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8개
-
중앙대 전자회로 설계 실습 예비보고서 6_Common Emitter Amplifier 설계2025.01.111. Emitter 저항을 삽입한 Common Emitter Amplifier 설계 설계실습 6. Common Emitter Amplifier 설계에서 Emitter 저항을 사용한 Common Emitter Amplifier 회로를 설계하고자 합니다. Early effect를 무시하고 이론부의 overall voltage gain 식을 이용하여 부하저항에 최대전력이 전달되도록 부하저항을 결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필요한 저항 값들을 계산합니다. 또한 PSPICE 시뮬레이션을 통해 출력파형을 분석하고 증폭기의 특성을 확인합니다. 2. ...2025.01.11
-
이미터 공통 증폭기 결과보고서2025.01.021. 이미터 공통 증폭기 이번 실험에서는 이미터 접지 증폭기에서의 이미터, 베이스, 콜렉터 전압을 측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트랜지스터에서 흐르는 전류의 값과 β, gm, rpi의 값을 계산할 수 있었다. 또한 입력과 출력 전압을 측정하여 입력과 출력 저항의 값을 계산할 수 있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이미터 접지 증폭기의 입력 저항과 출력 저항의 개념을 잘 이해하게 된 것 같다. 출력 파형의 왜곡 현상을 관찰하여 회로가 포화상태에 도달하였는지, 차단 상태에 도달하였는지에 대하여 알아볼 수 있었다. 이번 실험에서는 그래프의 윗부분이 ...2025.01.02
-
중앙대 전기회로설계실습 결과보고서62025.01.171. 오실로스코프와 DMM의 측정 비교 오실로스코프와 DMM을 이용하여 교류 전압 신호를 측정하고 비교하였다. 오실로스코프는 주파수가 높은 영역에서 더 정확한 측정이 가능하지만, DMM은 저주파 영역에서 더 정확한 측정이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DMM의 내부 회로 특성 때문인 것으로 추측된다. 2. DC와 AC 신호 측정 오실로스코프와 DMM을 이용하여 DC와 AC 성분이 포함된 신호를 측정하고 비교하였다. DMM의 DC 모드와 AC 모드에서 각각 다른 값이 측정되는데, 이는 DC 성분과 AC 성분을 각각 측정하기 때문이...2025.01.17
-
[A+보장]한양대에리카A+맞은 레포트,회로이론응용및실험,Active Filter2025.01.151. 이상적 OP Amp OP amp는 연산 증폭기라고도 하며, 트랜지스터들로 구성된 차동 선형 증폭기입니다. OP amp는 적분, 가산, 미분과 같은 수학적인 연산을 회로에 적용할 수 있으며, 생활속에서는 오디오 증폭기, 비디오 등에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상적인 OP amp의 특성은 전압 이득이 무한대이고, 입력 저항이 무한대, 출력 저항이 0입니다. 2. 실제(real) OP Amp 실제로 실험에서 사용하는 OP amp의 특성과 이상적인 OPamp의 특성은 다른 부분이 있지만, 비슷한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실제 OP a...2025.01.15
-
전자공학실험 17장 능동 부하가 있는 공통 소오스 증폭기 A+ 예비보고서2025.01.131. 공통 소오스 증폭기 이 실험에서는 정전류원과 전류 거울을 이용한 능동 부하(active load)가 있는 공통 소오스 증폭기(common source amplifier) 회로를 구성하고, 이를 바탕으로 공통 소오스 증폭기의 전압 이득을 구하고자 한다. 능동 부하는 아날로그 증폭기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간단한 공통 소오스 증폭기에 적용함으로써 특성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2. 소신호 등가회로 공통 소오스 증폭기 회로의 저주파 대역에서의 전압 이득을 구하기 위해 소신호 등가회로를 그리면 전압 이득은 A_{V0} =-g_...2025.01.13
