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9개
-
식물분자생물학실험 Colony PCR 결과보고서2025.01.181. Colony PCR Colony PCR은 형질 전환 후 selective media에서 성장한 박테리아의 colony를 신속하게 screening하여 원하는 유전자가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PCR 검사 기법입니다. PCR 반응 과정에서 heating step이 존재하기 때문에 대부분의 형질전환체는 lysis되어 유전물질을 방출하게 되고, 이때 방출된 유전물질을 template으로 활용하여 amplification reaction을 진행합니다. Positive Control과 Negative Control은 PCR 반응의 정확성과 ...2025.01.18
-
식물분자생물학실험 Genotyping 결과보고서2025.01.181. Genotyping 이 보고서는 식물 샘플에서 추출한 Genomic DNA를 PCR로 증폭하고 gel electrophoresis를 통해 DNA 삽입 여부를 확인하는 실험 결과를 다루고 있습니다. 실험 결과, T-DNA-specific primer를 사용한 샘플에서 600~700bp 사이의 밴드가 검출되었으며, 이는 해당 식물에 T-DNA가 Homozygote 상태로 삽입되었음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실험 기법은 형질전환 식물에서 유전적 특성의 안정적인 유지를 증명하고 연구 및 상업적 활용에 있어 예측 가능성을 제공하는 데 중요...2025.01.18
-
식물분자생물학실험Arabidopsis seed sterilization and germination 결과보고서2025.01.181. Arabidopsis seed sterilization and germination 본 실험에서는 형질전환된 Arabidopsis seed 를 70% ethanol과 10% NaClO 희석액을 이용해 소독하여 종자 표면의 미생물 오염원을 제거하고, 항생제가 투입된 media에서 발아시켜 형질전환체를 선별하는 과정을 진행하였다. 실험 결과, 다수의 종자가 정상적으로 발아되었고, 배지에서 오염원에 의한 contamination이 관찰되지 않았다. 이는 70% ethanol과 10% NaClO 희석액이 식물 종자 표면의 오염원을 정...2025.01.18
-
식물분자생물학실험 Agrobacterium Transformation 결과보고서2025.01.181. Agrobacterium competent cell (GV3101) GV3101은 Agrobacterium tumefaciens Chemically Competent Cell의 일종으로, 애기장대, 담배, 옥수수, 감자 등의 식물을 형질 전환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여기에는 screening을 위한 rifampicin resistant gene (rif)이 미리 포함되어 있으며, gentamicin resistance gene 과 vir gene을 포함한 Ti plasmid를 운반할 수 있다. 2. Freeze-Thaw met...2025.01.18
-
식물분자생물학실험 Agrobacterium 매개 식물 형질전환 예비보고서2025.01.181. Agrobacterium 매개 식물 형질전환 Agrobacterium을 매개체로 활용하여, 식물에 유전자를 도입하여 형질전환하는 방법에 대하여 학습한다. 유전적 형질전환이란 수용자 세포가 외부 유전물질을 받아들여 자신의 유전정보에 도입하는 과정을 통해 유전자의 변환이 일어나는 현상을 말한다. 식물의 유전자를 변형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가장 널리 활용되고 있는 방법은 Agrobacterium 매개 형질전환이다. Agrobacterium tumefaciens는 다수의 외떡잎 혹은 쌍떡잎 속씨식물들과 겉씨식물에 DNA를 전달할 수 있...2025.01.18
-
식물분자생물학실험 Histochemical GUS assay 결과보고서2025.01.181. GUS assay GUS assay는 Escherichia coli β-glucuronidase gene uidA (GUS)를 식물에서 reporter gene으로 활용하는 방법으로, 형광 측정, 분광 광도 측정 또는 조직화학적 기술을 통해 목적 유전자의 발현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GUS assay는 높은 감도, 효소 안정성, 단순성으로 인해 자주 활용되며, 특히 histochemical staining을 통해 endogenous promoter activity를 관찰하는데 유용하다. 2. GUS 염색 원리 GUS assa...2025.01.18
-
식물분자생물학실험 Plant genomic DNA extraction 결과보고서2025.01.181. DNA purification DNA extraction이라고도 불리는 DNA purification은 DNA를 각종 시료에서 얻어낸 sample로부터 추출하고, 물리적, 화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DNA만 정제하는 방법을 말한다. 이를 위해 cell을 녹이고, 불필요한 다른 물질을 제거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대표적인 DNA purification 방법으로 organic extraction (phenolchloroform method), nonorganic method (salting out and proteinase K trea...2025.01.18
-
식물분자생물학실험 Plant Transformation 결과보고서2025.01.181. Floral-dipping method Floral-dipping method는 Arabidopsis를 간단하게 형질 전환하는 방법 가운데 하나이며 1993년 Bechtold et al.(1)의 논문을 통하여 제안되었다. 이 방식은 대부분의 형질 전환된 자손에서 유전적 균일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조직 배양 및 재생과 관련된 체세포 변이가 최소화된다는 장점이 있다. 이 방법의 주요 단점은 단 하나의 식물 종인 Arabidopsisthaliana에 대해서만 정상적으로 작용한다는 것으로, 다른 식물종에 이 방식을 활용하지못한다는 ...2025.01.18
-
식물분자생물학실험 Real-time PCR (Quantitative RT-PCR) 결과보고서2025.01.181. RT-PCR RT-PCR은 RNA 서열을 DNA로 역전사하여 PCR을 통해 증폭하는 기술이다. 이는 RNA 기반 생명체의 유전자 발현 분석에 활용되며, COVID-19 팬데믹 당시 SARS-CoV-2 바이러스 검출에 중요하게 사용되었다. 2. Quantitative RT-PCR Quantitative RT-PCR은 유전자 발현량을 정량화하는 기술로, 실시간으로 형광 신호를 측정하여 유전자 증폭 정도를 확인할 수 있다. SYBR Green과 TaqMan probe 방식이 대표적이며, 각각 장단점이 있다. 3. C3H55 유전자 ...2025.0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