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230개
-
진공관을 이용한 AMP 제작 프로젝트2025.01.161. 진공관 AMP 제작 이 프로젝트는 진공관을 이용하여 AMP를 제작하는 것입니다. 팀명은 '지금 만들러 갑니다'로, 프로젝트를 즐겁게 진행하겠다는 의지를 표현합니다. 목표는 전자시스템 설계 및 구현 능력을 기르고 팀워크를 향상시키는 것입니다. 진공관을 선택한 이유는 성능이 좋고 제작이 수월하기 때문입니다. 회로 분석, 부품 배치, 시뮬레이션, 케이스 제작 등의 과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완성된 AMP를 제작하였습니다. 1. 진공관 AMP 제작 진공관 AMP 제작은 매력적인 주제입니다. 진공관 기술은 현대 전자 기술의 기반이 되었으며...2025.01.16
-
교류및전자회로실험 실험4-2 페이서 궤적 예비보고서2025.01.171. 교류회로의 측정 교류회로 내에서 임피던스 변화에 따른 페이서의 변화를 추적함으로써 교류회로의 동작과 임피던스의 주파수특성에 대한 이해를 높임. 전류의 페이서는 리액턴스가 변화한 때 반지름이 1/2R로 주어지는 원주선상에서 이동하며, 저항이 변화할 때는 두 개의 원을 그리게 됨. 주파수 변화에 따라 리액턴스가 전체적으로 용량성이 되면 페이서가 원의 윗부분에, 그리고 리액턴스가 전체적으로 유도성이 되면 페이서가 원의 아래부분에 위치하게 됨. 2. 페이저 궤적 분석 실험을 통해 다양한 조건에서의 페이저 궤적을 확인함. 인덕터 값, ...2025.01.17
-
전자회로설계 및 실습10_설계 실습10. Oscillator 설계_결과보고서2025.01.221. Op-Amp를 이용한 Oscillator 설계 본 실습에서는 Op-Amp를 이용한 Oscillator (신호발생기)를 설계 및 측정하여 positive feedback의 개념을 파악하고, 피드백 회로의 신호 파형에 대해 학습하였습니다. 설계한 Oscillator 회로를 구현하고 파형을 측정하여 PSPICE 시뮬레이션 결과와 비교하였습니다. 또한 RC 값의 변화에 따른 Oscillator의 특성을 확인하였습니다. 측정 결과, 전압 임계값 VTH, VTL에서 약 10% 정도의 오차가 발생하였지만, 주기 T와 주파수 f 계산 시 오...2025.01.22
-
BJT 3-BJT Amplifier_예비레포트2025.01.121. BJT 증폭기 이 보고서는 BJT(Bipolar Junction Transistor) 증폭기의 작동 원리와 특성을 다룹니다. Common Emitter 회로에서 BJT의 전압 및 전류 관계를 설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Small Signal Parameters와 Gain을 계산하는 방법을 제시합니다. 또한 실험을 통해 이론적 예측과 실제 측정 결과를 비교하여 BJT 증폭기의 동작을 확인합니다. 1. BJT 증폭기 BJT(Bipolar Junction Transistor) 증폭기는 전자 회로에서 널리 사용되는 중요한 회로 구성 요...2025.01.12
-
전자회로실험 과탑 A+ 예비 보고서 (실험 6 공통 이미터 증폭기)2025.01.291. 공통 이미터 증폭기 공통 이미터 증폭기는 베이스가 입력 단자, 컬렉터가 출력 단자, 이미터가 공통 단자인 증폭기이고, 높은 전압 이득을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 실험에서는 공통 이미터 증폭기의 입력-출력 특성 곡선을 구하고, 소신호 등가회로의 개념을 적용하여 전압 이득을 구하고, 이를 실험에서 확인하고자 한다. 2. BJT 소신호 등가회로 NPN형 BJT의 소신호 등가회로는 트랜지스터의 동작을 소신호 영역에서 분석하기 위해 사용되는 회로다. 이 회로에서는 BJT의 작동을 저항과 전류원으로 나타내어,...2025.01.29
-
전자회로설계 및 실습9_설계 실습9. 피드백 증폭기_예비보고서2025.01.221. Series-Shunt 피드백 증폭기 설계 Series-Shunt 피드백 증폭기 회로를 시뮬레이션하여 입력 전압과 출력 전압의 관계를 나타내는 입출력 transfer characteristic curve를 그렸습니다. 입력 저항과 부하 저항을 변경하여 두 경우의 curve를 비교 분석하였습니다. 또한 전원 전압을 변경했을 때 출력 전압의 변화를 확인하고 그 이유를 설명하였습니다. 2. Series-Series 피드백 증폭기 설계 Series-Series 피드백 증폭기 회로를 시뮬레이션하여 입력 전압과 LED 전류의 관계를 나타...2025.01.22
-
중앙대학교 전자회로설계실습 예비보고서1(분반1등)2025.01.111. 센서 Thevenin 등가회로 구현 센서의 출력 전압을 오실로스코프로 측정하였을 때 200mV(peak to peak)가 측정되었다. V_th(=Vampl)의 크기는 100mV으로, peak to peak 값은 100mV*2= 200mV가 된다. 10kΩ의 부하 저항에 흐르는 전압을 측정해보니 100mV(peak to peak)가 측정되었다. 오실로스코프의 입력 임피던스 값은 부하 저항에 비해 매우 큰 값이고, 전류는 모두 부하 저항 쪽으로 흐르게 될 것이다. 우리는 전압 분배 법칙에 의해 계산을 해보면 100mV = 의 수...2025.01.11
-
중앙대학교 전자회로설계실습 예비보고서62025.01.111. Common Emitter Amplifier 설계 이 보고서는 50Ω, 5kΩ, 12V인 경우, β=100인 NPN BJT를 사용하여 이 kΩ 단위이고 amplifier gain(Av)이 -100V/V인 증폭기를 설계, 구현, 측정, 평가하는 내용을 다루고 있습니다. 설계 과정에서 Early Effect를 무시하고 이론부의 Overall Voltage Gain 식을 사용하여 부하저항 RL에 최대전력이 전달되도록 하는 방법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또한 Emitter 저항을 사용한 Common Emitter Amplifier의 설계...2025.01.11
-
중앙대학교 전자회로설계실습 예비보고서92025.01.111. Series-Shunt 피드백 증폭기 설계 Series-Shunt 구조의 피드백 증폭기를 설계하고 실험하였습니다. 입력 전압을 0V에서 6V까지 변화시키면서 출력 전압의 변화를 관찰하였습니다. 입력 저항과 부하 저항의 값을 변경하여도 동일한 결과가 나오는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또한 입력 전압을 2V로 고정하고 전원 전압을 변화시켰을 때 출력 전압이 일정 수준 이상에서 더 이상 변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2. Series-Series 피드백 증폭기 설계 Series-Series 구조의 피드백 증폭기를 설계하고 실험하였습니...2025.01.11
-
중앙대학교 전자회로설계실습 예비보고서42025.01.111. MOSFET 소자 특성 측정 이 보고서의 목적은 MOS Field-Effect Transistor(MOSFET) 소자의 특성(VT, kn, gm)을 Data Sheet를 이용하여 구하고, 설계, 구현하여 전압의 변화에 따른 전류를 측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소자의 특성을 구하는 것입니다. 준비물로는 DC Power Supply, Digital Multimeter, 연결선, Breadboard, MOSFET 소자, 저항 등이 필요합니다. 보고서에서는 MOSFET의 특성 parameter 계산, MOSFET 회로도 구성 및 시뮬레이...2025.0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