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24개
-
면역학 SDS-PAGE 실험 레포트2025.01.031. SDS-PAGE SDS-PAGE는 단백질 분리 기술로, 전기 영동 이동성을 이용한 기술입니다. SDS는 단백질에 결합하여 일시적으로 음전하를 띄게 하고, 분자량에 따라 각각의 단백질을 분리할 수 있습니다. SDS-PAGE는 stacking gel과 running gel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온들의 이동속도 차이로 인해 단백질들이 동일한 속도로 내려가게 됩니다. 이를 통해 단백질의 유무와 분자량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Coomassie Blue Staining Coomassie Brilliant Blue G250은 단백질을...2025.01.03
-
닭 배아 관찰 및 단백질 분석 보고서2025.01.021. 닭 배아 발달 닭 배아의 발달 과정을 단계별로 설명하였다. 초기 세포 분열부터 시작하여 gastrulation, 신경관 및 심장 형성, 장기 발달 등 닭 배아의 발달 단계를 자세히 기술하였다. 특히 hox 유전자가 닭 배아의 신체 구조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2. SDS-PAGE 전기영동 SDS-PAGE 기법의 원리와 방법을 설명하였다. SDS가 단백질의 3차 구조를 1차 구조로 풀어내고 균일한 음전하를 부여하여 단백질을 크기별로 분리하는 과정을 자세히 기술하였다. 또한 전기영동 실험 과정을 단계별로 제...2025.01.02
-
SDS-PAGE2025.01.121. SDS-PAGE SDS-PAGE는 단백질을 분리하는 기술로, 전기영동 이동성을 이용한다. 단백질은 SDS 처리를 통해 균일하게 음전하를 띠게 되어 분자량에 따라 분리될 수 있다. 이 실험에서는 단백질 발현에 IPTG의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으나 이전 실험 결과의 불확실성으로 인해 IPTG의 영향을 명확히 알기 어려웠다. 단백질 염색 결과를 통해 약 45 kDa 크기의 단백질이 분리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2. Discontinuous Buffer System Discontinuous buffer system은 stackin...2025.01.12
-
대장균에서 재조합 단백질의 생산과 Western blot에 관한 실험2025.01.131. IPTG IPTG는 대장균 lactose operon의 효소합성을 유도하는 강력한 유도물질이다. 보통 유도물질은 operon의 활동에 의해 만들어지는 β-D-galactosidase에 의해 대사 이용하는 것이 많지만, IPTG는 분해되지 않아 비대사성 유도물질이라고도 불린다. 또한, 고농도로 사용시 galactoside permease가 없는 세포에도 투과할 수 있기 때문에 permease가 없는 균주에서의 유도실험에도 사용된다. 2. Buffer condition Tank buffer에는 glycine과 Cl-(Tris-ba...2025.01.13
-
전기영동을 이용한 단백질의 관찰(생화학실험)2025.01.161. 전기영동 전기영동은 전극 사이의 전기장 하에서 용액 속의 전하가 반대 전하의 전극을 향하여 이동하는 화학현상이다. 겔 전기영동법은 전기영동 현상을 단백질 분석에 응용한 초기 형태로, 단백질 크기에 따라 분리가 가능하다. 전기영동 실험에서는 SDS 처리를 통해 단백질의 전하를 균일하게 만들어 오직 크기에 따른 분리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isoelectric focusing과 2D 전기영동법 등 다양한 전기영동 기법이 있다. 2. 겔 제조 겔은 acrylamide와 bisacrylamide를 혼합하여 중합 반응을 통해 만든다...2025.01.16
-
SDS-PAGE를 이용한 AP 단백질 분석 및 Coomassie Blue Staining2025.01.171. SDS-PAGE를 이용한 단백질 분석 SDS-PAGE 실험을 통해 AP 단백질의 크기와 순도를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SDS-PAGE 과정에서 단백질의 3차 구조를 제거하고 크기에 따라 분리되도록 하여, 목표 단백질인 AP 단백질을 선별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또한 Coomassie Blue 염색을 통해 단백질 밴드를 시각화하여 분석할 수 있었습니다. 2. 단백질 정제 과정 단백질 정제 과정에서 target 단백질 이외의 비특이적으로 결합한 단백질들이 씻겨나가면서 target 단백질의 순도가 높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2025.01.17
-
Protein Regulation2025.01.181. Auxin-induced degron system Auxin-induced degron system은 특정 target protein을 원하는 상황에서 제거하기 위해 사용되는 방식으로, AID가 결합된 protein과 OsTir1이 같이 존재할 경우에 IAA(auxin)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는 정상적으로 protein이 존재할 수 있지만, IAA가 존재할 경우 IAA가 AID와 OsTir1을 연결하는 bridge 역할을 하고 polyubiquitin 구조가 형성되며 이는 이후 proteosome에 의해 빠르게 분해되어 pro...2025.01.18
-
생명과학실험1 SDS-PAGE & Coomassie blue Staining2025.01.131. SDS의 역할 및 원리 SDS(sodium dodecyl sulfate)는 계면활성제의 일종으로 단백질이나 핵산의 구조를 깨뜨려 선형으로 만들어주는 역할을 한다. 아미노산의 소수성 부분과 hydrophobic interaction을 하며 결합하는데, 아미노산 2개당 1개 정도 binding하여 단백질을 변성한다. 2. Gel에 들어가는 시료의 역할 ① Tris-HCl: Stacking gel과 Resolving gel의 pH를 다르게 하여 각 gel에서 Glycine의 charge 다르게 조정해준다. 또한 Cl-를 첨가해주어서...2025.01.13
-
Gel 제조 (SDS-PAGE 실험을 위한 사전 준비) 보고서2025.01.131. 전기영동 전기영동은 DNA와 단백질과 같은 생체 고분자들을 분리 및 정제하는 방법입니다. 전기영동 원리는 음전하를 띄고 있는 생체고분자(DNA/단백질)들에게 전기적 힘(-음전하 ->+양전하)을 가해주어, 물질이 사이즈에 따라 분리되는 것입니다. DNA 전기영동과 단백질 전기영동(SDS-PAGE)의 차이는 DNA는 음전하를 띄고 있어 Agarose(한천) Gel에서 관찰할 수 있지만, 단백질은 양, 음전하를 갖고 있어 SDS-sample buffer와의 혼합이 필요하며 Poly Acrylamide gel에서 관찰할 수 있습니다....2025.01.13
-
단백질의 분리2025.01.231. 단백질 분리 실험을 통해 원심분리를 이용하여 세포 내 단백질을 분리하는 방법을 익혔다. 단백질 분리를 위해 세포를 깨고 RIPA 버퍼에 녹인 후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얻었다. 이 상층액에는 세포에서 추출된 단백질이 포함되어 있다. 2. SDS-PAGE SDS-PAGE는 단백질의 크기에 따라 분리하는 기법으로, 단백질이 SDS에 의해 변성되어 전하/분자량 비율이 동일해지면 전기장 내에서 크기에 따라 이동속도가 달라져 분리된다. 이를 통해 단백질의 분자량을 확인할 수 있다. 3. 세포 용해 세포를 깨는 방법에는 homogeniza...2025.0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