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15개
-
전자회로설계실습 1차 예비보고서2025.05.101. Op Amp를 이용한 다양한 Amplifier 설계 센서의 Thevenin 등가회로를 구하고 PSPICE로 그렸습니다. 센서의 출력전압을 증폭하기 위해 Inverting Amplifier, Non-Inverting Amplifier, Summing Amplifier를 설계하고 PSPICE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습니다. 각 증폭기의 설계과정, 회로, 출력파형을 제시하였고 주파수 특성 분석 결과도 포함하였습니다. 또한 증폭기 간 비교와 실험 결과도 기술하였습니다. 1. Op Amp를 이용한 다양한 Amplifier 설계 Op Amp...2025.05.10
-
BJT 기본 특성 결과보고서2025.04.281. BJT 동작점 및 바이어스 회로 BJT를 증폭기로 동작시키기 위해서는 적절한 DC 바이어스가 인가되어야 하며 이때의 DC 바이어스를 동작점 또는 Q점이라고 부른다. DC 바이어스는 증폭기의 전압 이득과 스윙을 결정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 실험에서는 BJT를 이용한 증폭기의 DC 동작점을 잡아주기 위한 바이어스 회로에 대해 알아보고, 실험을 통하여 동작을 확인하고자 한다. 2. BJT 전류-전압 특성 이 실험에서는 BJT의 기본 동작 원리를 파악하고, 전류-전압 특성을 실험을 통하여 파악하였다. BJT의 네 가지 동작 영역...2025.04.28
-
전자회로설계 및 실습7_설계 실습7. Common Emitter Amplifier의 주파수 특성_결과보고서2025.01.221. Common Emitter Amplifier의 주파수 특성 이번 실습에서는 이전에 설계한 emitter 저항을 이용한 Common Emitter Amplifier의 주파수 특성과 커패시터들의 영향을 측정하고 평가하였습니다. 실험 결과, 전압 및 전류 측정에서 평균 2.5% 이하의 오차를 얻을 수 있었고, 1MHz 이하의 주파수 대역에서는 실험 결과와 시뮬레이션 값의 차이가 작았습니다. 하지만 1MHz 이상의 고주파 대역에서는 오차가 크게 나타났습니다. 이는 가변 저항 값의 오차와 입력 전압이 작아 오실로스코프에서 정확한 측정이...2025.01.22
-
전자회로설계실습 예비보고서 112025.01.041. Push-Pull 증폭기 이 실험의 목적은 RL = 100 Ω, Rbias = 1 kΩ, VCC = 12 V인 경우 Push-Pull 증폭기의 동작을 이해하고 Dead zone과 Crossover distortion 현상을 파악하며 이를 제거하는 방법에 대해 실험하는 것입니다. 실험을 통해 Push-Pull 증폭기의 입출력 transfer characteristic curve를 확인하고, Dead zone이 발생하는 이유를 설명합니다. 1. Push-Pull 증폭기 Push-Pull 증폭기는 전자 회로 설계에서 매우 중요한 역...2025.01.04
-
능동 부하가 있는 공통 소오스 증폭기2025.01.071. 공통 소오스 증폭기 공통 소오스 증폭기는 전자회로에서 널리 사용되는 증폭기 회로입니다. 이 실험에서는 능동 부하가 있는 공통 소오스 증폭기를 구현하고 분석합니다. 입력 전압 변화에 따른 출력 전압 특성, 전압 이득, 입력 저항 및 출력 저항 등을 측정하고 계산합니다. 또한 10kHz 정현파 입력에 대한 증폭기 성능을 확인합니다. 1. 공통 소오스 증폭기 공통 소오스 증폭기는 전자 회로 설계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 증폭기는 두 개의 트랜지스터를 공통 소오스 구조로 연결하여 신호를 증폭하는 방식을 사용합니다. 이를 통...2025.01.07
