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26개
-
전자회로설계 및 실습1_설계 실습1. Op Amp를 이용한 다양한 Amplifier 설계_결과보고서2025.01.221. 센서 출력 신호 증폭 본 실험에서는 출력저항이 큰 센서의 출력신호를 증폭하기 위해 Inverting, Non-inverting, Summing Amplifier를 설계, 구현, 측정, 평가하였다. 센서 출력 신호를 10 kΩ 저항과 Function Generator를 이용하여 구현하고, 오실로스코프로 측정한 결과 예상과 다른 출력 전압이 나왔다. 이는 실제 저항값과 이론값의 차이로 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Inverting Amplifier와 Non-inverting Amplifier를 설계하고 측정한 결과, 저항값 차이로 인...2025.01.22
-
전자공학실험 7장 이미터 팔로워 A+ 결과보고서2025.01.151. 이미터 팔로워 회로 이미터 팔로워는 출력 임피던스가 작기 때문에 작은 부하 저항을 구동하는 데 많이 사용된다. 이 실험에서는 이미터 팔로워의 동작 원리를 살펴보고, 증폭기의 전압 이득 및 특성을 실험을 통하여 확인하고자 한다. 2. BJT 증폭기 구조 BJT를 이용한 기본적인 세 가지 증폭기 중에서 공통 이미터 증폭기를 [실험 06]에서 실험하였고, 이번 실험은 나머지 두 가지 증폭기 구조 중 이미터 팔로워에 대한 실험이다. 3. 이미터 팔로워 회로의 동작 특성 실험회로 1에서 주어진 바이어스 조건은 능동 영역으로 동작함을 알...2025.01.15
-
전자공학실험 13장 공통 게이트 증폭기 A+ 결과보고서2025.01.151. 공통 게이트 증폭기 공통 게이트 증폭기는 입력 임피던스가 작아 전류를 잘 받아들이는 특성이 있다. 이 실험에서는 공통 게이트 증폭기의 동작 원리를 살펴보고, 증폭기의 전압 이득 및 특성을 실험을 통하여 확인하고자 한다. 실험 결과 공통 게이트 증폭기의 실제 실험을 통해 측정한 전압 이득은 90으로 공통 소스 증폭기의 전압 이득에 뒤지지 않고 1보다 크기 때문에 증폭의 역할도 가능하지만, 전압 버퍼의 역할도 수행할 수 없고 입력 임피던스가 작아 전압을 받아들이기 보다는 전류를 받아들이는 용도로 많이 사용되어 증폭기로는 적합하지 ...2025.01.15
-
전자공학실험 6장 공통 이미터 증폭기 A+ 예비보고서2025.01.131. BJT 소신호 등가회로 BJT 소신호 등가회로는 트랜지스터의 선형적인 증폭을 얻기 위해 소신호 AC 전압을 입력 전압으로 하는 등가 회로 모델이다. 컬렉터 전류 i_c는 g_m에 비례하며, 소신호 출력 전압 v_o의 크기는 r_o에 비례한다. 따라서 r_o는 컬렉터 전류에 반비례한다. 2. 공통 이미터 증폭기의 동작 원리 공통 이미터 증폭기에서 입력 v_I는 베이스-이미터 전압 v_BE이고, 출력 v_0는 컬렉터-이미터 전압 v_CE이다. 베이스-이미터 사이의 소신호 입력 전압에 비례하는 전류가 컬렉터에 흐르고, 이 전류가 출...2025.01.13
-
전자공학실험 12장 소오스 팔로워 A+ 예비보고서2025.01.131. 소오스 팔로워 증폭기 소오스 팔로워는 출력 임피던스가 작으므로, 작은 부하 저항을 구동하는 데 많이 사용된다. 이 실험에서는 소오스 팔로워의 동작 원리를 살펴보고, 증폭기의 전압 이득 및 특성을 실험을 통해 확인하고자 한다. 소오스 팔로워 회로에서 입력은 게이트 단자에 인가되고, 출력은 소오스 단자에서 감지된다. 드레인 단자가 공통이므로, 공용 드레인 증폭기라고 할 수 있다. 출력 신호가 입력 신호를 따라가기 때문에 소오스 팔로워'라는 용어를 더 많이 사용한다. 또한, 출력 신호의 DC 레벨이 입력 신호의 DC 레벨에서 Vas...2025.01.13
-
