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4개
-
아주대 생물학실험1 결과보고서 [7주차 생물 정보학]2025.01.031. 생물정보학 생물정보학은 생물학과 정보학의 합성어로, 생물학적 데이터의 양적 진화와 해석하는 도구의 발전을 바탕으로 발달한 학문입니다. 생물정보학의 최종적 목표는 많은 생물학적 데이터의 올바른 확립, 데이터의 올바른 분석, 그리고 의미 있는 해석과 예측입니다. 생물정보학에서는 데이터베이스 구축, 알고리즘, 소프트웨어 등 컴퓨터 기술이 활용되며, DNA 서열 분석, RNA/단백질 발현 분석, 구조생물정보학, 시스템 생물학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됩니다. 대표적인 생물정보학 기관으로는 NCBI와 EMBL-EBI가 있습니다. 2. BL...2025.01.03
-
아주대 생명과학실험 생물정보학 실습2025.01.131. 생물정보학 생물정보학은 생물학적 데이터를 분석하고 해석하기 위한 분야로, 데이터 세트가 크고 복잡한 경우에 특히 유용하다. 이 분야는 생물학, 화학, 물리학, 컴퓨터 과학, 컴퓨터 프로그래밍, 정보 공학, 수학 및 통계를 포함한 다양한 학문을 통합하여 생물학적 데이터를 분석하고 해석한다. 생물정보학의 주요 응용 분야에는 유전체학, 단백질체학, 이미지 및 신호 처리, 텍스트 마이닝, 생물학적 및 유전자 온톨로지 개발, 유전자 및 단백질 발현 및 조절 분석 등이 포함된다. 2. BLAST BLAST(Basic Local Align...2025.01.13
-
프로테오믹스 기법을 이용한 파골세포 활성 단백질 탐색2025.01.121. 파골세포의 활성 조절 파골세포는 뼈를 분해하는 역할을 하며, 이들의 활성은 호르몬 변화나 염증에 의해 촉진됩니다. 연구 결과, 파골세포 내의 CK-B 단백질이 이 세포의 활성을 조절하며, CK-B 단백질을 억제하면 뼈의 파괴를 막을 수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습니다. 2. 프로테오믹스 기법 프로테오믹스는 수백, 수천 개의 단백질을 한꺼번에 분석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이를 위해 단백질 분리 정제 기법, 단백질 성상 분석 방법, 생물정보학을 이용한 정보 통합 등의 기술이 사용됩니다. 이를 통해 복잡한 생명 현상을 단백질 수준에서 이...2025.01.12
-
아주대 생물학실험 1 생물정보학실습2025.01.121. 생물정보학 생물정보학은 생물학적 데이터를 저장, 검색, 구성하고 분석하는 데 생물공학 IT를 사용하는 분야를 일컫는다. 유전체 서열 프로젝트나 여타 연구에서 엄청난 양의 데이터가 생성되었는데, 이 데이터 웨이브의 결과 생물학 분야의 난제는 대부분 컴퓨팅 쪽 문제로 바뀌게 되었다. 생물정보학이라는 용어는 1970년 Paulien Hogeweg와 Ben Hesper가 처음 사용한 말이다. 현재는 좀 더 넓은 의미로 사용되어 컴퓨터 구조 생물학, 화학 생물학과 시스템 생물학 등을 포괄한다. 2. NCBI NCBI는 미국 국립보건원 ...2025.01.12
-
아주대학교 A+ 생명과학실험 생물정보학실습2025.01.131. 생물정보학 생물정보학은 수학이나 통계학을 기초로 하여 컴퓨터를 이용해 생물학을 연구하는 학문을 의미한다. BLAST는 DNA 염기 서열과 아미노산 서열 등과 같이 생물학적 서열 정보를 비교하는 알고리즘이며, BLOSUM은 서열을 정렬할 때 쓰이는 치환 행렬로 두 아미노산 간의 유사성을 나타내는 매트릭스이다. 다중 서열 정렬(MSA)은 3개 이상의 DNA 염기 서열 또는 아미노산 서열을 한꺼번에 묶어서 정렬하는 방법으로, 대표적인 알고리즘은 ClustalW이다. 2. BLAST BLAST는 DNA 염기 서열과 아미노산 서열 등과...2025.01.13
-
