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정한 축제의 시간이란 온몸으로 자신을 느끼는 시간이다
「사평역에서」의 시인 곽재구, 해안선을 따라 펼쳐지는 꿈을 만나다온전히 나 자신을 위해서만 열려져있던 시간,
나의 길로 뚜벅뚜벅 걸어 들어갔던 때…
땅끝에서 잔잔한 감동을 길어 올린 시인의 여행기,
베스트셀러 『곽재구의 포구기행』 개정판
알고 먹으면 더욱 맛있는 집밥 속 과학 이야기
* 요리, 과학, 역사, 일러스트와 에세이의 만남
* 식재료의 역사와 조리 과정의 화학 원리를 특유의 입담과 지식으로 풀어낸다!
소설 쓰는 화학자 곽재식의 집밥 화학 에세이『곽재식의 먹는 화학 이야기』. 주말마다 가족과 요리하며 코로나19 시국을 버텨온 저자가 열여섯 가지 메뉴를 꼽아 식재료의 역사, 조리 과정에서의 화학 원리, 소중한 추억 등 다양한 이야기를 맛깔나게 엮었다. 떡볶이, 냉면, 김밥같이 친근한 메뉴부터 케이크, 카르보나라, 피자같이 만들기 까다로운 음식도 소박한 도구와 재료로 누구나 쉽게 따라 할 수 있도록 소개한다. 식재료를 진화론적 관점에서 살펴보는가 하면 그에 얽힌 역사적 사건, 조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핵심 화학 원리를 누구나 이해할 수 있도록 친절하게 설명한다. 재미있게 읽다 보면 오메가3, 불포화지방산, 글루텐 등 들어는 봤지만 잘은 몰랐던 과학 용어를 제대로 알게 되는 희열을 느끼게 된다.
“애초에 요리는 불을 이용해 익히고, 칼로 자르면서, 여러 성분이 든 양념을 더해 재료의 성질을 다양하게 바꾸는 과정이므로, 그 핵심이 한 성분을 다른 성분으로 바꾸는 화학반응을 이야기할 수밖에 없다. 그러니 요리는 곧 ‘먹는 화학’이라고 해도 과장이 아니다.” (‘들어가는 말’에서)
2020년 봄부터 시작된 팬데믹 시국에 저마다 나름의 탈출구를 찾아 헤맸다. 탈출구라고 해봐야 ‘집 안’에서 이루어져야 했기에 인테리어부터 게임, OTT 서비스, 온라인 화상 모임 등이 주를 이루었다. 저자는 코로나19를 겪으며 주말마다 가족과 요리를 했다. 일명 “곽재식의 일요요리!”라는 타이틀로 꾸준히 집에서 요리를 해왔고, 현재 100회를 넘기면서 그중 열여섯 가지 메뉴를 골라 요리에 얽힌 역사와 과학 지식, 작가의 소중한 추억 등 다양한 이야기를 요리마다 한데 엮였다.
향해 이야기하는 배우와 그 말들을 직접 듣는 관객, 이들의 소통은 무대 위 연극과 현실의 경계를 허물어버린다. 나아가 현대 사회의 위선과 거짓을 폭로하고, 관객으로 하여금 지극히 현실적인 문제를 있는 그대로 바라볼 수 있게 하였다. 이러한『관객 모독』은 가장 도발적인 희곡 중 하나의 작품으로 꼽히고 있다.
“대화가 풀려야 관계가 풀린다!”
직장에서, 가정에서, 학교에서, 연애를 할 때…
툭 하면 화내고, 매사 까칠하고, 고집불통인 사람들…
그들 사이에서 어떻게 스트레스를 덜 받으며 관계를 맺어 갈 것인가?
아무리 어렵고 답답한 관계도 시원하게 뚫어 주는 ‘관계 대화’의 힘!
이 세상은 사람 수...
때문에 서툴러서 멀어진 인간관계, 틀어지고 멀어진 인간관계를 회복하는 방법을 배울 필요가 있다. 『사람 때문에 매일 괴로운 당신을 위한 관계 수업』은 스탠퍼드 의과대학 심리행동학과 교수인 저자 데이비드 번즈가 25년간 불편한 인간관계로 고통받는 수천 명의 상담자들을 연구하고 치료한 결과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