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01개
-
아날로그 및 디지털회로 설계 실습결과 보고서2025.01.061. RS 래치 RS 래치는 교차교합된 두 NOR 게이트로 만들어진 순차식 회로로, 기본 기억소자장치입니다. 입력 R이 1일 때 출력 Q는 0으로 리셋되고, 입력 S가 1일 때 출력 Q는 1로 셋됩니다. 두 입력 R과 S 모두 0인 경우에는 현재 상태의 Q와 ~Q값을 그대로 유지하게 됩니다. R과 S가 모두 1인 경우는 금지된 입력에 해당합니다. 2. Edge-triggered 플립플롭 Edge-triggered 플립플롭은 클록신호가 0에서 1로 또는 1에서 0으로 바뀌는 순간에만 입력을 샘플링합니다. Rising edge에서 클록...2025.01.06
-
BCD code, 세븐 세그먼트에 대한 이론 및 회로2025.05.101. BCD code BCD는 Binary Coded Decimal의 약자로서 이진코드의 십진화를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BCD 코드란 8421코드를 의미하며 각 비트의 자리값은 MSB에서부터 8,4,2,1로 되기 때문에 가중코드라고 한다. BCD코드에서는 10진수의 한자리 수인 0~9까지만을 숫자로 표현하고 그 이상의 숫자에서 대해서는 don't care한다. BCD코드의 덧셈을 하려면 ①2진수의 덧셈의 규칙에 따라 두 수를 더하고 ②연산결과 4비트의 값이 9거나 9보다 작으면 그대로 결과값으로 사용하고 ③ 연산결과 4비트의 값이 ...2025.05.10
-
전기및디지털회로실험 실험 M1-2. I/O 기초와 시리얼 통신 예비보고서2025.05.101. 디지털 I/O 디지털 신호는 High(1) 또는 Low(0)라는 두 가지 값으로 나뉜다. 또한 이 값은 입력 혹은 출력의 값으로 쓰인다. 아두이노의 디지털 입력과 출력은 센서, 엑츄에이터 및 기타 집적회로를 연결할 수 있게 해준다. 2. 아날로그 I/O 아날로그 신호는 디지털 신호와 달리 어떤 값도 가질 수 있는 신호다. 아날로그 신호를 측정하기 위해 아두이노에 내장된 ADC(Analog Digital Converter)를 사용한다. ADC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바꾸어 주는 역할을 한다. 3. 시리얼 통신 시리얼 통...2025.05.10
-
아날로그 및 디지털 회로 설계 실습 결과보고서8 래치와 플립플롭2025.05.151. RS 래치 구현 및 동작 PSPICE를 활용하여 RS 래치 회로를 구현하고 동작을 확인하였다. 입력 파형을 사각파로 주었고, S는 0과 1이 10us 주기로 반복되는 파형, R은 1과 0이 10us 주기로 입력되는 파형이었다. clk 신호는 40us까지 1을 유지하다가 이후 0이 되는 신호를 입력하였다. 출력 파형은 S의 파형을 따라가다가 40us 이후 40us 시점의 값인 1로 유지하는 것을 PSPICE를 통해 확인하였고, 실제 실험에서도 동일한 결과를 얻었다. 2. Bread Board를 활용한 SR 래치 구현 및 동작 T...2025.05.15
-
홍익대 디지털논리실험및설계 8주차 예비보고서 A+2025.05.161. Gated D Latch Latch는 Enable의 레벨(0 또는 1)에 따라 1비트의 정보를 보관하고 유지할 수 있는 회로이다. Gated D Latch는 Gated S-R Latch와 유사하게 구성되어있으며, S와 R에 동시에 1이 입력되면 invalid가 되는 부분을 보완하기 위하여 입력을 D 하나만 받는다. D의 입력값을 그대로 Q로 출력한다. 2. D Flip-flop Flip-flop은 CLK의 움직임에 따라 1비트의 정보를 보관하고 유지할 수 있는 회로이다. CLK가 Active HIGH이면 0->1인 순간에 D값...2025.05.16
-
