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51개
-
A+ 생화학실험 <5주차. Transformation> 레포트2025.01.201. Competent cell (DH5α) DH5α는 recA1 유전자의 160번 아미노산이 glycine에서 aspartic acid로 변이되는 돌연변이로 인하여 endonuclease의 기능을 상실하고 재조합 효소의 활성을 억제되었다. 이에 삽입된 plasmid DNA가 세포 내에서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분해되지 않도록 하여, 높은 transformation efficiency(1×10^8 cfu/μg)를 가진다. 2. Plasmid DNA Plasmid DNA는 박테리아의 chromosomal DNA와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있으...2025.01.20
-
[만점 레포트] 연세대학교 생화학실험(1) 9주차 흡광광도법2025.05.041. absorption spectrophotometry 흡광광도법은 빛의 흡수 정도를 측정하여 물질의 농도를 분석하는 기술입니다. 이 방법은 320~800nm 범위의 파장에서 빛의 흡수를 측정하며, 흡광도(A)는 투과도(T)의 로그 값으로 계산됩니다. 베르-람버트 법칙에 따르면 흡광도는 물질의 농도, 경로 길이, 몰 흡광 계수의 곱에 비례합니다. 이를 이용하여 표준 검량선을 작성하고 미지 시료의 농도를 측정할 수 있습니다. 2. spectrophotometer 분광광도계는 특정 파장의 빛을 선택적으로 투과시켜 시료의 흡광도를 측정...2025.05.04
-
[만점 레포트] 연세대학교 생화학실험(1) 14주차 생쥐 비장에서 면역세포 분리 후 면역염색 및 유세포 분석2025.05.041. 면역세포 분리 생쥐 비장에서 면역세포를 분리하는 실험을 수행했습니다. 비장은 림프조직의 일종으로, 면역세포가 많이 존재하는 기관입니다. 이 실험에서는 비장에서 림프구, 대식세포, 수지상세포 등의 면역세포를 분리하고 이를 면역염색 및 유세포 분석을 통해 확인했습니다. 2. 면역염색 분리한 면역세포에 대해 면역염색을 실시했습니다. 면역염색은 세포 표면의 특정 단백질을 형광물질로 표지하여 세포를 구분하는 기법입니다. 이를 통해 B 림프구, T 림프구, 대식세포, 수지상세포 등 다양한 면역세포 아집단을 구분할 수 있습니다. 3. 유세...2025.05.04
-
대장균에서 재조합 단백질의 생산과 Western blot에 관한 실험2025.01.131. IPTG IPTG는 대장균 lactose operon의 효소합성을 유도하는 강력한 유도물질이다. 보통 유도물질은 operon의 활동에 의해 만들어지는 β-D-galactosidase에 의해 대사 이용하는 것이 많지만, IPTG는 분해되지 않아 비대사성 유도물질이라고도 불린다. 또한, 고농도로 사용시 galactoside permease가 없는 세포에도 투과할 수 있기 때문에 permease가 없는 균주에서의 유도실험에도 사용된다. 2. Buffer condition Tank buffer에는 glycine과 Cl-(Tris-ba...2025.01.13
-
생화학 실험 보고서 - 단백질 분리2025.01.271. 단백질 분리 이번 실험에서는 MCF-7 세포를 이용하여 동물 세포에서의 단백질 분리 과정을 이해하고 단백질 분석 및 연구를 위한 준비를 하였습니다. 단백질 분리를 위해서는 세포를 깨뜨리고 안정적인 버퍼 환경을 만드는 것이 중요합니다. 다양한 방법으로 세포를 파괴할 수 있으며, 이번 실험에서는 scraper를 사용하여 MCF-7 세포를 깨뜨리고 RIPA 버퍼와 protease 억제제를 첨가하여 단백질을 추출하였습니다. 최종적으로 원심분리를 통해 상층액에 분리된 단백질을 -80°C에 보관하였습니다. 1. 단백질 분리 단백질 분리는...2025.01.27
-
