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60개
-
전원의 출력저항, DMM의 입력저항 측정회로 설계 / 전기회로설계실습 예비보고서 중앙대 22025.05.021. 건전지의 내부 저항 측정 실험 목적은 건전지의 출력저항과 DMM의 입력저항을 측정하는 회로를 설계, 제작, 측정하고 DC Power Supply의 사용법을 익히는 것입니다. 부하효과(Loading Effect)를 이해하기 위해 건전지의 내부 저항 R1과 외부 부하 저항 R2를 이용한 회로를 구성하여 측정합니다. 이상적인 측정을 위해서는 R1이 0에 가까워야 하며, 좋은 건전지일수록 내부 저항이 0에 가깝게 측정될 것입니다. 2. DMM의 입력 저항 측정 DMM의 측정 단위를 V에 맞추고 저항 양단에 DMM을 연결하여 전압과 전...2025.05.02
-
계측장비 및 교류전원의 접지상태의 측정방법설계 결과보고서 (보고서 점수 만점/A+)2025.04.251. 계측장비 및 교류전원의 접지상태 측정 실험을 통해 DMM, 오실로스코프, Function generator의 접지상태와 내부 연결 상태, 입력 저항을 유추하였고 이를 이용하여 계측장비의 정확한 사용법을 익혔습니다. DMM은 고주파에서 정확한 측정이 어려워 오실로스코프의 측정값이 더 신뢰성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오실로스코프의 External trigger 기능은 관측 신호의 크기가 변할 때 기준 신호로부터 trigger를 추출하는데 유용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또한 계측장비와 전원선의 접지 상태 측정을 통해 배선도...2025.04.25
-
아주대학교 물리학실험2 A+ 20. 정류회로 예비 + 결과 보고서2025.04.261. 변압기의 특성 실험 1에서 변압기의 입력 및 출력 전압(피크 값, 진폭)을 측정하였다. 이를 통해 변압기의 2차코일 A1-A2와 1차코일의 권선비는 0.4917, 변압기의 2차코일 A3-A2와 1차코일의 권선비는 0.4977로 약 0.5 정도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패러데이의 법칙에 따라 1차코일의 전압과 2차코일의 전압이 각각의 코일의 감긴 횟수에 비례하게 되어 전압비와 권선비가 동일하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2. 반파 정류회로 실험 2에서 반파 정류회로를 구성하고 측정한 결과, 다이오드가 순방향일 때만 전류가 흐르고 역...2025.04.26
-
설계실습 1. 저항, 전압, 전류의 측정방법 설계 예비보고서2025.05.051. 저항 측정 DMM을 사용하여 10kΩ 고정저항 30개를 측정하는 방법을 설명하였다. 측정값의 평균, 오차 분포도, 표준편차를 계산하고 식스시그마 개념을 설명하였다. 또한 두 개의 저항을 병렬로 연결하면 표준편차가 작아지는 이유와 4-wire 측정법을 설명하였다. 2. 전압 측정 6V 건전지와 DC 전원 공급기의 출력 전압을 DMM으로 측정하는 방법을 설명하였다. DMM 내부 저항으로 인해 측정 전압이 실제 전압보다 낮아질 수 있음을 언급하였다. 3. 전류 측정 병렬 및 직렬 연결된 저항에 흐르는 전류를 계산하는 방법을 설명하였...2025.05.05
-
전기회로설계실습 6장 예비보고서2025.01.201. Function Generator 출력저항 Function Generator의 출력저항은 얼마인지 확인해야 합니다. DMM과 오실로스코프의 입력저항도 각각 얼마인지 확인해야 합니다. 2. Function Generator 출력 특성 Function Generator 출력이 5Vpp의 사인파(DC offset=0V)일 때 주파수에 따른 DMM 측정 전압과 오실로스코프 측정 최대전압의 관계를 확인해야 합니다. DMM의 주파수 특성을 고려하여 예상되는 결과를 그래프로 제시해야 합니다. 1. Function Generator 출력저항...2025.01.20
