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51개
-
[생화학실험] A+, 동물세포 배양 및 세포계수2025.01.031. 효소 반응 및 활성 이 실험에서는 효소인 트립신을 이용하여 우유의 주요 단백질인 카제인을 분해하는 과정을 관찰하였다. 온도에 따른 트립신의 활성을 확인하였는데, 0°C에서는 거의 활성이 없었고 37°C와 65°C에서는 카제인이 분해되어 우유의 투명도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효소 반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온도의 중요성을 알 수 있었다. 2. 단백질 분해 효소 이번 실험에서 사용된 트립신은 단백질을 펩티드로 가수분해하는 효소이다. 트립신은 아르기닌, 리신 등의 C말단 펩티드 결합을 절단하는 엔도펩티다아...2025.01.03
-
연세대학교 생화학실험(1) 6주차 Peptide Mass Fingerprinting In-gel Digestion2025.05.041. Peptide Mass Fingerprinting (PMF) Peptide Mass Fingerprinting (PMF)은 단백질 동정을 위한 기술로, 단백질을 효소로 절단하여 생성된 펩타이드의 질량을 측정하고 데이터베이스와 비교하여 단백질을 식별하는 방법입니다. 이 기술은 SDS-PAGE를 통해 분리된 단백질 밴드에서 시작되며, 밴드를 절단하고 효소로 소화하여 생성된 펩타이드의 질량을 질량분석기로 측정합니다. 이렇게 얻은 펩타이드 질량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와 비교하여 단백질을 동정하게 됩니다. 2. In-gel Digesti...2025.05.04
-
Bradford법을 이용한 단백질의 정량 분석2025.01.151. 단백질 정량 분석 실험 목적은 Bradford법을 이용하여 단백질 정량을 하고 Standard curve를 그리는 것입니다. Bradford법은 산성용액에서 Coomassie brilliant blue 염료가 단백질과 결합하여 최대 흡광도가 595 ㎚로 이동하는 원리를 이용합니다. 따라서 595 ㎚에서의 흡광도가 단백질 농도와 비례합니다. 이 방법은 빠르고 비단백질성분들에 의한 방해도 거의 없어 실험실에서 가장 자주 사용하는 단백질 정량법입니다. 2. 단백질 정량의 중요성 단백질 정량은 생화학 실험에서 기본이 되는 과정입니다....2025.01.15
-
헤모글로빈 측정 시험2025.01.131. 헤모글로빈 측정 헤모글로빈(Hb)의 농도를 측정하는 실험이다. 헤모글로빈 농도 측정은 빈혈을 진단하는 필수적인 생화학적 조사 방법이며, 적혈구 증가증의 중요한 지표가 되므로 헤모글로빈 농도 측정 실험을 숙지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많은 실험에서 사용되는 micro 피펫의 사용법을 숙지한다. 2. 분광광도계 사용 분광광도계는 빛을 이용하여 투과/반사율 등을 측정하여 샘플과 미지 시료의 구성, 농도 등을 측정할 수 있는 기계로서 광원, 검출기, 단색 화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분광광도계를 사용하여 시료의 흡광도를 측정할 때는 반드...2025.01.13
-
TRIS 완충용액 제작 방법 및 특징2025.01.141. 완충용액 완충용액은 화학적으로 안정적인 pH 값을 유지하는 용액으로, 화학 실험, 생물학 연구, 의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완충용액은 주로 약한 산과 그 상응염기 조합으로 만들어지며, pH를 상대적으로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한다. 2. Tris 완충용액 Tris 완충용액은 트리스(트리스아민)와 트리스염(트리스하이드록시메틸아미노메탄)을 혼합하여 만든 완충용액으로, pH 7.0에서 9.0까지의 범위에서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다. 트리스의 약한 산성 특성과 염기 특성을 활용하여 산과 염기의 중화 반응을 통해...2025.01.14
-
