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중과 사대부의 이데올로기와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살펴보는 <조선, 말이 통하다>. 기존의 역사 연구 방법과는 전혀 다른, 커뮤니케이션 체계라는 관점에서 우리의 역사를 재구성한 책이다. 사회학자의 시선으로 '민중과 사대부, 그리고 조선 오백 년의 커뮤니케이션'을 바라보고 있다.
이 책은 조선의...
김홍도 탄생 270주년·서거 210주년 기념출간『조선의 아트 저널리스트 김홍도』는 김홍도와 당대에 함께 활약한 걸출한 인물이 많이 소개되고 있다. 백성과 함께 개혁을 추진하던 정조 곁에서 군신의 의리가 무엇인가를 보여준 채제공과 정약용, 붓끝으로 맺어진 인연을 소중하게 이어간 김홍도의 스승 강세황...
여성 인물을 통해 만나는 조선 사회의 또 다른 단면!『조선의 여성 역사가 다시 말하다』는 어우동, 장녹수, 혜경궁 홍씨, 허난설헌, 황진이 등 조선 시대를 살았던 25인의 여성과 무명의 여성들을 통해 조선 시대를 새롭게 해석한 책이다. 왜 조선은 정절을 요구하면서도 첩에 대해 관대했는지, 학문하는 여성들의...
역사의 주인공이 되어 되살아난 22명의 혁명가들역사학자 이덕일이 한국사 인물에 대한 또 하나의 새로운 관점을 던진다. 바로 ‘시대의 질서와 이념에 도전한 사람들’이다. 이들은 당대에는 이단아로 배척받았거나 멸문지화를 당했으나 이 시대에도 유효한 의미를 던져주는 역사의 선각자들이자 시대를 앞서...
조직문화의 기원과 속성, 진단을 위한 다양한 모델 등 이론적인 부분 뿐 아니라, 조직문화에 영향을 주는 채용, 혁신, 공간에 대한 이슈, 4차 산업혁명과 조직문화의 관계를 이야기하고 있다. 또한, 조직문화를 패션에 비교하여 현재 속한 조직이 어울리는 조직문화인지를 가지고 있는지를 판단해 볼 수 있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