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러한 분위기에 대해 저자는 교육열 자체가 나쁜 것이 아니라 교육열을 불러일으키는 잘못된 교육정책과 학벌주의적 사회구조에 그 원인이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같은 약도 올바르게 사용하면 이롭고 잘못 사용하면 해롭다. 교육열을 올바르게 사용할 때 우리나라의 미래가 밝지 않을까.
“왜 똑같이 공부해도 성적이 다를까?”
뇌과학이 밝혀낸 ‘공부 잘하는 뇌’의 비밀
▶하버드 대학교 심리학과 교수 스티븐 핑커 강력 추천!
▶전 세계 500만 교육자가 선택한 최고의 학습법
학습 능력의 차이는 ‘타고난 머리’가 아닌 ‘뇌 사용법’의 차이다
열심히 공부하는데도 성적이 오르지 않는 학생, 초등학교 때는 잘했지만 중고등학교에서 성적이 하락하는 학생, 공부는 별로 안 하는데도 늘 상위권을 유지하는 학생. 이런 학습 능력의 차이는 ‘타고난 머리’가 아닌 ‘뇌 사용법’의 차이에서 비롯된다.
뇌과학 연구에 따르면, 효과적인 학습을 위해서는 새로운 지식을 뇌의 ‘장기 기억’에 저장하는 것이 핵심이다. 수학 포기자에서 공대 교수가 된 바버라 오클리를 비롯한 세계적 석학 3인이 뇌과학에 기반한 최적의 학습법을 제시한다.
◆ 세계적 석학 3인의 혁신적 학습법 대공개
‘메타프락시스’는 교육이론의 성격을 집약적으로 나타내는 담론형식이다. 추기에서, 메타프락시스라는 용어 그 자체는 낯설지만 그것에 담긴 사고방식은 오래 전부터 교육의 의미를 파악하는 데에... 아니라, 교육에 관한 그들의 사고에서 오늘날 메타프락시스라는 용어로 규정되는 사고방식을 판독해 낼 수...
김선의 첫 교육서인 『교육의 차이』는 이런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현재 우리의 교육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먼저 우리 아이들이 진정 행복해지기 위한 최고의 교육이란 무엇인지, 가정과 학교 그리고 사회는 어떤 교육 철학을 가져야 하는지에 대한 답을 찾아야 한다. 그는 이 답을 찾기 위해 자신의 전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