-
[전자공학실험2] MOSFET 증폭기의 주파수 응답2025.04.271. MOSFET 증폭기의 주파수 응답 실험을 통해 MOSFET의 small signal 등가 회로를 사용하여 common source 증폭기의 저주파 및 고주파 차단 특성을 이해하고, common source 증폭기를 구성하여 주파수 응답 특성을 해석하고 측정하였습니다. 실험 결과 저주파 대역에서는 magnitude response가 fitting line보다 조금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41.8 Hz의 zero frequency를 가지기 때문에 생기는 현상이었습니다. 고주파 대역에서는 fitting line보다 조금 낮게 나타났...2025.04.27
-
공통 게이트 증폭기 실험 결과 보고서2025.01.021. 공통 게이트 증폭기 공통 게이트 증폭기는 낮은 입력 저항으로 인해 매우 제한적인 응용을 갖게 된다. 때문에 공통 게이트 증폭기는 낮은 입력 임피던스를 높은 출력 임피던스로 증폭, 혹은 낮은 저항을 가지는 신호원에서 발생하는 고주파 신호를 증폭시키는 데 주로 사용된다. 전압 이득이 크지만 전압 증폭기로 널리 사용되지 않는 이유는 낮은 입력 임피던스 때문이다. 1. 공통 게이트 증폭기 공통 게이트 증폭기는 전자 회로 설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 증폭기는 입력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합니다. 공통 게...2025.01.02
-
다단 증폭기 실험 결과 보고서2025.01.021. 다단 증폭기 실험을 통해 2단 증폭기와 3단 증폭기의 동작 특성을 확인하였습니다. 각 단의 전압 이득, 입력/출력 임피던스 등을 측정하고 분석하였습니다. 10kΩ 저항 조건에서는 예상 값과 큰 차이가 없었지만, 10Ω 저항 조건에서는 오차가 상당히 크게 나타났습니다. 이는 매우 낮은 저항 값으로 인해 커패시터로 전류가 빠져나가면서 발생한 것으로 추정됩니다. 다단 증폭기 설계 시 입력 임피던스와 출력 임피던스의 적절한 조건이 중요하며, 각 단의 전압 이득 곱보다 전체 전압 이득이 작은 이유는 소스팔로워 효과와 단 간 신호 전달 ...2025.01.02
-
중앙대 전자전기공학부 전자회로설계실습 예비보고서 - OP amp 이용한 다양한 Amp2025.05.021. 센서 측정 및 등가회로 출력신호가 주파수 2kHz의 정현파인 어떤 센서의 출력전압을 오실로스코프(입력임피던스 = 1MΩ)로 직접 측정하였더니 peak to peak 전압이 200mV이고 센서의 부하로 10kΩ 저항을 연결한 후 10kΩ 저항에 걸리는 전압을 역시 오실로스코프로 측정하였더니 peak to peak 전압이 100mV였다. 이를 통해 센서의 Thevenin 등가회로를 구현하기 위해 Function Generator의 출력을 2kHz, 100mV, Offset=0으로 설정해야 한다. 2. Inverting Amplif...2025.05.02
-
[전자회로실험] 반전 및 비반전 증폭기 결과 보고서2025.05.101. 반전 증폭기 실험 5.1.1)의 측정 결과로부터 vo와 vi사이에 180도 위상차가 있는지 확인하고, 측정한 vo값과 준비 3.1.1)에서 계산한 vo값을 비교하였다. 또한, 실험 5.1.1)에서 도시한 결과와 준비 3.1.1)에서 도시한 결과를 비교하였다. 실험 5.1.1)의 결과로 반전 증폭기로서 오실로스코프에 180의 위상차가 있는지 확인되었고 계산 값 또한 약간의 오차가 있었지만 동일하였다. 2. 비반전 증폭기 실험 5.2.1)의 측정 결과로부터 vo와 vi사이에 위상차가 없다는 것을 확인하고, 측정한 vo값과 준비 3...2025.05.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