-
전기회로설계 및 실습_설계 실습6. 계측장비 및 교류전원의 접지상태 측정방법설계_결과보고서2025.01.211. 계측장비 접지 상태 측정 실습에서 주로 사용하는 계측장비인 Digital Multimeter(DMM)과 Oscilloscope, Function generator의 접지 전압을 측정하고 내부 연결 상태와 입력 저항을 유추하였다. 이를 통해 계측장비의 정확한 사용법을 익혔다. 2. 교류 전원 접지 상태 측정 power outlet의 접지 단자 사이 전압을 측정하여 교류 전류의 실효값을 확인하였다. 또한 접지를 포함한 단자 사이의 전압을 측정하여 220.0V임을 확인하였다. 3. DMM과 오실로스코프의 주파수 특성 비교 DMM은 ...2025.01.21
-
전기회로설계실습 실습6 결과보고서2025.01.201. 주파수 변화에 따른 전압 변화 DMM과 오실로스코프로 주파수를 바꿀 때 생기는 전압의 변화가 다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DMM은 주파수에 따른 변화를 많이 받지만, 오실로스코프로 측정하는 것이 더 정확한 값을 얻을 수 있다. 2. 오실로스코프의 INVERT 기능과 MATH 기능 오실로스코프에서 INVERT 기능을 통해 파형을 반전시킬 수 있으며, MATH 기능을 이용하여 CH1과 CH2의 신호를 합치거나 차이를 구할 수 있다. 3. 오실로스코프의 접지 연결 오실로스코프의 접지를 연결했을 때 어떤 일이 일어나는지 확인할 수 ...2025.01.20
-
다단 증폭기 실험 보고서2025.01.021. 2단 증폭기 실험회로 1에서 R1, R2, R3, R4, R5, R6을 고정하고 회로를 구성한 후, 공통 소스 증폭기 2 출력의 DC 값이 6V가 되도록 하는 값을 결정했습니다. 이 경우 M1의 각 단자들의 전압(VDS, VGS, VBS) 및 전류(ID, IG, IS)를 구하고, MOSFET이 포화 영역에서 동작하는지 확인했습니다. 포화 영역에서 회로가 동작하는 경우 M1의 트랜스 컨덕턴스 값, 출력 저항 Rout을 구하여 소신호 등가회로를 그리고, 실험회로 1의 이론적인 전압 이득을 계산했습니다. 입력에 10kHz의 0.01...2025.01.02
-
Input&Output impedence(voltage) A+ 물리화학실험결과보고서2025.01.281. 전압계의 입력저항 측정 실험에서는 전압계의 입력저항을 측정하기 위해 건전지와 전압계를 직렬로 연결하고, 추가로 저항을 연결하여 전압을 측정하였다. 이를 통해 입력저항을 계산할 수 있었다. 새 건전지와 폐 건전지를 사용하여 DVM과 Oscilloscope의 입력저항을 각각 구했다. 입력저항이 클수록 측정값이 실제 값에 가까워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2. 전원의 출력저항 측정 전원의 출력저항을 측정하기 위해 전압계의 양단에 저항을 연결하여 전압을 측정하였다. 이를 통해 출력저항을 계산할 수 있었다. 새 건전지와 폐 건전지를 ...2025.01.28
-
전자회로실험 과탑 A+ 예비 보고서 (실험 17 능동 부하가 있는 공통 소오스 증폭기)2025.01.291. 능동 부하가 있는 공통 소오스 증폭기 이 실험에서는 능동 부하가 있는 공통 소오스 증폭기 회로를 구성하고, 전압 이득을 구하는 것이 목적이다. 능동 부하는 아날로그 증폭기에서 널리 사용되며, 간단한 공통 소오스 증폭기에 적용함으로써 특성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능동 부하가 있는 공통 소오스 증폭기는 일반 저항 대신 MOSFET을 부하로 사용하여 출력 임피던스를 크게 만들고, 높은 전압 이득을 제공한다. 이 회로는 고성능이 요구되는 증폭 회로에서 사용되며, 작은 입력 변화에도 큰 출력 증폭을 가능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2...2025.0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