홍익대 디지털논리실험및설계 9주차 예비보고서 A+2025.05.161. 8-bit Serial-in Parallel-out Shift Register 74164 8-bit Serial-in Parallel-out Shift Register 74164의 회로도에서 MR'는 D Flip-flop의 clear와 연결되어 회로를 reset 시킨다. Active-LOW이므로 MR'이 0이 되면 모든 Q값이 0을 출력하고, 1이 되면 정상적인 Shift Register으로 작동한다. 입력은 A와 B로 나누어져 있는데, 이는 A와 B 중 하나의 입력을 Enable처럼 이용하기 위해서이다. A에 GND를 연결하...2025.05.16
-
디지털 회로 실험 및 설계 - 74LS47 Driver를 이용한 7-Segment 실험 12025.05.161. 7-segment 디스플레이 7-segment는 7개의 마디와 1개의 점으로 이루어진 표시장치이다. 마디와 점은 모두 LED이며, 7개의 마디를 선택적으로 온/오프하여 숫자나 영문자를 표시하고, 점으로는 소수점을 표시한다. 7-segment는 애노드 공통형과 캐소드 공통형이 있으며, 애노드 공통형이 주로 사용된다. 2. 7447 디코더 7447 디코더는 BCD 코드를 10진수로 바꾸어 7-segment에 표시해 준다. 출력 단자는 7-segment의 7개의 마디(a~g)와 연결하며, 출력 단자로 'low'를 출력하여 7-seg...2025.05.16
-
디지털 회로 실험 및 설계 - Encoder, Decoder 실험 22025.05.161. 디지털 회로 실험 이 보고서는 디지털 회로 실험 및 설계 과정에서 Encoder와 Decoder 실험을 수행한 결과를 다루고 있습니다. 실험에서는 74LS148 Encoder와 74LS138 Decoder 회로를 구현하고, 입력에 따른 출력 동작을 확인하였습니다. 또한 JK Flip-Flop의 동작도 관찰하였습니다. 실험 결과 분석에서는 초기값, 우선순위 인코딩, 디코딩 동작 등을 이론적으로 설명하였습니다. 오차 분석에서는 전류 측정의 불확실성, 점퍼선의 저항, 브레드보드의 상태 등이 실험 결과와 이론의 차이를 발생시킨 요인으...2025.05.16
-
디지털 회로 실험 및 설계 - 기본 논리 게이트(Gate) 및 TTL, CMOS I.F 실험 22025.05.161. 디지털 회로 실험 및 설계 이 보고서는 디지털 회로 실험 및 설계 과정에서 수행한 기본 논리 게이트(Gate) 및 TTL, CMOS I/F 실험에 대한 내용을 다루고 있습니다. 실험에서는 전압 레벨 측정, OR + Inverter 진리표 작성, AND-OR-NOT 게이트를 이용한 XOR 설계, CMOS와 TTL 인터페이스 등을 다루었으며, 이론값과 실험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습니다. 오차 분석에서는 전류 측정의 어려움, 점퍼선의 저항, 브래드 보드의 불확실성 등이 원인으로 지적되었습니다. 1. 디지털 회로 실험 및 설계 디지털 ...2025.05.16
-
디지털 회로 실험 및 설계 - 부울대수와 카르노맵, RS Flip Flop 실험 12025.05.161. 부울 대수 부울 대수(Boolean Algebra)는 영국의 수학자 조지 부울이 19세기 중반에 고안한 논리 수학입니다. 부울 대수는 AND, OR, NOT 논리를 이용하여 논리식을 표현하며, 논리식의 각 변수는 0과 1의 값(논리 레벨)을 가지고 논리 연산이 가능합니다. 부울 대수의 기본 법칙에는 교환법칙, 결합법칙, 분배법칙이 있으며, 부울 정리에는 OR 논리, AND 논리, NOT 논리가 포함됩니다. 2. 카르노 맵 논리식을 간소화할 때는 카르노 맵을 주로 활용합니다. 카르노 맵은 변수의 개수에 따라 작성되며, 2변수 또...2025.05.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