 해서는 안 되며, 환자에게 가해지는 고통과 위험을 최소화해야 한다"" 선행의 원칙은 타인의 고통을 덜...2024.08.25
-
ECMO2024.09.081. 체외막산소화장치 ECMO(Extracorporeal Membrane Oxygenation) 1.1. ECMO의 정의 ECMO(Extracorporeal Membrane Oxygenation)는 심장과 폐의 기능을 보조할 목적으로 수일부터 2주간 심폐 우회술을 사용하는 것으로, 경부 또는 대퇴부의 혈관을 도관으로 사용한다. 심폐 부전 환자들이 자체 치유 과정을 거칠 수 있도록 심폐보조를 해주는 것이 ECMO의 주된 목적이다. 1.2. ECMO의 구성 1.2.1. Membrane Oxygenator Membrane Oxygen...2024.09.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