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381개
-
(22년) 중앙대학교 전자전기공학부 전자회로설계실습 결과보고서 6. Common Emitter Amplifier 설계2025.04.301. Common Emitter Amplifier 설계 이 보고서는 BJT(2N3904)를 사용하여 Common Emitter Amplifier를 설계하고 회로 구성 및 측정 결과를 분석하였습니다. DC Power Supply를 이용하여 DC Bias parameter를 설정하고 Function Generator를 통해 AC parameter인 output voltage와 gain 값을 측정하였습니다. 측정 결과는 시뮬레이션 결과와 약 10% 이내의 오차를 보였습니다. 다만 일부 측정값이 예상보다 크게 나와 coupling capa...2025.04.30
-
(22년) 중앙대학교 전자전기공학부 전자회로설계실습 결과보고서 10. Oscillator 설계2025.04.301. Oscillator 설계 설계실습 10. Oscillator 설계요약: R1=R2=R=1kΩ, C=0.47uF으로 Oscillator를 설계하고 이에 나타나는 VO, V+, V-의 파형을 확인하고 T1, T2, VTH, VTL을 측정하였으며 PSPICE 시뮬레이션 결과와 비교해보았다. R1의 값을 1/2배, 2배로 감소, 증가시켜보며 즉, β값을 감소(β=0.333), 증가(β=0.666)시켜보며 나타나는 변화를 확인해 보았고 β가 감소, 증가함에 따라 T1, T2, VTH, VTL 또한 증가,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2025.04.30
-
중앙대 MOSFET 소자 특성 측정 예비보고서2025.05.051. MOSFET 소자 특성 측정 이 보고서는 MOSFET 소자의 특성을 측정하고 분석하는 내용을 다루고 있습니다. 주요 내용으로는 MOSFET의 주요 파라미터 계산, MOSFET 회로 구성 및 시뮬레이션, 측정 결과 분석 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를 통해 MOSFET 소자의 동작 원리와 특성을 이해하고 실험적으로 검증하는 것이 목적입니다. 1. MOSFET 소자 특성 측정 MOSFET(Metal-Oxide-Semiconductor Field-Effect Transistor)은 현대 전자 기기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반도체 소자 ...2025.05.05
-
아주대학교 A+전자회로실험 실험5 결과보고서2025.05.091. 1차 능동저역통과 필터 1차 능동저역통과 필터에 대해 알아보고 실험을 통해 본 이론을 확인하는 것이 실험 목적 중 하나였습니다. 실험 결과 입력 파형은 사인파, 출력 파형도 사인파로 출력되었으며, 증폭 회로이므로 이는 당연한 결과입니다. 그러나 출력 파형의 진폭이 너무 작을 때는 직선으로 보이는 경우도 있었습니다. 2. 2차 능동저역통과 필터 2차 능동저역통과 필터에 대해 알아보고 실험을 통해 본 이론을 확인하는 것이 실험 목적 중 하나였습니다. 실험 결과 이론값과 시뮬레이션 결과, 실제 실험 결과 간에 큰 차이가 있었습니다....2025.05.09
-
아주대학교 A+전자회로실험 실험3 예비보고서2025.05.091. 미분기 미분기는 입력 신호 파형의 시간 미분에 비례하여 출력을 발생하는 기능을 갖는다. 주파수 영역에서 분석하면 입출력 관계식은 V_o/V_i = -R_F/(R_s + 1/jωC)이며, ω→∞이면 V_o/V_i = -R_F/R_s가 된다. 따라서 입력 신호의 주파수가 cutoff frequency f_c = 1/(2πR_sC)보다 낮은 주파수에서만 미분기로 작용한다. 이보다 높은 주파수에서는 반전 증폭기가 된다. 미분기는 펄스 응답에서 직렬 RC 회로로, 주파수 응답에서 고역 통과 필터로 사용된다. 2. 적분기 적분기는 입력 ...2025.05.09
-
아주대학교 A+전자회로실험 실험4 예비보고서2025.05.091. 정궤환 회로 실험 목적은 연산 증폭기를 사용하여 정궤환 회로를 구성하고, 슈미트 트리거(Schmitt trigger) 회로, 사각파 발생 회로의 구성과 역할에 대해 알아보는 것입니다. 회로를 구성하여 각 경우에 대한 V_TL, V_TH, +V_sat, -V_sat을 측정하여 이들이 의미하는 바를 알아보고, 이론에서 배운 내용을 실험을 통해 증명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2. 슈미트 트리거 회로 슈미트 트리거 회로는 일반적인 소자(V_ILmax, V_IHmin)와 다르게 V_TL, V_TH라는 threshold가 있습니다. 출력이 ...2025.05.09
-
아주대학교 A+전자회로실험 실험5 예비보고서2025.05.091. 능동 필터 회로 실험 목적은 능동 필터 회로를 사용하여 1차 저역 통과 필터, 2차 저역 통과 필터, 2차 고역 통과 필터를 구성하고 차단 주파수와 전압 이득, 데시벨 이득을 알아보는 것입니다. 수동 필터와 능동 저역 통과 필터, 2차 능동 저역 통과 필터, 2차 능동 고역 통과 필터에 대한 이론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실험 과정, 이론에 따른 파형 및 결과 예상, Pspice 시뮬레이션 결과, 이론과 시뮬레이션 결과 비교 및 오차 분석 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1. 능동 필터 회로 능동 필터 회로는 수동 필터 회로에 비해 더 ...2025.05.09
-
전자회로실험 A+ 14주차 결과보고서(Current Mirror)2025.05.101. NMOS Current Mirror NMOS Current Mirror 회로를 구성하고 입력 전류와 출력 전류를 측정하여 전류 전달 비율을 계산했습니다. 또한 저항을 단락시키면서 노드 D의 전압과 전류를 측정하여 출력 저항을 계산했습니다. 2. Cascode Current Mirror Cascode Current Mirror 회로를 구성하고 입력 전류와 출력 전류를 측정하여 전류 전달 비율을 계산했습니다. 또한 저항을 단락시키면서 노드 D의 전압과 전류 변화를 측정하여 출력 저항을 계산했습니다. 3. Wilson Current...2025.05.10
-
A+ 연세대학교 기초아날로그실험 4주차 결과레포트2025.05.101. Half wave rectifier 실험 결과 Half wave rectifier 회로를 구현하였고, 입력 전압과 출력 전압을 관찰하였다. 다이오드의 Threshold 전압으로 인해 출력 전압이 입력 전압보다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PSPICE 시뮬레이션을 통해 실험 결과와 이론값을 비교하였고, 약간의 오차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2. Voltage clipper 실험 결과 Voltage clipper 회로를 구현하였고, 입력 전압과 출력 전압을 관찰하였다. 두 개의 다이오드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연결되어 있어 Thresho...2025.05.10
-
전자회로 실험 12. JFET의 특성 실험2025.05.111. JFET의 동작 원리 JFET 소자는 게이트와 소스 사이의 역방향 바이어스 전압의 크기에 의해 드레인 전류를 제어함으로써 드레인단에 증폭된 전압을 얻는 전압제어형 소자이다. 이 게이트 전압을 변화시킴으로써 채널의 폭이 변화하고 그에 따라 전류가 변화하게 된다. 2. JFET의 드레인 특성곡선 실험 결과 V_DS가 3.0V~6.0V사이에서는 I_D가 거의 변하지 않는 것으로 보아, 일정 전류원을 가지는 영역이라고 볼 수 있고, 이러한 점의 전압을 핀치오프 전압이라고 한다. 따라서 핀치오프 전압은 약 3.0V라고 할 수 있다. 3...2025.05.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