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04개
-
(22년) 중앙대학교 전자전기공학부 전자회로설계실습 예비보고서 9. 피드백 증폭기(Feedback Amplifier)2025.04.301. Series-Shunt 피드백 증폭기 설계실습 9. 피드백 증폭기(Feedback Amplifier)의 목적은 피드백을 이용한 증폭기의 동작을 이해하는 것입니다. 이를 위해 Series-Shunt 구조의 피드백 증폭기와 Series-Series 구조의 피드백 증폭기를 설계하고 실험합니다. Series-Shunt 피드백 증폭기는 입력이 전압이고 출력도 전압인 구조이며, 입력 저항, 부하 저항, 전원 전압 변화에도 gain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어 voltage regulator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2. Series-Seri...2025.04.30
-
A+ 2022 중앙대학교 전자회로설계실습 예비보고서 6 Common Emitter Amplifier 설계2025.05.011. Common Emitter Amplifier 설계 이 보고서는 Emitter 저항을 사용한 Common Emitter Amplifier 회로를 설계하는 내용을 다루고 있습니다. 주요 내용으로는 Early effect를 무시한 상태에서 overall voltage gain 식을 이용하여 부하 저항 RL에 최대 전력이 전달되도록 RC를 결정하는 방법, gm을 구하는 방법, 바이어스 전압 및 전류를 계산하는 방법, 입력 저항 Rin을 구하는 방법, PSPICE 시뮬레이션을 통한 출력 파형 분석, 그리고 입력 저항 추가를 통한 선형성...2025.05.01
-
[예비보고서]중앙대학교 전자회로설계실습 Op Amp를 이용한 다양한 Amplifier 설계2025.05.101. 센서 측정 및 등가회로 센서의 출력전압을 오실로스코프로 직접 측정하여 peak to peak 전압이 200 mV였고, 10K 저항을 연결한 후 측정한 전압이 100 mV였다. 이를 통해 센서의 Thevenin 등가회로를 구할 수 있으며, Function generator와 저항으로 이를 구현할 때 Function generator의 출력을 100 mV로 설정해야 한다. 2. Inverting Amplifier 설계 및 시뮬레이션 2 KHz의 센서 출력을 증폭하여 출력이 1 V인 Inverting Amplifier를 설계하였다....2025.05.10
-
중앙대학교 전자회로설계실습 Common Emitter Amplifier 설계2025.05.101. Common Emitter Amplifier 설계 전자회로 설계 및 실습 예비보고서에서 Common Emitter Amplifier 회로를 설계하는 과정이 설명되어 있습니다. 주요 내용으로는 Emitter 저항을 사용한 Common Emitter Amplifier 회로 설계, 이론부의 overall voltage gain 식을 이용한 부하저항 결정, 바이어스 전압 및 저항 값 계산, PSPICE 시뮬레이션을 통한 출력 파형 분석, 입력 신호 크기 조절을 위한 추가 저항 설계 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1. Common Emitt...2025.05.10
-
[예비보고서]중앙대학교 전자회로설계실습 MOSFET Current Mirror 설계2025.05.101. 단일 Current Mirror 설계 전자회로 설계 및 실습 예비보고서에서 단일 Current Mirror 설계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2N7000 트랜지스터를 이용하여 10.09 mA의 전류원을 설계하는 과정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트랜지스터의 특성을 이용하여 전류원의 동작 조건을 만족시키는 방법을 설명하고 있으며, OrCAD와 PSPICE를 이용한 회로 설계 및 시뮬레이션 결과를 제시하고 있습니다. 2. Cascode Current Mirror 설계 전자회로 설계 및 실습 예비보고서에서 Cascode Current Mir...2025.05.10
-
중앙대학교 전자회로설계실습 피드백 증폭기 (Feedback Amplifier)2025.05.101. Series-Shunt 피드백 회로 설계 전자회로 설계 및 실습 예비보고서에서 Series-Shunt 피드백 회로를 설계하였습니다. 전원 전압원을 12V로 고정하고 입력저항 및 부하저항을 1kΩ, 피드백 저항을 계산하여 설정하였습니다. 입력 전압을 0V에서 6V까지 변화시키며 출력 전압의 변화를 관찰하였고, 입력 저항과 부하 저항을 변경하여 추가 시뮬레이션을 진행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피드백 회로의 특성을 분석하였습니다. 2. Series-Shunt 피드백 회로 설계 (LED 구동) Series-Shunt 피드백 회로를 활용하...2025.05.10
-
[예비보고서]중앙대학교 전자회로설계실습 Oscillator 설계2025.05.101. Oscillator 설계 전자회로 설계 및 실습 예비보고서에서 Oscillator 회로를 OrCAD PSPICE를 사용하여 설계하고 분석하였습니다. 주어진 조건에 맞게 Oscillator 회로를 설계하고, 피드백 계수(β)와 피드백 저항(R)의 영향을 분석하였습니다. 설계한 Oscillator의 동작 원리와 시뮬레이션 결과를 제시하였습니다. 1. Oscillator 설계 오실레이터 설계는 전자 회로 설계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입니다. 오실레이터는 주기적인 신호를 생성하여 다양한 전자 장치에서 사용되며, 그 성능은 전체 시스템의 ...2025.05.10
-
[중앙대학교 3학년 1학기 전자회로설계실습] 결과보고서5 구매 시 절대 후회 없음(A+자료)2025.05.141. BJT와 MOSFET을 이용한 스위치 회로 설계 이번 실험에서는 BJT와 MOSFET의 스위치 기능을 이용하여 LED를 on/off시키는 회로를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BJT의 경우 emitter에 LED를 연결하거나 inverter 회로를 구성하여 입력 전압에 따라 LED가 켜지고 꺼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MOSFET의 경우 triode 영역에서 동작하도록 설계하여 LED를 구동하였고, MOSFET의 커패시터 특성을 이용한 실험도 진행하였다. 실험 결과 이론값과 실측값 사이에 최대 36%의 오차가 발생하였는데, 이는 소자의 특...2025.05.14
-
중앙대학교 3학년 1학기 전자회로설계실습 결과보고서6: Common Emitter Amplifier 설계2025.05.141. Common Emitter Amplifier 설계 Common Emitter Amplifier를 설계하였다. 직류 전압에서의 회로에서 Vb, Vc, Ve를 측정한 후 Ic, Ie, Av를 구한 후 simulation 값과 비교하였다. 최대 오차율은 2.27%로 성공적인 실험이었다. 100kHz, 20 mVpp의 주파수를 넣은 실험에서도 같은 과정을 반복하였다. 오차율은 최대 3.21%로 만족스런 실험이었다. 2. BJT 동작 원리 EBJ는 forward bias, CBJ는 reverse bias에 두어 BJT를 active m...2025.05.14
-
전자회로 설계 및 실습 결과보고서: MOSFET Current Mirror 설계2025.05.141. Current Mirror Current Mirror는 트랜지스터를 전류원으로 이용하여 같은 크기의 전류를 계속해서 만들어내는 회로입니다. 이번 실험에서는 단일 Current Mirror와 Cascode Current Mirror를 설계하고 측정하여 그 특성을 확인하였습니다. 2. 단일 Current Mirror 첫 번째 실험에서는 단일 Current Mirror 회로를 구현하고 측정하였습니다. 실험 결과 MOSFET을 이용해 회로를 설계하면 동일한 전류(Io)가 흐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또한 ΔVo ≡ Io·ΔRo...2025.05.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