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7개
-
띠 이론2024.09.271. 반도체 1.1. 도체, 부도체 그리고 반도체 도체, 부도체 그리고 반도체는 전기적 성질에 따라 구분되는 재료들이다. 도체는 전기가 잘 통하는 물체로, 대부분의 금속이 이에 해당한다. 이들은 자유전자에 의해 전기가 전달되며, 온도가 올라가면 저항이 증가하게 된다. 반면 부도체는 전기가 잘 통하지 않는 물질로, 자유전자가 없거나 강하게 속박되어 있어 전기를 전달하지 못한다. 부도체에는 대표적으로 다이아몬드와 같은 물질이 포함된다. 반도체는 도체와 부도체의 중간적인 성질을 가지는데, 온도에 따라 성질이 변화한다는 특징이 있다....2024.09.27
-
교류및전자회로실험 실험1 결과보고서2024.09.201. 트랜지스터 특성실험 1.1. 트랜지스터의 동작 원리 트랜지스터의 동작 원리는 다음과 같다. 트랜지스터는 반도체 소자의 일종으로, 전기적 신호를 증폭하거나 스위칭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트랜지스터는 크게 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Bipolar Junction Transistor, BJT)와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ield Effect Transistor, FET)로 분류된다. 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는 에미터(emitter), 베이스(base), 콜렉터(collector) 세 개의 단자로 구성되어 있다. 에미터와 베이스,...2024.09.20
-
NPN BJT의 에너지밴드다이어그램, 위치에 따른 전압, 전계, 전하그래프2024.10.201. 반도체 p-n 접합 1.1. p-n Junction의 정성적 설명 반도체 p-n 접합의 형성 원리를 정성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반도체 내부에서의 불순물의 종류와 비율에 따라 P형과 N형으로 나뉘게 되는데, 이들을 접합시킨 것이 p-n 접합이다. 이 p-n 접합은 p-n 다이오드로서 쓰이게 되는데, 그 이유는 p-n 접합 상태에서 외부 전압 V를 인가하게 되면 한쪽에서는 전류가 잘 흐르지만 다른 쪽에서는 전류가 잘 흐르지 못하는 정류작용이 나타나기 때문이다. 이러한 특성이 다이오드로서 사용하기에 적절한 조건이 된다....2024.10.20
-
pt면접2024.09.271. 반도체 기초 1.1. 반도체의 정의 및 특성 반도체는 전기전도가 전자와 정공에 의해 이루어지는 물질로서, 그 전기저항률이 도체와 절연체 비저항의 중간 값을 취하는 물질이다. 반도체는 불순물의 포함 여부에 따라 진성 반도체와 불순물 반도체로 구분된다. 진성 반도체는 순도가 매우 높은 4족 원소인 실리콘(Si)이나 게르마늄(Ge)으로 이루어져 있다. 진성 반도체는 평상시에는 부도체와 같이 전자의 이동이 어려우나, 전기, 빛, 열 등의 자극을 받으면 공유결합을 하고 있던 소수의 전자가 튀어나와 자유전자가 되어 전류를 흐르게 한...2024.09.27
-
반도체 다이오드의 특성2024.12.011. 반도체 다이오드의 특성 1.1. 다이오드의 순방향 및 역방향 특성 다이오드의 순방향 및 역방향 특성은 다음과 같다. 다이오드는 p형 반도체와 n형 반도체가 접합된 소자로, 전류가 한 방향으로만 흐르는 정류 작용을 하는 특성이 있다. 순방향 바이어스의 경우, p형 반도체 쪽의 정공과 n형 반도체 쪽의 전자가 접합면으로 이동하여 전류가 잘 흐르게 된다. 반면에 역방향 바이어스의 경우, p형과 n형 반도체 사이에 결핍층이 생겨 전류의 흐름이 차단된다. 순방향으로 전압을 가하면, 문턱전압을 넘어서면 전류가 급격히 증가한다. 실리...2024.12.01
-
고체저항과 액체저항2024.11.061. 고체저항과 액체저항 1.1. 개요 본 실험은 전기 회로에서 사용되는 전기 저항의 특성을 이해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고체저항과 액체저항의 성질을 비교하고, 고체저항의 색깔 띠로 표시된 저항 값과 실험으로 측정한 저항 값이 일치하는지 확인하고자 했다. 또한 소금물을 이용한 액체저항과 소금의 농도 사이의 관계를 살펴보고, 액체저항과 고체저항, 다이오드 간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규명하고자 했다. 1.2. 이론 1.2.1. 옴의 법칙 옴의 법칙이란 도체에 전압을 가하면 그에 비례하여 전류가 흐르는 현상을 설명한 법칙이다. ...2024.11.06
-
우주태양광발전 원리와 전망2024.09.011. 태양광발전시스템 개요 1.1. 태양광발전의 정의 및 역사 태양광발전은 태양의 빛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기술로, 그 역사는 200년이 되지 않는다. 태양광발전의 역사는 1839년 알렉산더 베크렐이 빛이 전도 용액의 전극에 부딪히면 전류가 발생하는 광기전효과를 발견하면서 시작되었다. 이후 1873년 윌로비 스미스가 셀레늄이 태양광을 받으면 전기저항값이 현저히 줄어드는 현상을 발견했고, 1884년 찰스 프릿츠가 얇은 금박을 입힌 반도체 셀레늄을 이용하여 에너지 효율 1%의 최초의 태양 전지를 발명했다. 이후 1954년 벨 ...2024.09.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