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207개
-
중환자실 심근경색 환자 간호사례보고서2025.11.131. 심근경색(Myocardial Infarction) 60세 남성 환자가 심정지로 응급실에 내원하였으며, ECG 검사에서 ST 분절 상승 양상을 보였다. CK, CK-MB, Troponin I, LDH 수치가 증가하였고, 관상동맥조영술 결과 협심증과 심근경색으로 진단되었다. 환자는 과거 고혈압 진단을 받았으나 약물 복용을 하지 않았으며, 응급 상황에서 10분간 심폐소생술을 시행받아 자발순환회복(ROSC)에 성공하였다. 2. 간호진단 및 간호중재 총 17개의 간호진단이 도출되었으며, 주요 진단은 심혈관 기능 손상, 비효과적 가스교환...2025.11.13
-
소아 CPR 적용 방법2025.05.141. 병원 내 소아 기본소생술 병원 내 소아 기본소생술의 순서와 내용을 설명합니다. 반응 확인, 응급의료체계 활성화, 맥박 확인, 심폐소생술(가슴압박, 기도 열기와 인공호흡), 제세동기 사용 및 리듬 분석 등의 과정을 자세히 다룹니다. 2. 소아 심정지 전문소생술 소아 심정지 전문소생술의 순서와 내용을 설명합니다. 심폐소생술 지속, 심전도 리듬 분석, 제세동, 주사로 확보 및 약물 투여, 전문기도유지술 등의 과정을 자세히 다룹니다. 3. 천식과 관련된 심장정지 천식으로 인한 심장정지 시 고려해야 할 사항들을 설명합니다. 산소 투여,...2025.05.14
-
심폐소생술 응급처치 교수학습 지도안2025.11.131. 심폐소생술(CPR) 심폐소생술은 심장과 폐를 살리는 기술로, 심정지 환자의 생명을 구하기 위한 응급처치 방법입니다. 의식 확인, 도움 요청, 가슴 압박 30회, 기도 유지, 인공호흡 2회를 반복하는 순서로 진행됩니다. 심정지 발생 후 4분 이내에 시작해야 뇌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1분에 100~120회 속도로 5cm 깊이의 가슴 압박을 실시합니다. 응급 구조요원이 도착할 때까지 또는 환자가 의식을 회복할 때까지 계속 실시해야 합니다. 2. 자동제세동기(AED) 자동제세동기는 심정지 환자에게 전기충격을 주어 심장이 정상적...2025.11.13
-
성인간호학실습 응급실 사전학습 자료2025.11.141. 응급실 약물 관리 응급실에서 사용되는 주요 약물들을 분류별로 정리한 자료입니다. Atropine(진경제), Dexamethasone(코르티코스테로이드), Digoxin·Dobutamine·Dopamine(강심제), Epinephrine(혈관수축제), Lidocain(마취제), Prednisolone(코르티코스테로이드), Cordarone·Tobrex(강심제), Isoket(협심증치료제), Lasix(이뇨제), Norpin(혈관수축제), Labesin(베타차단제) 등이 있으며, 각 약물의 분류, 적응증, 용도를 상세히 기술하고 ...2025.11.14
-
기본 심폐소생술 및 제세동기 핵심술기, 핵심기본간호술 프로토콜2025.05.091. 심폐소생술 심폐소생술의 목적은 기도 확보, 정상 심폐기능 회복을 통해 생명을 보호하고 순환을 유지하여 무산소증으로 인한 영구적인 뇌손상을 방지하는 것입니다. 성인 심폐소생술은 100~120회/분의 속도로 흉골하부 1/2 지점에 5cm 깊이로 양손을 포개어 가슴과 수직으로 압박하며, 소아 심폐소생술은 100~120회/분의 속도로 흉골하부 1/2 지점 4cm 깊이로 중지와 약지로 압박합니다. 2. 심폐소생술 기본원칙 심폐소생술의 기본 3요소는 CAB로, 순환(Circulation), 기도확보(Airway open), 호흡(Brea...2025.05.09
-