[생화학실험] (A+)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bovine Milk a-Lactalbumin 예비 결과레포트2025.05.031. 우유의 구성 성분 우유는 87.4%의 물과 4.8%의 유당(lactose), 3.4%의 단백질, 0.7%의 미네랄로 구성되어 있다. 단백질은 카제인(casein)과 α-Lactalbumin, β-Lactoglobulin, immunoglobulins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2. α-Lactalbumin의 특성 α-Lactalbumin은 유청 단백질(whey)의 한 종류로, 분자량이 약 14,200 Da이며 123개의 아미노산과 4개의 disulfide bridges로 구성되어 있다. 우유에 평균 1 mg/mL의 농도로 존재하며...2025.05.03
-
[만점 레포트] 연세대학교 생화학실험(1) 12주차 다당류의 구조분석 및 요오드 반응2025.05.041. 다당류의 구조분석 이 실험에서는 요오드 산화(periodate oxidation) 반응을 이용하여 단당류와 이당류의 함량을 계산하고 다당류(글리코겐)의 1차 구조를 알아보았습니다. 요오드 산화 반응은 인접한 두 개의 하이드록시기 또는 하이드록시기와 알데히드/케톤기가 있는 경우 산화와 C-C 결합 분해를 일으킵니다. 실험 결과, 이론적인 값과 오차율을 보였고 글리코겐의 가지 개수도 측정되었습니다. 이를 통해 다당류의 구조적 특성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2. 요오드 산화 반응 요오드 산화 반응은 당 분자 내 인접한 두 개의 하이...2025.05.04
-
[만점 레포트] 연세대학교 생화학실험(1) 13주차 원심분리를 이용한 마우스 혈액면역세포 분리2025.05.041. 마우스 말초혈액 단핵세포 분리 마우스 말초혈액에서 단핵세포를 원심분리 방법을 이용하여 분리하는 실험 내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말초혈액 단핵세포에는 림프구, 단핵구, 자연살해세포 등이 포함되며, 이를 분리하여 면역학 연구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2. 림프구 아집단 분리 말초혈액 단핵세포에는 다양한 림프구 아집단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실험에서는 원심분리를 통해 림프구 아집단을 분리하는 방법이 설명되어 있습니다. 이를 통해 각 림프구 아집단의 특성을 연구할 수 있습니다. 3. 세포 생존율 측정 분리된 말초혈액 단핵세포의 생존율...2025.05.04
-
[생화학실험]단백질 분리정제 및 기능분석 - buffer 만들기2025.05.051. 단백질 분리정제 및 기능분석 이 실험에서는 단백질 분리정제 및 기능분석을 위한 준비 과정으로 buffer를 제조하는 방법을 다룹니다. Buffer는 pH 변화에 영향을 받지 않는 용액으로, 생체반응에서 생성되는 산과 염기를 흡수할 수 있습니다. 실험에서는 1M Tris-HCl (pH 7.4), NaCl, MgSO4 stock solution을 제조하고, 이를 이용해 다양한 NaCl 농도의 elution buffer를 만드는 과정을 설명합니다. 또한 pH 미터기 사용법과 주의사항, 그리고 alkaline phosphatase 정...2025.05.05
-
생화학 실험/실습 보고서 (아미노산의 적정)2025.01.231. 아미노산 적정 이 실험의 목적은 미지의 아미노산 용액을 염기성 용액으로 적정하여 적정 곡선을 통해 어떤 아미노산인지 확인하는 것입니다. 실험 방법은 0.2M NaOH 용액을 제조하고 pH 미터를 보정한 후, 0.1M 미지 아미노산 용액 A 10mL에 NaOH 용액을 0.5mL씩 떨어뜨리면서 pH를 측정하여 적정 그래프를 그리고 대략적인 pKa값과 당량점, 사용한 아미노산이 Lysine, Phenylalanine, Aspartic acid 중 하나인지 확인하는 것입니다. 1. 아미노산 적정 아미노산 적정은 아미노산의 농도를 정확...2025.0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