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416개
-
[전자공학응용실험]5주차_4차실험_실험14 캐스코드 증폭기_결과레포트_A+2025.01.291. 캐스코드 증폭기 캐스코드 증폭기는 일반 소스 증폭기에 비해 더 큰 전압 이득과 더 높은 전력 저항을 가지는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두 개의 MOSFET을 사용해야 하므로 둘 다 바이어스를 해야 하는 단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전압 공급의 제한이 낮아집니다. 캐스코드 증폭기의 출력 저항은 M1 트랜지스터 자체의 출력 저항 ro1에 gm2ro2가 추가되어 증가합니다. PSpice에서는 VDD를 12V로 적용했지만 실험에서는 7V로 적용했고, RL 값도 PSpice에서는 10kΩ, 실험에서는 69.91kΩ으로 달랐기 때문에 전압 이...2025.01.29
-
[전자공학응용실험]13주차_9차실험_실험21 차동증폭기 심화 실험_결과레포트_A+2025.01.291. 차동 증폭기 이번 실험은 차동 증폭기의 심화 실험으로, 차동 모드 전압 이득과 공통 모드 전압 이득을 구하고 이를 바탕으로 CMRR(공통 모드 제거비)를 계산해보는 실험이었다. 실험 결과, 이론적으로는 CMRR이 무한대가 되어야 하지만 실제로는 소자 간 파라미터 차이로 인해 CMRR 값이 유한한 값을 가지게 되었다. 또한 주파수에 따라 Ad와 Acm 값이 달라져 CMRR도 변화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 과정에서는 브레드보드 구멍 크기로 인한 문제가 발생하기도 했다. 1. 차동 증폭기 차동 증폭기는 전자 회로에서 매우 ...2025.01.29
-
RC회로의 시정수 측정회로 및 방법설계 예비보고서 (보고서 점수 만점/A+)2025.04.251. DMM의 내부 저항 측정 DMM의 내부 저항을 측정하는 방법을 설계하여 제출하라. 출력 전압이 5V가 되도록 DC Power Supply를 정확히 조정한 후 (+) 단자에만 22MΩ 저항을 연결하고 DMM으로 22MΩ 나머지 단자와 DC Power Supply의 (-) 단자 사이의 전압을 측정한다. 측정값을 V1이라고 하면, DMM의 내부 저항은 전압 분배 법칙에 의해 R_DMM = (22 * V1) / (5 - V1)Ω 이므로 이 수식을 풀어 R_DMM의 값을 구할 수 있다. 2. RC time constant 측정 DMM의...2025.04.25
-
[전자공학응용실험] 차동증폭기 기초 실험-예비레포트2025.04.261. 차동 증폭기 기초 실험 이 실험에서는 MOSFET을 사용한 차동 쌍의 동작을 위한 기본 조건을 살펴보고 기본적인 측정을 통하여 검증하고자 한다. 이를 토대로 부하 저항을 연결한 MOSFET 차동 증폭 회로를 구성하여 확인하고 특성을 분석한다. 2. 능동 부하와 전류 거울 집적회로를 설계할 때 일정한 전류원이 가장 기본적인 요소가 되는데, 전류원이 필요한 곳마다 저항을 사용하여 회로를 설계하면 신뢰성이 저항의 정확도에 따라 결정된다. 따라서 수동 부하 저항을 사용하여 집적회로를 설계하기보다는 능동 부하 회로를 이용하는 것이 좋다...2025.04.26
-
A+ 연세대학교 기초아날로그실험 9주차 결과레포트2025.05.101. Full wave rectifier Full wave rectifier 회로를 구현하고 입력 전압과 출력 전압을 관찰하였다. 이론적인 ripple 전압 계산과 실험 결과를 비교하여 오차가 발생한 이유를 분석하였다. 또한 부하에 축전기를 연결하였을 때 출력 전압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2. Buck converter Buck converter 회로를 구현하고 duty cycle 변화에 따른 출력 전압을 관찰하였다. 이론적인 출력 전압 계산과 실험 결과를 비교하여 오차가 발생한 이유를 분석하였다. 또한 Buck co...2025.05.10
