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04개
-
분압기(Voltage Divider) 설계 예비보고서 (보고서 점수 만점/A+)2025.04.251. 분압기 설계 이 보고서는 출력전압이 12V로 고정되어 있는 DC power supply를 이용하여 정격전압이 3V±10%, 정격전류가 3mA±10%인 IC chip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분압기를 설계하는 내용을 다루고 있습니다. 보고서에서는 부하 효과를 고려하지 않은 잘못된 설계와 부하를 고려한 현실적인 설계를 비교하고 있으며, 등가 부하를 고려하여 설계 목표를 만족하는 분압기 회로를 제시하고 있습니다. 1. 분압기 설계 분압기는 전기 회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입력 전압을 원하는 출력 전압으로 변환하여 다양한 전자 ...2025.04.25
-
전자회로설계 및 실습6_설계 실습6. Common Emitter Amplifier 설계_예비보고서2025.01.221. Common Emitter Amplifier 설계 Rsig = 1 Ω, RL = 2 kΩ, VCC = 12 V인 경우, β = 100인 NPN BJT를 사용하여 Rin이 kΩ단위이고 amplifier gain(Av)이 -100 V/V인 emitter 저항사용한 Common Emitter Amplifier를 설계, 구현, 측정, 평가한다. 설계 과정에서 Early effect를 무시하고 이론부의 overall voltage gain Gv 식을 사용하여 RC를 결정하고, Rin, IC, IB, IE, VC, VE, VB, RE, ...2025.01.22
-
전자회로설계 및 실습10_설계 실습10. Oscillator 설계_예비보고서2025.01.221. Op-Amp을 이용한 Oscillator 설계 및 측정 Op-Amp을 이용한 Oscillator (신호발생기)를 설계 및 측정하여 positive feedback의 개념을 파악하고, 피드백 회로의 parameter 변화에 따른 신호 파형에 대해 학습한다. 2. Oscillator 설계 및 시뮬레이션 주어진 조건에 따라 Oscillator를 OrCAD PSPICE를 사용하여 설계하고, 설계한 Oscillator의 파형 및 주요 특성 값을 시뮬레이션을 통해 확인한다. 3. Feedback factor(β)의 영향 분석 Feedba...2025.01.22
-
중앙대 전자회로설계실습 결과보고서22025.01.121. Op Amp의 특성 측정 이번 실험에서는 이상적인 op amp가 아닌 경우 발생하는 offset voltage와 slew-rate에 대하여 직접 측정하고 이론값과 비교를 진행해보았다. 실험결과는 이론값과 크게 다르지 않았으나 실험 4.1(B)에서 출력파형이 크게 요동쳐 적당한 평균 값을 찾기가 어려웠으며 실험값으로 구한 offset voltage의 값도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실험 4.2(A)에서 osilloscope와 연결된 cable의 문제로 출력 파형이 제대로 나오지 않아 어려움이 있었다. 노후된 기계들로...2025.01.12
-
중앙대학교 전자회로설계실습 피드백 증폭기 (Feedback Amplifier)2025.05.101. Series-Shunt 피드백 회로 설계 전자회로 설계 및 실습 예비보고서에서 Series-Shunt 피드백 회로를 설계하였습니다. 전원 전압원을 12V로 고정하고 입력저항 및 부하저항을 1kΩ, 피드백 저항을 계산하여 설정하였습니다. 입력 전압을 0V에서 6V까지 변화시키며 출력 전압의 변화를 관찰하였고, 입력 저항과 부하 저항을 변경하여 추가 시뮬레이션을 진행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피드백 회로의 특성을 분석하였습니다. 2. Series-Shunt 피드백 회로 설계 (LED 구동) Series-Shunt 피드백 회로를 활용하...2025.05.10
-
[예비보고서]중앙대학교 전자회로설계실습 Oscillator 설계2025.05.101. Oscillator 설계 전자회로 설계 및 실습 예비보고서에서 Oscillator 회로를 OrCAD PSPICE를 사용하여 설계하고 분석하였습니다. 주어진 조건에 맞게 Oscillator 회로를 설계하고, 피드백 계수(β)와 피드백 저항(R)의 영향을 분석하였습니다. 설계한 Oscillator의 동작 원리와 시뮬레이션 결과를 제시하였습니다. 1. Oscillator 설계 오실레이터 설계는 전자 회로 설계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입니다. 오실레이터는 주기적인 신호를 생성하여 다양한 전자 장치에서 사용되며, 그 성능은 전체 시스템의 ...2025.05.10
-
[A+]전자회로설계실습 실습 3 결과보고서2025.01.101. 브릿지 전파정류회로 4개의 다이오드를 사용하는 브릿지 전파정류회로를 설계하고 제작하였다. 정류회로 양단의 전압차를 측정하는 실험을 제외하고 실험의 측정값들이 수식으로 구한 이론값들과 큰 오차를 보이지 않고 설계와 일관된 결과를 얻었지만 5KΩ의 저항을 사용했을 때보다 20KΩ의 저항의 사용했을 때 오차가 소폭 상승하였다. 2. 전압 파형 측정 Function Generator를 10Vpp, 40kHz로 설정하고 회로를 연결하여 A와 B점 사이의 전압 파형을 측정해 보았지만 원하던 결과를 얻을 수 없었다. 이는 회로의 GND와 ...2025.01.10
-
BJT와 MOSFET을 사용한 구동(switch) 회로2025.05.011. BJT 구동 회로 설계 BJT 2N3904를 사용하여 BL-B4531 (VF =2 V, IF =20 mA) LED를 구동하는 회로를 설계하였습니다. 구동신호(VIN)는 1 Hz, 5 Vdc의 square pulse (duty=50%)입니다. BJT가 saturation 영역에서 동작하도록 회로를 설계하였으며, 이때 beta_force=10, VCE(sat)=0.2[mV], VBE(sat)=0.8[mV]로 설정하였습니다. LED에 흐르는 전류 IF=20[mA]=IE이며, IB=1.818[mA], IC=18.18[mA]로 계산되었...2025.05.01
-
전압 및 전류 모니터링이 가능한 Battery 충전기 설계2025.01.201. 전원회로 설계 스위칭 모드 전원은 고주파 스위칭으로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변환하여 높은 에너지 효율성을 제공합니다. SMPS 전력 변환 중 손실이 적어 열손실을 최소화하여 효율을 높일 수 있습니다. 기존 예상 전원회로 제안서에서는 Linear power supply 방식을 계획했으나, 실제 설계에서는 Switching Mode Power Supply를 전원회로로 선택했습니다. 2. 충전기 회로 설계 충전기 회로는 SMPS(DC5V), TP4056 충전모듈, 18650 배터리, 아두이노, 온도센서, 쿨링팬, LCD 등으로 구성됩니...2025.01.20
-
중앙대학교 전자회로설계실습 피드백 증폭기(Feedback Amplifier)2025.05.101. Series-Series 피드백 증폭기 이번 실험에서는 Series-Series 피드백 증폭기를 구현 및 측정하였다. 오직 입력전압의 변화로 출력 전류가 결정된다. 실험 4.2 (A)에서는 입력저항 1kΩ, (B)에서는 입력저항 10 kΩ으로 같은 입력전압을 가질 때, (A)와 (B)의 출력전압을 비교하였다. 이 같은 경우 둘의 출력전압이 같게 측정이 되었기 때문에 출력전류도 같음을 알 수 있다. 이론대로 실험 결과가 나왔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LED전류가 Rf에 흐르는 전류와 같은데 입력전압을 늘릴수록 LED의 밝기가 ...2025.05.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