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20개
-
Gene cloning2024.09.301. 유전자 클로닝 1.1. 유전자 클로닝의 개요 유전자 클로닝이란 생물체의 특정 유전자를 세포에서 추출한 후, 그 유전자를 벡터 DNA에 삽입하고 Competent Cell에서 증식시킴으로써 균일한 유전자 집단을 생성하는 기술이다. 다른 말로 유전자 클론화라고도 하며 특정 유전자의 대량 복제를 위해 쓰이는 중요한 DNA 재조합 기술이다. 이 기술은 기본적으로 수많은 종의 유전체와 종간 유전적 다양성을 연구하기 위해서 유전체의 DNA 조각, 혹은 서로 겹쳐져 있는 염기서열의 분석을 위해 활용된다. 또한 개별 유전자 수준에서 핵산의...2024.09.30
-
유전자 클로닝2024.09.301. 실험 개요 1.1. 실험 배경 및 이론 이 실험은 개인의 상피세포 DNA를 분석하여 특정 유전자의 염기서열 차이를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피세포는 신체의 가장 바깥층을 이루는 조직으로, 상피세포에 존재하는 DNA를 분석하면 개인의 유전적 특성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이 실험에서는 주요 조직적합성복합체(MHC) 관련 유전자를 대상으로 한다. MHC 유전자는 인간백혈구항원(HLA)로도 알려져 있으며, 개인의 면역 반응과 질병 발병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MHC 유전자의 다형성을 분석하면 특정 질병과의 연관성을 확인...2024.09.30
-
동물실험 찬성2024.10.211. 동물실험의 역사와 현황 1.1. 동물실험의 정의와 목적 동물실험이란 "교육, 시험, 연구 및 생물학적 제제의 생산 등 과학적 목적을 위해 동물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실험 또는 그 과학적 절차"를 의미한다. 동물실험의 목적은 크게 네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 의학적 연구 및 신약 개발을 위해 동물을 활용한다. 동물실험은 질병의 발병 원인과 진행 과정을 규명하고, 새로운 치료법과 약물을 개발하는 데 필수적인 과정이다. 특정 질병을 가진 동물을 대상으로 약물의 유효성과 안전성을 검증하는 등의 연구가 이루어진다. 둘째,...2024.10.21
-
유전2024.11.031. 유전의 기초 1.1. 유전학의 역사 유전학의 역사는 과거로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발견과 연구를 거치며 발전해왔다. 과거에는 유전에 대한 개념이 매우 모호했는데, 사람들은 유전이 몸속 액체들의 혼합작용으로 인해 일어난다고 생각했다. 정액에서 유전정보가 오는 것이라고 생각했으며, 피의 개념을 중요하게 여겼다. 이러한 개념은 순수 혈통, 혼혈 등의 단어에서도 드러나고 있다. 이후 판게네시스(pangenesis) 이론이 등장했는데, 이 이론은 원자론으로 유명한 철학자 데모크리토스가 처음 제안한 것으로, 혈액 속에 입자...2024.11.03
-
Infusion cloning2024.10.081. 박테리아의 형질전환 1.1. 배지의 제조 Plate는 박테리아가 자랄 수 있는 최적의 환경이어야 한다. 박테리아는 plate 상에서 자라 colony를 형성하는데, 한 개의 colony는 한개의 clone으로부터 자란 것이므로 이를 분획하여 여러 실험에 사용할 수 있게 된다. Plate의 조성은 배양시 사용하는 액체 배지(media)의 조성에 agar를 첨가한 것이다. 이때 첨가하는 agar의 농도는 1.5%이며, top agar와 같은 특수한 용도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agar의 농도를 변화시키기도 한다. 실험방법으로 우선...2024.10.08
-
PCR,전기영동,T-vector ligation2024.10.221. Gel extraction & TA cloning 1.1. 실험 개요 Agarose gel 전기영동을 통해 확인한 PCR product를 gel 상에서 분리 및 정제하는 Gel extraction을 수행하고, 분리된 PCR product의 3' 말단에 Taq polymerase로 인해 A overhang이 존재한다는 특성을 이용하여 T vector에 DNA ligase로 연결시키는 TA cloning을 진행하는 것이 이번 실험의 개요이다." 1.2. Gel extraction 1.2.1. 원리 gel 추출의 원리는 다음과 ...2024.10.22
-
DNA 손상 및 복구, 분자유전학 인트로2024.10.251. 유전자 침묵 1.1. 유전자 silencing의 정의와 특징 유전자 silencing은 유전자의 염기배열을 변화시키지 않고, 그의 발현을 인위적으로 억제하는 것을 말한다. 이는 RNA분자를 표적으로 하여 유전자 발현억제가 생기는 경우에 RNA침묵(RNA silencing)이라고 부르며, 표적RNA에 상보적인 뉴클레오티드배열로 구성되는 두가닥 RNA로 구성되는 두 가닥 RNA가 특이적인 RN(A)(가수)분해효소Ⅲ에 의해 절단되어 생성되는 짧은(21~25 뉴클레오티드)의 RNA분자가 표적RNA분자 절단 또는 번역저해를 야기한다....2024.10.25
-
LB broth2024.11.011. 미생물 배지 제조 및 멸균 1.1. 미생물 배지의 이해 1.1.1. 미생물 배양에 필요한 영양 성분 미생물 배양에 필요한 영양 성분은 다음과 같다. 미생물이 생장하기 위해서는 탄소원, 질소원, 무기염류, 비타민 등 다양한 영양 성분이 필요하다. 탄소원은 보통 포도당, 자당, 면역효소 등이 사용되며, 질소원으로는 암모니아, 질산염, 요소, 아미노산 등이 이용된다. 무기염류에는 칼슘, 마그네슘, 철, 인, 황, 염소, 칼륨 등이 포함되며, 이들은 효소, 세포막, 세포벽 구성에 필요하다. 또한 비타민 B1, B2, B6, 니...2024.11.01
-
E.coli로부터 DNA purification2024.10.091. TA Cloning 및 형질전환 1.1. TA Cloning TA Cloning은 Taq DNA Polymerase가 PCR 산물의 3' 말단에 Adenine(A) 염기를 부가하는 특성을 이용하여 클로닝하는 방법이다. Taq Polymerase는 복제 과정에서 3' 말단에 A 염기를 붙이게 되는데, 이를 이용하여 T 염기가 돌출된 선형화된 벡터에 PCR 산물을 결합시키는 것이다. 이는 벡터와 삽입유전자 간 결합을 용이하게 하여 클로닝 효율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TA Cloning의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Ta...2024.10.09
-
특정 유전자를 선택하여 T-Vector에 삽입시키고 이를 E-Coli 내에 transformation 시켜 형질전환 박테리아를 선택적으로 배양2024.11.161. Transformation 조 1.1. 실험 목적 재조합된 DNA(eGFP DNA)를 Competent cell에 넣고, 배양된 Colony를 대조군과 비교함으로써 형질전환(Transformation)에 관하여 고찰해보는 것이 이 실험의 목적이다. 수용세포에 노출된 DNA가 흡수, 통합, 발현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형질전환은 몇몇 박테리아 사이에서 자연적으로 일어나는 현상이다. 그러나 대장균을 포함한 다른 종들은 외부 DNA를 흡수할 능력이 없기 때문에 인공적인 방법으로 형질전환을 유도하게 된다. 이번 실험에서는 경쾌한 녹색...2024.1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