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8개
-
naoh na2co3 혼합물의 정량2024.09.111. 실험 개요 1.1. 실험 목적 이 실험의 목적은 산-염기 적정과 지시약 이용, 미지시료 정량 적정과 표준화를 이해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산-염기의 중화적정을 통해 농도를 알 수 없는 염기(산)을 정량 분석하는 방법을 이해하고, 표준용액을 활용하여 미지 시료 내 성분의 함량을 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또한 혼합 알칼리(NaOH-Na2CO3)의 정량 방법인 와르더법과 빈클러법을 실습하고, 각 방법의 특징과 적용 조건을 파악하는 것도 이 실험의 주요 목적이다. 1.2. 산-염기 적정법 산-염기 적정법은 산(염기)의 표준용...2024.09.11
-
페놀프탈레인 용액 제조 시 주의하여야 할 점에 대해 기술2024.09.281. 표준용액 제조 1.1. 당량과 노르말 농도 당량은 화학반응의 성질에 따라 정해진 원소 혹은 화합물의 일정량을 의미하며, 원소의 당량, 산과 염기의 당량, 산화 환원의 당량으로 구분된다. 화학반응에서 반응물질이 정량적으로 반응하였을 때 각 반응물질의 양적비는 항상 일정하며 이때 반응물질은 화학적으로 '서로 당량하다'고 표현한다. 어떤 물질 1분자가 반응에 참여하는 수소 n원자를 갖거나 산소 n/2 원자와 당량인 경우 당량수는 n이다. 노르말 농도는 용액 1L 속에 녹아 있는 용질의 g당량수를 의미한다. 여기에서 g당량은 (용...2024.09.28
-
부경대 화학2024.10.071. Luminol의 화학발광 1.1. 사용되는 시약 및 실험기구 1.1.1. 시약 Luminol은 3-aminophthalhydrazid의 화학식을 가지며, 분자량은 177.16g/mol이고 녹는점은 592K이다. Luminol은 화학발광 실험에 사용되는 주요 시약 중 하나이다. NaOH(수산화나트륨)는 화학발광 실험에서 Luminol 용액을 염기성으로 만드는 데 사용된다. NaOH의 분자량은 39.9971g/mol이고, 밀도는 2.13g/이며, 녹는점은 596K, 끓는점은 1661K이다. HCl(염산)은 Luminol...2024.10.07
-
Cstr 예비2024.10.081. 실험 개요 1.1. 실험 제목 "이 실험은 'CSTR을 이용한 Ethyl acetate와 NaOH의 비누화 반응에서의 반응 속도 측정'이다." 1.2. 실험 목적 CSTR을 이용한 Ethyl acetate와 NaOH의 액상 비누화 반응을 통해서 해당 반응속도식의 속도상수(k)와 전체 반응차수(n)를 계산하는 방법을 배우는 것이 실험의 목적이다." 1.3. 실험 이론 1.3.1. 반응기의 종류 1.3.1.1. 회분 반응기(Batch Reactor) 회분 반응기(Batch Reactor)는 반응물이 반응하는 동안 담아두는 용...2024.10.08
-
용액의제조및표준화2024.10.061. 화학실험 용액의 제조 및 표준화 1.1. 실험 이론 1.1.1. 농도 농도는 일정한 영역 내에 존재하는 물질의 양을 말한다. 농도는 모든 종류의 혼합물에 적용되지만, 화학에서는 일반적으로 용액에 존재하는 용질의 상대적인 양을 말한다. 용액에서 용질의 농도는 용액의 부피에 대한 용질의 양으로 표현되며, 이를 통해 용질의 상대적인 양을 나타낼 수 있다. 농도를 표현하는 방법에는 질량 농도, 몰 농도, 부피 농도 등이 있다. 질량 농도는 단위 부피 당 용질의 질량으로 표현되고, 몰 농도는 단위 부피 당 용질의 몰수로 표현된다. ...2024.10.06
-
르샤틀리에의 원리 평형의 이동2024.10.261. 일반화학실험 1.1. 실험 목적 및 이론 이번 실험의 목적은 수용액에서 평형 상태에 있는 반응 혼합물에 특정 물질을 첨가하여 평형이 이동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는 것이다. 실험 이론으로는 르샤틀리에 원리가 적용된다. 르샤틀리에 원리는 평형에 있는 계에 외부에서 변형을 주면 계는 새로운 평형 위치에 도달하려 하기 때문에 그러한 자극을 부분적으로 상쇄하려는 방향으로 조절하게 된다는 것이다. 여기서 "변형"이란 말은 계의 평형 상태를 깨뜨리는 농도, 압력, 부피, 온도의 변화를 의미한다. 동일한 이온이 포함되어 있는 2개의 ...2024.10.26
-
Miniprep 레포트2024.10.151. 개요 1.1. 실험 목적 이 실험의 목적은 Alkaline lysis법을 이용하여 대장균 E.coli로부터 Plasmid DNA를 선택적으로 분리하고 추출한 Plasmid DNA의 크기를 분석하는 것이다. 플라스미드는 박테리아 세포 내에 존재하는 독립적으로 복제되는 원형의 DNA 분자로, 유전자 재조합 기술에서 널리 활용된다. 따라서 이 실험을 통해 박테리아로부터 순수하게 플라스미드 DNA를 분리해내는 기술을 습득하고, 이를 활용한 유전자 조작 등의 실험에 응용할 수 있다. 1.2. 실험 개요 이번 실험의 개요는 다음과 같...2024.10.15
-
일반생물학 실험 플라스미드 DNA 추출2024.11.241. 플라스미드 DNA 추출 1.1. 실험 목적 '플라스미드 DNA 추출' 실험의 목적은 Alkaline lysis (denaturation) method에 대해 알아보고, 이 방법을 통해 플라스미드 DNA를 추출해보는 것이다. 즉, 이 실험을 통해 플라스미드 DNA를 추출하는 대표적인 방법인 Alkaline lysis 방법의 원리와 특성을 이해하고, 실제로 이 방법을 적용하여 대장균으로부터 플라스미드 DNA를 분리해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2. 실험 이론 및 원리 1.2.1. DNA Mini prep DNA Mini p...2024.1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