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4개
-
임상미생물 S.aureus, S.epidermidis, M. luteus2024.09.231. 미생물 분리 및 동정 1.1. 실험 목적 이 실험의 목적은 균을 장기간 보관할 수 있는 stock solution와 균을 배양학 위한 LB agar 배지를 직접 제작해보고, 이 과정에서 마이크로피펫을 포함한 다양한 실험 기구들의 사용방법을 익히는 것이다. 또한 PCR과 겔 전기영동의 원리를 이해하고 이를 활용해 배양한 균의 염기서열을 직접 산출해낸다. 산출된 염기서열을 sequencing과정을 통해 미생물의 종을 확인해보며 Hydrolysis test, 그람염색법 그리고 Oxidase, catalase test을 이용해 실험...2024.09.23
-
임상미생물학2024.11.051. 균주 동정 및 감별 1.1. Enterococcus faecalis와 Streptococcus viridans의 구별 1.1.1. 실험 목적 5% NaCl BHI와 BEAA (bile esculin azide agar) test를 통해 Genus streptococcus와 Enterococcus faecalis를 구별하는 것이 이 실험의 목적이다. 이는 Enterococcus 감별에 사용되는 시험으로, Streptococcus는 이 배지에서 자라지 못하기 때문에 두 속을 구분할 수 있다. 또한 BEAA 배지를 통해 Ente...2024.11.05
-
그람염색2024.08.261. 실험제목: Gram 염색 1.1. 실험목적 세균을 염색하는 방법 중에는 단순염색법, gram염색법, 포자 염색법이 있다. 그 중 세균분류의 지표가 되는 gram염색법을 알아보는 것이 이번 실험의 목적이다. 즉, gram염색법을 통해 세균을 gram양성균과 gram음성균으로 구분하는 방법을 익히고, 각 세균의 염색성과 원리를 이해하고자 한다. 1.2. 실험배경 1.2.1. 실험재료 및 기구 실험재료 및 기구에는 고체배양 균, 현미경, 알콜램프, 슬라이드 글라스, 백금이, 스포이드, timer가 포함되어 있다" 1.2.2. 세...2024.08.26
-
항생제 내성 관련 실험2024.09.021. 항생제의 이해 1.1. 항생제의 정의 항생제란 "미생물이 생산하였지만 다른 미생물의 발육을 억제하는 물질"이라고 정의된다. 초기에는 미생물이 자연적으로 생성해낸 물질이 사용되었으나, 현재에는 반합성 물질이나 합성 물질도 개발되어 많이 사용되고 있다. 대부분의 항생제는 세균이 사람의 세포와 다른 부분에 특이적으로 작용하여 효과를 나타내는데, 세균의 어느 부분을 저해하는가는 항생제마다 다르다. 항생제는 미생물의 생장과 번식을 억제하거나 죽임으로써 감염 치료에 사용된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이다. 1.2. 항생제의 ...2024.09.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