캐스코드 증폭기 실험 결과 보고서2025.01.021. 캐스코드 증폭기 캐스코드 증폭기는 공통 소스 증폭기에 비해 높은 전압 이득을 얻을 수 있어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입력 임피던스가 상대적으로 낮은 공통 게이트 증폭기를 추가로 연결하여 전류 신호를 출력하기에 유용하지만, 출력 전압 스윙이 감소하는 단점이 있어 저전압 회로에서 사용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캐스코드 증폭기의 출력 저항은 트랜지스터 자체의 출력 저항에 비해 증가하지만, 실험 과정에서 저항 측정이 이루어지지 않아 정확한 비교는 어렵습니다. PSpice를 통해 구한 전압 이득과 실험 결과 간 차이는 PSpice가 모...2025.01.02
-
다단 증폭기 실험 결과 보고서2025.01.021. 다단 증폭기 실험을 통해 2단 증폭기와 3단 증폭기의 동작 특성을 확인하였습니다. 각 단의 전압 이득, 입력/출력 임피던스 등을 측정하고 분석하였습니다. 10kΩ 저항 조건에서는 예상 값과 큰 차이가 없었지만, 10Ω 저항 조건에서는 오차가 상당히 크게 나타났습니다. 이는 매우 낮은 저항 값으로 인해 커패시터로 전류가 빠져나가면서 발생한 것으로 추정됩니다. 다단 증폭기 설계 시 입력 임피던스와 출력 임피던스의 적절한 조건이 중요하며, 각 단의 전압 이득 곱보다 전체 전압 이득이 작은 이유는 소스팔로워 효과와 단 간 신호 전달 ...2025.01.02
-
소오스 팔로워 전자회로 실험 예비보고서2025.01.021. 소오스 팔로워 회로 소오스 팔로워 회로는 MOSFET을 이용한 전압 증폭 회로로, 입력 전압과 출력 전압이 거의 같은 특성을 가집니다. 이번 실험에서는 소오스 팔로워 회로의 동작 원리와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다양한 실험을 진행했습니다. 실험 결과를 통해 MOSFET의 동작 영역, 전압 이득, 입력 및 출력 임피던스 등을 확인하고 이론적인 계산 결과와 비교했습니다. 또한 Pspice 시뮬레이션을 통해 실험 결과를 검증하고 입력-출력 전달 특성 곡선을 도출했습니다. 1. 소오스 팔로워 회로 소오스 팔로워 회로는 전자 회로 설계에서...2025.01.02
-
중앙대 전자회로설계실습 결과보고서12025.01.121. Op Amp를 이용한 Amplifier 설계 이번 설계실습에서는 Inverting Amp와 Non-Inverting Amp를 직접 설계하고, pspice로 예상한 이론값과 실습을 통해 측정한 값을 비교해 보았습니다. 실험을 통해 Inverting Amp의 gain을 10으로 설계하였고, 그에 따른 입력전압과 출력전압이 거의 일치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또한 주파수가 증가할수록 voltage gain이 감소하는 Low Pass Filter의 특성을 갖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입력전압이 줄어들었을 때 출력 전압 역...2025.01.12
-
전자공학실험 8장 공통 베이스 증폭기 A+ 예비보고서2025.01.131. 공통 베이스 증폭기 공통 베이스 증폭기는 입력 임피던스가 적기 때문에 전류를 잘 받아들이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 이 실험에서는 공통 베이스 증폭기의 동작 원리를 살펴보고, 증폭기의 전압 이득 및 특성을 실험을 통하여 확인하고자 한다. 공통 베이스 증폭기의 전압 이득은 g_m R_C로 표현할 수 있으며, 입력 임피던스는 1/g_m으로 구할 수 있다. 공통 베이스 증폭기는 임피던스가 수십 ohm 정도로 매우 작으므로, 전압을 받아들이는 용도보다는 전류를 받아들이는 용도로 많이 사용된다. 2. 공통 베이스 증폭기 회로 분석 실험회로...2025.0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