심부담 시나리오 - 성인 시뮬레이션 실습2025.04.271. 심부담 환자 응급 상황 관리 심부담 환자가 갑자기 의식 상태가 변화하고 심실 세동이 발생하는 상황에서 의료진들이 신속하게 대응하여 심폐소생술을 시행하고 제세동, 약물 투여 등의 조치를 취하는 내용입니다. 의료진들은 역할을 분담하여 효과적으로 응급 처치를 수행하며, 환자의 상태 변화에 따라 적절한 조치를 취하고 있습니다. 2. 심폐소생술 절차 및 약물 투여 이 시나리오에서는 심폐소생술의 핵심 단계인 가슴압박, 인공호흡, 제세동, 약물 투여 등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특히 아미오다론 투여, 에피네프린 투여 등 심정지 상...2025.04.27
-
조기심실수축, 심실빈맥, 심실세동, 심정지2025.04.281. 조기심실수축(Premature ventricular contraction;PVC) 조기심실수축은 히스다발 이하 심실의 이소성 박동으로 QRS 복합이 0.12초 이상으로 비정상적으로 넓고 깊으며 기존 리듬의 주기보다 조기에 나타나는 부정맥입니다. 건강한 사람에게도 발생할 수 있으며, 심전도상 특징으로는 리듬이 전형적으로 불규칙하고 심장박동수가 기존 리듬과 같으며, P파가 나타나지 않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원인으로는 기질적 심장병, 교감신경흥분, 미주신경흥분, 자극제 섭취 등이 있으며, 분류로는 단초점 조기심실수축과 다초점 조기심...2025.04.28
-
응급실 주요장비와 기구(장비 및 물품 종류, 적용대상자, 사용목적, 사용기전 및 관리방법)2025.04.281. Airway 의식이 없거나 자발호흡이 없는 환자의 기도를 유지하기 위한 장비. 기도를 유지하기 위해 플라스틱이나 고무로 된 인공기도를 삽입하거나 기관절개술을 시행한다. 2. Ambu bag 호흡 정지 시에 사용되는 구급소생백. 구급임상용으로 사용되는 비교적 간단한 기구를 지닌 인공호흡요법기구. Ambu bag 윗부분에 산소를 연결하여 풍선을 짜준다. Ambu bagging시 산소농도는 10L의 고농도의 산소를 공급해야 한다. 3. Chest drainage set 흉부의 관통상 또는 이물을 제거시켜 기도를 유지·분비물로 인한 ...2025.04.28
-
심정지 환자의 응급 재난 간호2025.04.281. 심정지 응급 간호 심정지 환자의 응급 상황에서 신속대응팀이 주도하여 가슴압박, 기도확보, 약물투여, 제세동 등의 전문심장소생술을 신속하고 체계적으로 수행하여 환자의 생존율과 신경학적 예후를 향상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병동 환경에서 응급상황 발생 시 신속대응팀의 개입으로 심정지 발생률과 사망률이 감소하였다는 연구 결과를 통해 신속대응팀의 역할과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다. 2. 심폐소생술 프로토콜 심정지 환자 발견 시 즉각적인 가슴압박과 인공호흡, 제세동, 약물투여 등의 표준화된 심폐소생술 프로토콜을 정확하게 수행하는 것이 중요하...2025.04.28
-
루카스 LUCAS 심폐소생술 흉부압박기계 사용 메뉴얼2025.01.121. LUCAS 흉부압박시스템 LUCAS(The Lund University Cardiopulmonary Assist System) 흉부압박시스템은 자발적인 호흡과 맥박이 없고 의식이 없는 것으로 정의되는 급성 순환정지가 있는 성인환자에게 외부심장압박을 수행하는데 사용되는 장비로 효과적인 수동심폐소생술이 불가능할 때 수동 심폐소생술의 보조장치로 사용하기 위한 것입니다. 이 장비는 심폐소생술 중 가슴압박을 강하고 빠르게 중단없이 시행하여 뇌와 심장에 지속적으로 혈류를 보내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2. LUCAS 사용 방법 LUCAS...2025.0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