Gene Expression Analysis and Gene Set Enrichment Analysis2025.01.181. 전사체 데이터 유전 요인의 중요성이 부각됨에 따라 의료 분야에서는 사람들의 유전적 성향을 파악하여 질병을 예측, 예방하고, 개인의 유전정보를 기반으로 한 맞춤 의료 서비스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맞춤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사람의 유전정보를 분석해야 하는데, 이 경우 전사체 (transcriptome: 세포나 조직에서 한순간 발현되는 전체 RNA의 모음을 의미한다. 이 RNA들을 이용하여 조직에 따라 발현되는 유전자들의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분석을 이용할 수 있다. 전사체 분석을 통해 정상 세포와 비정상 세포...2025.01.18
-
유당분해효소 유전자 데이터 분석2025.01.171. 유당불내증 유당불내증은 유당분해효소인 락테이스의 결핍으로 인해 발생하는 증상이다. NCBI의 OMIM 데이터베이스에서 락테이스 합성 유전자인 B3GNT5 유전자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유전자는 3번 염색체에 위치하며, 락토실세라마이드를 합성하는 효소를 암호화한다. 유당불내증 환자의 경우 이 유전자의 돌연변이로 인해 락테이스 효소가 정상적으로 합성되지 않아 유당을 분해하지 못하게 된다. 1. 유당불내증 유당불내증은 유당을 소화하고 흡수하는 능력이 부족한 상태를 말합니다. 이로 인해 유당을 섭취하면 복통, 설사, 가...2025.01.17
-
AI와 DNA 시퀀싱2025.01.151. 유전자와 AI DNA 시퀀싱은 유전자의 염기서열을 알아내는 과정으로, 인간의 염색체에는 30억 쌍의 염기서열이 있어 엄청난 크기의 데이터를 다루게 된다. 이에 유전학에서는 막대한 양의 데이터를 처리하고자 AI를 사용하고 있으며, 대표적인 분야가 AI 시퀀싱이다. 2. DNA 시퀀싱 DNA 시퀀싱은 생화학적 방법으로 생명체의 모든 세포의 DNA 염기서열을 분석하는 기술이다. 과거에는 30억 개의 DNA 염기서열을 분석하는데 13년과 30억 달러가 소요되었으나, 현재는 기술 발달로 비용이 크게 감소했다. 다양한 DNA 시퀀싱 방법...2025.01.15
-
[A+레포트] DNA 제한효소 예비레포트2025.01.221. 제한효소 제한효소는 생물이 자기 세포에 다른 종류의 DNA가 들어오면 이를 파괴하는 기능을 가진 효소이다. 유전공학에서는 재조합 DNA를 만들기 위해 사용되는 특수한 효소로 알려져 있다. 제한효소에는 크게 3종류가 있으며, 모두 특정한 DNA 염기 배열을 인식한다. 유전공학에서 잘 사용되는 것은 II형 제한효소이며, 절단부위가 인식부위의 가운데 위치하는 것이 특징이다. 2. 아가로스 겔 전기영동 전기영동은 DNA와 같은 전하를 띠는 물질들을 전기적으로 일정한 방향으로 이동시켜 분리하는 기술이다. DNA는 인산기에서 H+를 방출...2025.01.22
-
[생물학실험1] 생물정보학2025.01.191. 생물정보학 생물정보학은 생물학과 컴퓨터를 이용한 정보학이 통합되어 발전된 학문으로, 수학이나 통계학을 기초로 컴퓨터를 이용하여 생물학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생물정보학으로 인해 유전 정보 등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발전시킬 수 있었으며, 컴퓨터를 이용한 실험 모델의 생산 등이 가능해졌다. 2. NCBI NCBI(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는 미국 국립생물공학정보센터로, 생물 의학 및 게놈 정보에 대한 액세스를 제공함으로써 과학과 건강을 발전시키는 정보센터이다. 게놈 분석, 서...2025.0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