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9개
-
CPR이란?2025.01.161. 심정지 심장이 멎게되면 우리 몸으로 가는 혈액의 순환이 중단이 되고, 온몸으로 가는 산소공급이 중단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호흡이 정지가 되면 산소공급이 중단이 되고, 혈액내산소량이 급격히 감소하게 된다. 이렇게 두 경우 모두 몸에서 산소를 공급받지 못하는 상태이며 결과적으로 세포가 손상을 받아 결국에는 사망에 이르게 된다. 2. 심폐소생술(CPR) 심폐소생술은 심장이 다시 뛰게 하는 것이 아닌, 모종의 이유로 제대로 된 역할을 하지 못하는 심장을 대신하여 외부 사람이 직접 해당 부위를 압박하여 심장이 할 일을 일부나마 대리해 ...2025.01.16
-
응급간호 및 재해간호 보고서2025.01.241. 응급간호 응급간호는 생명이 위태롭거나 손상될 위험이 있는 환자를 대상으로 신속하고 전문적인 간호를 제공하는 활동입니다. 목표는 환자의 생명을 유지하고 빠른 회복을 돕는 것입니다. 응급간호에는 심폐소생술(CPR), AED 사용법, 응급간호사의 역할 등이 포함됩니다. 2. 응급관리 우선순위 응급상황에서는 자원이 제한될 수 있어 환자 상태에 따라 우선순위를 설정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보통 응급도 분류(트리아제, Triage) 시스템을 사용해 환자의 중증도에 따라 '긴급', '비긴급', '관찰' 등으로 분류합니다. 이를 통해 가장 ...2025.01.24
-
신규간호사 교육 매뉴얼_제세동기작동 (AED 포함)2025.05.101. 제세동기작동 (AED 포함) 심정지의 가역적인 요인 (5H's & 5T's)을 설명하고, 심정지 환자의 심전도 리듬 유형(심실세동, 무맥성 심실빈맥, 무맥성 전기활동, 무수축)과 각 리듬에 대한 치료 방법을 설명하였습니다. 제세동의 중요성과 제세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전극 위치 및 크기, 패들과 패드, 단상형/이상형 제세동기, 경흉 저항 등)을 자세히 설명하였습니다. 또한 제세동 에너지 선택 기준과 제세동기의 구조 및 사용법을 설명하였습니다. 2. 자동제세동기 자동제세동기의 필요성과 국내 법적 규정, 자동제세동기의 종류(성인...2025.05.10
-
심정지 및 기도 폐쇄 시 응급 처치 예방 교육 자료2025.05.041. 심정지 응급 처치 심정지가 발생한 경우 먼저 119에 신고하고, 심폐소생술을 할 수 있다면 즉시 시행해야 합니다. 뇌세포는 4분 이내에 산소 공급이 되지 않으면 손상되기 시작하므로 빠르고 침착하게 대처해야 합니다. 2. 응급의료 관련 법규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 제5조 2항에 따르면 선의의 응급구조자의 행위를 보호하며, 일반인도 생명이 위급한 경우 응급구조를 하면 보호받을 수 있습니다. 3. 심폐소생술 순서 한국 심폐소생술 지침서에 따르면 기본 소생술 순서는 가슴압박(C) - 기도개방(A) - 인공호흡(B) 순으로 실시합니다. ...2025.05.04
-
심폐소생술2025.01.091. 심폐소생술의 정의 심폐소생술이란 심장과 폐의 활동이 갑자기 멈추었을 때 실시하는 응급조치로서 심장마비가 발생하였을때 인공적으로 혈액을 순환시키고 호흡을 돕는 응급치료이다. 이러한 심폐소생술을 실시하는 목적은 심정지 환자의 멈추어진 심장의 자발순환을 회복시켜 환자의 사망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2. 심폐소생술의 유형 심폐소생술에는 기본 소생술(BLS: Basic life support)과 전문 심장 소생술(ACLS:Advanced cardiac life support)이 있다. 기본 소생술은 심정지 환자를 발견한 사람이 현장에서 ...2025.01.09
-
간호학과 안전교육과 응급처치 과제 -CPR, AED2025.01.121. 심폐소생술의 정의와 연령별 사용 방법 심폐소생술(CPR)은 심장과 폐의 활동이 멈춘 상태에서 가슴압박, 인공호흡, 제세동 등의 행위를 통해 인공적으로 혈액을 순환시켜 심장과 뇌에 산소를 포함한 혈액을 공급해주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성인, 영아, 소아의 심폐소생술 방법에는 약간의 차이가 있습니다. 2. 심폐소생술 시 주의사항 심폐소생술 시 주의사항으로는 환자를 안전한 공간으로 이동시키기, 가슴압박 시 팔의 각도 유지하기, 인공호흡 시 기도 확보하기 등이 있습니다. 3. 심폐소생술의 부작용 심폐소생술의 부작용으로는 늑골과 흉골의 ...2025.01.12
-
일상생활 속 응급처치 - 심폐소생술 CPR에 대해 조사2025.04.291. CPR(심폐소생술)이란 CPR(Cardiopulmonary resuscitation)은 갑작스런 심장마비나 사고로 인해 폐와 심장의 활동이 멈춘 상황에서 실시하는 기술로, 호흡과 혈액순환을 보조하기 위한 활동을 의미합니다. CPR은 4-5분 이내에 시행해야 효과적이며, 정확한 방법으로 시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 영유아의 심폐소생술 영유아의 경우 성인과 달리 흉부압박 방법이 다릅니다. 영아(1세 미만)는 2-3개의 손가락으로 압박하며, 압박 깊이는 가슴 깊이의 1/2-1/3입니다. 소아(1-8세)는 몸집을 확인하여 성인과 ...2025.04.29
-
신규간호사 교육 매뉴얼_맥박과 호흡확인 및 가슴 압박(기본심폐소생술)2025.05.101. 기본심폐소생술 기본심폐소생술은 의식과 호흡이 없는 대상자를 발견했을 때 즉시 주변 사람들에게 구조 연락 및 AED를 요청하고, 심폐소생술팀 도착 시까지 BLS(Basic Life Support)를 실시하는 것입니다. BLS 순서는 C-A-B로, Compression(가슴압박), Airway(기도유지), Breathing(호흡)을 실시합니다. 가슴압박은 경동맥박이 촉지되지 않을 때 주요 장기(뇌)로의 혈액 공급을 위해 실시하며, 흉골 하부 1/2지점을 최소 5cm 깊이로 분당 100-120회 속도로 압박합니다. 기도유지는 Hea...2025.05.10
-
스포츠생활 응급처치 모의수업 지도안2025.01.221. 스포츠 안전사고의 대처 방법 본 수업은 스포츠 활동 중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에 대한 대처 방법을 다룹니다. 학생들은 PRICE 요법과 CCC 방법을 학습하고, 다양한 안전사고 상황에서 적절한 응급처치 방법을 찾아 적용할 수 있게 됩니다. 또한 일상생활에서 활용할 수 있는 부목 등의 응급처치 도구에 대해서도 배웁니다. 1. 스포츠 안전사고의 대처 방법 스포츠 안전사고는 예기치 않게 발생할 수 있는 위험한 상황이므로, 이에 대한 적절한 대처 방법이 필요합니다. 첫째, 사전에 안전 교육을 통해 선수들이 안전 수칙을 숙지하고 실천...2025.0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