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33개
-
이화여대 생명과학실험 A+ 리포트(Western Blot)2025.01.231. Western Blot 원리 Western Blot은 항원-항체 반응을 이용하여 여러 단백질의 혼합물로부터 특정 단백질을 찾아내는 방법이다. 이 실험에서는 단백질의 SDS-PAGE 분리, 단백질의 membrane으로의 transfer, 항원-항체 반응 및 항체에 부착된 효소의 반응에 의한 발색 반응 등의 실험 원리 및 기법을 습득한다. 2. SDS-PAGE와 Stacking/Resolving Gel의 차이 Stacking gel은 단백질 시료를 gel에 loading 했을 때 모든 시료가 동일한 시작점에서 출발할 수 있도록 하...2025.01.23
-
대장균에서 재조합 단백질의 생산과 Western blot에 관한 실험2025.01.131. IPTG IPTG는 대장균 lactose operon의 효소합성을 유도하는 강력한 유도물질이다. 보통 유도물질은 operon의 활동에 의해 만들어지는 β-D-galactosidase에 의해 대사 이용하는 것이 많지만, IPTG는 분해되지 않아 비대사성 유도물질이라고도 불린다. 또한, 고농도로 사용시 galactoside permease가 없는 세포에도 투과할 수 있기 때문에 permease가 없는 균주에서의 유도실험에도 사용된다. 2. Buffer condition Tank buffer에는 glycine과 Cl-(Tris-ba...2025.01.13
-
생명과학 보고서_SDS-PAGE & Western blot(아주대 전공실험2)2025.05.161. SDS-PAGE SDS-PAGE는 단백질을 분자량에 따라 분리하는 기법으로, 단백질 시료에 SDS를 처리하여 단백질의 3차 구조를 풀어 선형화시킨 후 전기영동을 통해 분리한다. SDS는 단백질에 결합하여 음전하를 띠게 하므로, 단백질은 분자량에 비례하여 양극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를 통해 복잡한 단백질 혼합물을 효과적으로 분리할 수 있다. 2. Western blot Western blot은 특정 단백질의 유무 또는 양을 확인하는 분석 방법이다. 전기영동으로 분리된 단백질을 membrane에 전이시킨 후, 표적 단백질에 특이적...2025.05.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