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23개
-
디지털 논리실험 1주차 예비보고서2025.05.061. AND 게이트 AND 게이트의 datasheet를 읽는 법을 설명하고, 기본 실험(1)의 회로 결선 방법을 pin 번호를 이용하여 설명하였습니다. VCC와 GND를 직접 결선하면 쇼트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기본 실험(4)와 응용 실험(2)의 회로 구현 방법도 설명하였습니다. 2. OR 게이트 OR 게이트는 두 개의 입력 값 중 한 개의 값이 1이면 출력 값이 1이 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응용 실험(1)에서는 OR 게이트와 NOT 게이트가 결합된 회로의 동작을 설명하였습니다. 3. NOT 게이트 NOT ...2025.05.06
-
홍익대학교 디지털논리실험및설계 7주차 예비보고서 A+2025.05.041. S-R Latch와 S'-R' Latch S'-R' Latch는 일종의 메모리 역할을 할 수 있는 device라고 볼 수 있습니다. 즉, 두 가지 상태 (Set, Reset)를 Q에 쓰기도 하고 그 상태를 저장할 수도 있습니다. S-R Latch의 경우 Active HIGH 입력을 가지기 때문에 S'-R' Latch와 반대의 논리 레벨을 사용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유사한 동작을 하게 됩니다. 2. Pulse detector와 CLK Pulse detector 회로의 경우 이론적으로는 CLK에 1이 입력으로 들어오든 0이 입력으...2025.05.04
-
디지털 논리실험 4주차 예비보고서2025.05.061. 멀티플렉서와 부호기(encoder)의 차이 멀티플렉서는 복수의 입력 값 중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 값으로 내보내는 회로이다. 반면에 부호기(encoder)는 2^n개의 정보를 입력으로 받아 n개의 출력 값을 가지는 회로이다. 두 장치는 출력선의 개수와 선택선의 유무에 있어 차이가 있다. 2. 4-to-1 Multiplexer 74153, 2-to-1 Multiplexer 74157, 1-of-4Decoder 74139, 3-INPUT AND 게이트 7411의 datasheet 확인 각각의 datasheet를 통해 Vcc 또는 G...2025.05.06
-
디지털 논리실험 6주차 예비보고서2025.05.061. ALU 74181의 기능 ALU 74181을 이용하여 네 자리 이진수의 덧셈을 구현하는 방법을 설명하였습니다. 74181의 A+B, XOR, A-B-1, AB minus 1 기능을 이용하여 이진수의 덧셈, 비교, 뺄셈 등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2. 이진수 덧셈 구현 ALU 74181의 A+B 기능을 이용하여 네 자리 이진수의 덧셈을 구현하는 방법을 설명하였습니다. 입력 값이 active low이므로 실제 입력 값을 반대로 넣어야 하며, 출력 값 역시 active low임을 주의해야 합니다. 3. 이진수 비교 구현 ALU 74...2025.05.06
-
홍익대학교 디지털논리실험및설계 6주차 예비보고서 A+2025.05.041. ALU 74181을 이용한 이진수 덧셈 구현 ALU 74181은 다양한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네 자리 이진수의 덧셈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A PLUS B 기능을 사용하면 된다. 이를 위해서는 (S3 ~ S0)에 (H, L, L, H)를, M과 Cn에 L을 입력해야 한다. 연산 결과는 (F3 ~ F0)와 Cn+4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2. ALU 74181을 이용한 이진수 비교 두 개의 네 자리 이진수가 같은지 판별하기 위해서는 A XOR B 기능을 사용하면 된다. 이를 위해서는 (S3 ~ S0)에 (H, L, L, H)를,...2025.05.04
-
홍익대 디지털논리실험및설계 1주차 예비보고서 A+2025.05.161. AND 게이트 AND 게이트의 형태(QUAD 2-INPUT AND GATE)와 배치도, 이름(SN54/74S08)이 나와있다. GUARANTEED OPERATING RANGES에는 사용되는 소자들의 최소, 최대 범위와 이의 단위를 나타내며, DC CHARACTERISTICS OVER OPERATING TEMPERATURE RANGE에는 직류(DC)를 연결했을 때의 특징이 나와있다. AC CHARACTERISTICS에는 교류(AC)를 연결했을 때의 특성이 나와있다. 기본 실험(1)은 2개의 값을 입력받아 1개의 값을 출력하는 A...2025.05.16
-
홍익대 디지털논리실험및설계 4주차 예비보고서 A+2025.05.161. 멀티플렉서와 부호기(encoder)의 차이 멀티플렉서는 n개의 입력값을 받고 그 중 하나의 값만 선택하여 출력하는 단자이다. 부호기는 이진수를 사람이 읽을 수 있는 형태의 문자로 해석해주는 단자로, 2^n개의 입력값을 받고 n개의 출력값 중 하나에만 유의미한 숫자를 출력한다. 멀티플렉서는 데이터 선택기 라고도 불리며 선택된 입력값을 그대로 출력하지만, 부호기는 입력값을 이진수로 부호화하여 출력한다는 차이가 있다. 2. 4-to-1 Multiplexer 74153, 2-to-1 Multiplexer 74157, 1-of-4 De...2025.05.16
-
디지털 논리실험 3주차 예비보고서2025.05.061. 2-bit 복호기 2비트의 정보를 입력 값으로 받아 4개의 출력 값을 가지므로 기본 실험 (1)의 회로는 2-bit 복호기이다. 디코더는 암호를 사람이 읽을 수 있도록 해독하는 역할을 한다. 2. 2-bit 부호기 4비트의 정보를 입력으로 받아 2개의 출력 값을 가지므로 기본 실험 (2)의 회로는 2-bit 부호기이다. 인코더는 반대로 정보를 암호화하는 역할을 한다. 3. 7 표시를 위한 입력 ABCD 7을 2진수로 나타내면 0111이다. 따라서 7을 표시하기 위해서는 ABCD 순으로 (1,1,1,0)을 입력해야 한다. 4. ...2025.05.06
-
디지털 논리실험 9주차 예비보고서2025.05.061. 8-bit Serial-in Parallel-out Shift Register 74164 8-bit Serial-in Parallel-out Shift Register 74164의 datasheet를 확인하면, 이 장치의 역할과 입력 값 A와 B의 구분에 대해 설명할 수 있습니다. A와 B의 입력 값은 AND 게이트를 거치므로, B에 0을 넣으면 A의 입력 값과 관계없이 시프트 레지스터에 0이 입력되고, B에 1을 넣으면 A의 입력 값이 시프트 레지스터의 입력 값이 됩니다. 또한 datasheet에서 MR 핀이 active l...2025.05.06
-
홍익대학교 디지털논리실험및설계 3주차 예비보고서 A+2025.05.041. 2-bit 복호기 2-bit 복호기의 경우 2-bit input의 가능한 모든 조합 4가지 (00, 01, 10, 11) 각각에 대한 디코딩 게이트의 출력을 통해서 어떤 input이 들어왔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기본 실험 (1) 회로의 경우 (00, 01, 10, 11)에 대한 디코딩 게이트는 각각 (Y0, Y1, Y2, Y3)이고, 어떤 input 이냐에 따라서 특정 디코딩 게이트의 출력만 1이 되고 나머지는 0인 Active HIGH로 회로가 설계되었기 때문에 디코딩 게이트의 출력을 LED를 통해 확인함으로써 어떤 in...2025.05.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