[만점 레포트] 연세대학교 생화학실험(1) 3주차 아미노산의 분리 및 정성분석2025.05.041. 아미노산의 분리 및 정성분석 이 실험에서는 Ninhydrin 반응을 이용하여 아미노산, 펩타이드, 단백질의 발색 특성을 관찰하고, 종이 크로마토그래피와 전기영동을 통해 아미노산을 분리 및 정성 분석하는 방법을 익히는 것이 목적입니다. 실험 결과를 통해 Ninhydrin 반응의 원리, 아미노산의 분리 및 정성 분석 방법, 펩타이드의 전기이동도 차이 등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2. Ninhydrin 반응 Ninhydrin은 아미노산, 펩타이드, 단백질과 반응하여 특유의 발색 반응을 일으킵니다. 이 반응은 pH 4~8, 100°C ...2025.05.04
-
[생화학실험]단백질 정량(Lowry 법)2025.05.041. 단백질 정량(Lowry법) Lowry법은 알칼리성에서 단백질의 peptide 결합과 구리가 반응하여 Cu^{2+} 이온을 생성하는 Biuret 반응의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Cu^{2+} 이온은 방향족 아미노산의 산화를 유도하여 phospomolybdotungstate를 푸른색의 heteropolymolybdnum으로 환원시켜 강한 푸른색을 생성한다. 이 방법은 단백질의 농도가 0.01~1.0㎎/㎖의 경우에 측정 가능하다. 2. Biuret 반응 두 개 이상의 펩티드 결합을 갖는 화합물들은 알칼리성 용액에서 황산구리로 처리하면...2025.05.04
-
헤모글로빈 측정 시험2025.01.131. 헤모글로빈 측정 헤모글로빈(Hb)의 농도를 측정하는 실험이다. 헤모글로빈 농도 측정은 빈혈을 진단하는 필수적인 생화학적 조사 방법이며, 적혈구 증가증의 중요한 지표가 되므로 헤모글로빈 농도 측정 실험을 숙지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많은 실험에서 사용되는 micro 피펫의 사용법을 숙지한다. 2. 분광광도계 사용 분광광도계는 빛을 이용하여 투과/반사율 등을 측정하여 샘플과 미지 시료의 구성, 농도 등을 측정할 수 있는 기계로서 광원, 검출기, 단색 화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분광광도계를 사용하여 시료의 흡광도를 측정할 때는 반드...2025.01.13
-
Bradford법을 이용한 단백질의 정량 분석2025.01.151. 단백질 정량 분석 실험 목적은 Bradford법을 이용하여 단백질 정량을 하고 Standard curve를 그리는 것입니다. Bradford법은 산성용액에서 Coomassie brilliant blue 염료가 단백질과 결합하여 최대 흡광도가 595 ㎚로 이동하는 원리를 이용합니다. 따라서 595 ㎚에서의 흡광도가 단백질 농도와 비례합니다. 이 방법은 빠르고 비단백질성분들에 의한 방해도 거의 없어 실험실에서 가장 자주 사용하는 단백질 정량법입니다. 2. 단백질 정량의 중요성 단백질 정량은 생화학 실험에서 기본이 되는 과정입니다....2025.01.15
-
Lowry-Folin법을 이용한 단백질 정량 (생화학 실험)2025.01.161. 단백질 정량 실험 목적은 Lowry 방법으로 수용액에 녹아 있는 단백질의 양을 정량하는 것입니다. 이를 위해 표준 용액을 이용한 표준 곡선의 작성과 비색정량법을 습득합니다. Lowry 단백질 분석법은 강알칼리 조건에서 구리 이온과 펩타이드 결합의 반응, 그리고 Folin-Ciocalteu 시약과의 반응을 통해 단백질을 정량합니다. 이 방법은 트립토판, 시스테인, 티로신 등의 아미노산과 반응하여 발색되는 원리를 이용합니다. 2. 분광광도법 분광광도법은 물질에 의한 빛의 흡수 현상을 이용하여 화학물질의 양을 정량하는 방법입니다. ...2025.0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