-
전기회로설계실습 6. 계측장비 및 교류전원의 접지상태의 측정방법설계2025.01.211. DMM의 기능 및 입력저항 측정 DMM의 기능스위치를 저항측정모드로 맞추고 단자 사이의 저항을 측정한다. DMM의 입력저항은 10MΩ이다. 2. Function Generator의 출력저항 및 출력파형 특성 Function Generator의 출력저항은 50Ω이며, 출력파형은 정현파이다. DMM으로 측정한 실효값은 이다. 3. 오실로스코프의 입력저항 및 측정 방법 오실로스코프의 입력저항은 일반적으로 1MΩ이며, 일부 고가의 오실로스코프에서는 50Ω의 저항을 가진다. 오실로스코프로 Function Generator의 출력파형을 ...2025.01.21
-
전자회로설계 및 실습5_BJT와 MOSFET을 사용한 구동(switch)회로_결과보고서2025.01.221. BJT와 MOSFET을 이용한 스위치 회로 설계 및 구현 이 보고서에서는 BJT와 MOSFET을 사용하여 TTL 레벨의 전압(5V)으로 동작하는 RTL 스위치 회로를 설계하고 구현하였습니다. 회로를 구현하고 LED 구동 및 측정을 통해 전압, 전류, 소비전력 등을 분석하였습니다. BJT 회로에서는 약 15%의 오차가 발생했지만, MOSFET 회로에서는 오차가 더 작은 측정값을 얻을 수 있었습니다. 전반적으로 실습이 잘 진행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1. BJT와 MOSFET을 이용한 스위치 회로 설계 및 구현 BJT(Bipol...2025.01.22
-
저항, 전압, 전류의 측정방법 설계 예비보고서 (보고서 점수 만점/A+)2025.04.251. 저항 측정 DMM을 사용하여 10kΩ, 1/4W, 5% 저항 30개를 측정하는 방법을 설명했습니다. DMM 조작 방법, 오차 분포도 작성, 표준편차 계산 및 식스 시그마 개념에 대해 다루었습니다. 또한 두 개의 저항을 병렬로 연결하면 표준편차가 작아질 것이라는 이론적 근거를 제시했습니다. 2. 직류 전압 측정 6V 건전지와 전압 안정 직류 전원 장치의 출력 전압을 DMM으로 측정하는 방법을 설명했습니다. 측정 전압이 6V보다 낮을 것이라는 예측과 그 이유를 서술했습니다. 3. 병렬 및 직렬 저항 회로 분석 병렬 연결된 5kΩ,...2025.04.25
-
전원의 출력저항, DMM의 입력저항 측정회로 설계 예비보고서2025.04.251. 건전지의 내부저항 측정 건전지(6V)의 내부저항을 측정하는 회로와 절차를 설계하였습니다. 10Ω 저항과 Pushbutton을 사용하여 전력 소비를 최소화하도록 하였습니다. 측정 절차는 DMM의 검은 선을 COM단자, 빨간 선을 V단자에 연결하고 측정 단위를 V로 맞춘 후, DMM과 10Ω 저항을 병렬로 연결하여 전압 V를 측정합니다. 이 값을 식 'Vr * Vb / (Vb - Vr)'에 대입하여 건전지의 내부저항 Rb를 구할 수 있습니다. 10Ω 저항에 소비되는 전력 P는 P = V^2 / R이 될 것입니다. 2. DC 전원 ...2025.04.25
-
A+ 받을 수 있는 중앙대학교 전기회로설계실습 설계실습 4. Thevenin 등가회로 설계2025.05.151. 테브난 등가이론 테브난 등가이론은 복잡한 회로를 한 개의 전압원과 저항으로 나타내어 바깥에 어떤 새로운 저항을 가져와도 쉽게 흐르는 전류와 걸리는 전압을 바로 측정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테브난 등가회로가 실험적으로 맞는지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이번 실험은 중요하다. 2. 원본 회로 측정 그림 1과 같이 회로를 구성하고 RL에 걸리는 전압을 측정하였다. 이를 통해 RL을 통해 흐르는 전류를 계산하였다. 전압, 전류를 기록하였고, 3.1에서 계산한 값과의 오차를 확인하였다. 오차의 이유는 브레드보드의 자체저항, DMM의 저항...2025.05.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