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4개
-
심근경색 pbl2024.11.031. 사례 개요 1.1. 환자 정보 환자 정보는 다음과 같다. 조○○씨는 61세 남환으로 2021년 12월 9일 chest pain, dyspnea를 주호소로 응급실에 내원하여 NSTEMI 진단을 받고 CCU에서 본원으로 전원되었다. 과거력으로는 2000년부터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을 앓고 있었으며 가족력은 없었다. 흡연력과 음주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대상자는 CABG 수술 후 현재 Isoket 50mg + 5% DW 200ml mixed fluid(15)ml/hr, heparin 2만 unit+ 5% DW 500ml ...2024.11.03
-
심장관류저하위험2025.03.16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심장질환은 2022년 통계청에서 발표한 한국인 사망 원인 중 2위를 차지하면서 심장질환에 의한 사망자 수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 최근 5년간 협심증(Angina) 질환자 수가 연평균 4.1% 증가하였다. 협심증 환자가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이유로는 식단이 서구화됨에 따라 고혈압, 당뇨병 등과 같은 만성질환이 증가하게 되어 운동부족, 비만, 과도한 스트레스 등과 같은 동맥경화증(atherosclerosis)의 위험인자가 되는 질환이 증가하게 되고, 최근 의학적인 발전으...2025.03.16
-
응급중환자실케이스 심장성쇼크2025.03.27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심근경색증은 현대 사회에서 점점 증가하고 있는 질병이다. 보건복지부 통계에 따르면 우리나라 30세 이상 인구 3명 중 1명이 뇌졸중이나 심근경색과 같은 심·뇌혈관질환에 걸릴 가능성이 높다. 이는 비만, 고혈압, 당뇨, 고콜레스테롤 등의 심장 질환 위험인자가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심근경색증에 대한 이해와 간호 지식을 높이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번 case study를 통해 심근경색증 환자의 양상과 특성을 파악하고 이에 따른 간호 중재를 학습하여 향후 임상현장에서 심근경색증 환...2025.03.27
-
ECMO ICU2025.04.031. 서론 1.1. 심근경색의 정의와 원인 심근경색은 심장에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하는 관상동맥이 급성으로 막히는 경우로, 심장 근육의 조직이나 세포가 괴사하는 상황이다. 심근경색은 짧은 시간 안에 가장 위험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는 중증도가 높은 질병이다. 심근경색의 주된 원인은 관상동맥의 죽상경화증이 진행되는 과정 중에 갑자기 발병된다. 관상동맥의 갑작스런 폐색은 죽상반이 파열되거나 균열이 생기면서 형성되는 혈전에 의해 관상동맥의 혈류가 완전히 차단됨으로써 발생된다. 1.2. 심근경색의 병태생리 관상동맥의 갑작스런 폐색으로 손상...2025.04.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