-
전기회로실험 A+ 6주차 결과보고서(전압분할 회로)2025.05.071. 무부하 고정저항 전압 분할기 무부하 고정저항 전압 분할기의 각 저항기에 걸리는 전압을 계산하기 위한 일반 규칙을 세우고, 그 규칙을 증명하였다. 가변저항 전압 분할기 각 단자의 접지에 대한 전압을 계산하고, 그 결과를 실험적으로 입증하였다. 2. 부하를 갖는 전압분할 회로 전압분할 회로에서 부하가 전압 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실험적으로 입증하였다. 부하저항의 변화가 부하전류와 분로전류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하였다. 3. 전압분할 및 전류분할 회로 설계 지정된 전압, 전류 조건을 만족하는 전압 분할기와 전류 분할기를 설계하...2025.05.07
-
옴의 법칙 결과보고서2025.05.081. 옴의 법칙 실험 1에서는 탄소저항이 옴의 법칙을 만족하는지 확인하였다. 표시저항과 계산한 저항값의 오차가 매우 작았고 V-I 그래프에서 일정한 기울기를 보여 옴성 물질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 2와 3에서는 다이오드가 옴의 법칙을 만족하지 않는 비옴성 물질임을 확인하였다. 다이오드의 전압-전류 특성이 직선이 아니며 저항값도 일정하지 않았다. 또한 다이오드에 역방향 전압이 걸리면 전류가 흐르지 않는 극성 특성을 보였다. 발광 다이오드의 경우 색에 따라 순방향 전압값에 차이가 있었다. 2. 저항 실험 1에서 사용한 33Ω과 1...2025.05.08
-
(22년) 중앙대학교 전자전기공학부 전자회로설계실습 결과보고서 6. Common Emitter Amplifier 설계2025.04.301. Common Emitter Amplifier 설계 이 보고서는 BJT(2N3904)를 사용하여 Common Emitter Amplifier를 설계하고 회로 구성 및 측정 결과를 분석하였습니다. DC Power Supply를 이용하여 DC Bias parameter를 설정하고 Function Generator를 통해 AC parameter인 output voltage와 gain 값을 측정하였습니다. 측정 결과는 시뮬레이션 결과와 약 10% 이내의 오차를 보였습니다. 다만 일부 측정값이 예상보다 크게 나와 coupling capa...2025.04.30
-
JFET 특성2025.04.301. JFET JFET은 Junction Field Effect Transistor의 약자로써 접합형 전계효과 트랜지스터를 의미한다. JFET은 전류를 통해 제어하는 BJT와 달리 전압을 조절해 제어하는 소자이며, 또한 Majority carrier와 Minority carrier를 모두 이용하는 BJT와 달리 Majority carrier만 이용하는 Unipolar 소자이다. JFET은 N채널 형과 P채널 형으로 나뉘며, 각각의 단자는 Gate, Drain, Source라는 이름을 가진다. JFET의 작동원리는 Drain과 Sou...2025.04.30
-
실험 25. CE 증폭기와 주파수 응답 예비결과보고서2025.01.021. 보데 선도(Bode plot) 보데 선도는 가로축에 각주파수의 대수 log10를 취하고, 세로축에 이득와 위상차를 취하여 전압이득과 주파수의 관계를 그린 것입니다. 이를 통해 전압 증폭기의 주파수 응답 특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저주파 증폭기 응답 저주파 영역에서는 DC 차단(AC 결합)과 바이패스 동작을 위해서 커패시터가 하위 차단(하위 3dB) 주파수에 영향을 미칩니다. 공통 이미터 증폭기 회로의 AC 등가회로를 통해 입력 커패시터, 바이패스 커패시터, 부하 커패시터 부분의 주파수 응답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1. ...2025.0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