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0개
-
ERCP PTBD 내시경 검사 간호2024.10.011. 소화기계 관련 검사 및 시술 1.1. 위식도 내시경 1.1.1. 목적 위식도 내시경의 목적은 유아에서 고령자까지 연령, 성별에 관계없이 상부 소화관 질환의 증상이 있는 경우 특별한 금기가 없는 한 모두 검사가 가능하다. 또한 우리나라와 같이 위암이 많은 나라에서는 증상이 없더라도 위암 조기 발견을 위하여 40세 이후의 모든 성인에게 검사를 권장하는 것이다. 1.1.2. 방법 위식도 내시경 검사의 방법은 다음과 같다. 입을 통해 식도로 삽입하여 위, 십이지장까지 관찰하며, 이상이 있는 경우 조직검사를 통해 진단하는 검사 방법...2024.10.01
-
EVD lumbar drain2024.12.131. 뇌척수액 배액 1.1. 뇌척수액의 정의와 기능 뇌척수액은 뇌실의 맥락막총에서 매일 500cc 생성되어 뇌실-제3뇌실-제4뇌실-마겐다공-루시카공-척추-지주막하 융모를 통해 정맥혈류로 흡수된다. 뇌척수액은 지주막과 연질막 사이의 지주막하 공간에서 순환하며 완충작용, 호르몬 등의 물질 운반이나 노폐물의 운반 역할을 한다. 또한 뇌실을 비롯한 뇌 실질 및 소뇌를 덮고 척수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뇌척수액의 흡수장애는 뇌압상승을 일으켜 뇌수종, 지주막하 출혈과 같은 증상이 발생할 수 있다. 1.2. 외부뇌실배액(EVD) 1.2.1...2024.12.13
-
ERCP 전후간호2024.10.281. 내시경적 역행성 담췌관 조영술(ERCP) 1.1. ERCP의 정의 및 목적 ERCP는 내시경을 식도를 통해 십이지장으로 삽입한 다음 총담관과 췌관으로 진행시켜 직접 담도의 구조를 관찰하고 조영제를 주입하여 촬영하는 검사이다. ERCP의 주요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원인 불명의 황달이 있어 담도 폐색인지 간 질환인지 구별하기 위해 사용한다. 둘째, 폐색의 원인이 결석인지 관의 낭종, 협착증 혹은 해부학적 기형인지를 확인하기 위해 사용한다. 셋째, 원위 총담관에서 작은 담석을 회수하고, 담도를 확장시켜 협착을 완화시키고...2024.10.28
-
CBD stone with acute cholangitis 간호진단2024.11.211. 급성 담관염을 동반한 총담관 결석증 1.1. 정의 담관염은 담관의 염증을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급성 담관염을 말한다. 급성 담관염은 담관 내부의 담즙에 염증이 생긴 경우로, 하부 담관에 폐쇄가 동반되어 담즙의 흐름이 막힌 경우 담즙이 배출되지 못하고 담관염을 일으키게 된다. 이러한 담관 폐쇄를 일으키는 가장 흔한 원인은 담관에 발생한 담석으로, 담관염이 발생한 대부분의 환자들은 담관의 결석을 지니고 있다. 담석이 없는 경우에도 담관에 악성 혹은 양성 종양이나 기생충 감염이 있거나 양성협착이 있는 경우에도 담관염은 발생할 수 ...2024.11.21
-
담관암 연구목적2024.09.07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담관암은 담관의 상피를 닮은 세포로 구성된 종양으로 간세포에서 기원한 종양이 아닌, 간 내부에 있는 담도세포에서 기원하는 종양이다. 담관암의 5년이내 사망률은 75%로 높은 사망률을 보이며 신체적, 정서적, 기능적 손상을 가져올 뿐만 아니라 삶의 질 저하 및 가족과 돌봄제공자들의 부담을 가중시킨다. 담관암의 발생률은 남성암의 10위 여성암의 8위를 차지하며 흔한 암은 아니지만 사망률이 높은 만큼 사망률을 줄이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실제 담관암으로 입원 중인 58세 남자 환자...2024.09.07
-
담관염 감염2025.02.271. 서론 담관염은 간에서 만들어진 담즙을 십이지장으로 보내는 관인 담관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이다. 담석, 악성종양, 양성종양, 기생충 등이 담관 폐쇄의 원인이며, 그 중 담석이 가장 흔한 원인이다. 담즙이 정체되면서 세균이 감염되어 급성 담관염이 발생하게 된다. 진단을 위해서는 혈액배양검사, 초음파검사, 복부전산화 단층촬영, 역행성 내시경 담관 조영술 등을 실시한다. 치료로는 응급입원, 금식 및 수액요법, 담관 배액술을 시행하며, 간호에 있어서는 잦은 구토로 인한 수분 및 전해질 불균형 교정, 황달 관리, 안위 유지, 통증 조절 ...2025.02.27
-
CBD stone 피부손상위험 간호사정2025.03.011. 서론 CBD stone은 현대를 살고 있는 모두에게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는 질환이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 건강보험 빅데이터로 분석한 바에 따르면 담석증 질환으로 진료를 받은 환자는 2012년 12만6922명에서 지난해 16만2957명으로 3만6000여명 넘게 증가하였고, 연간 진료비도 2012년 1859억원에서 지난해 3019억원 1160억원으로 1.6배 증가하였다. 이는 노인인구 증가, 현대인들의 식습관 변화로 고콜레스테롤 음식 섭취가 늘어났으며, 과거보다 진단기술이 발전해 질환의 조기발견이 증가하였기 때문이다. 따라서 의료진...2025.03.01
-
PTBD 관리 및 적응증과 간호2025.03.291. PTBD 관리 및 적응증과 간호 1.1. PTBD(경피경간담도배액술) 개요 PTBD(경피경간담도배액술)는 담즙을 체외로 배출하기 위해 시행되는 시술이다. 간은 인체에서 가장 큰 장기로 좌엽과 우엽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간에서 분비된 담즙은 간관을 거쳐 총담관으로 이어져 십이지장으로 배출된다. 담도가 폐쇄되어 정상적인 배출이 되지 않을 때 PTBD를 통해 담즙을 체외로 배출시킬 수 있다. PTBD는 3mm 정도의 배액관을 체외에서 삽입하여 간 내의 담도에 위치시킴으로써 정상적으로 배출되지 못하는 담즙을 체외로 배출시키는 시술...2025.03.29
-
PTBD 적응증 및 관리 방법, 검사 후 간호2025.03.291. PTBD(경피경간담도배액술)의 이해 1.1. PTBD의 정의와 목적 PTBD(경피경간담도배액술)은 담즙 배출 통로인 담도의 협착이나 폐색으로 인해 담즙 배출이 원활하지 않을 때 시행하는 시술이다. 이를 위해 체외에서 3mm 정도의 배액관을 삽입하여 간 내의 담도에 위치시키고, 정상적으로 배출되지 못하는 담즙을 체외로 배출시키는 시술이다. PTBD는 폐쇄성 황달, 특히 수술이 불가능한 경우와 담도 결석으로 인한 혈중 빌리루빈 수치 상승 시 시행하며, 심한 담도염이나 패혈증 환자에게도 적용된다. 또한 PTBD 경로를 통한 담도 ...2025.03.29
-
위암 ptbd 케이스2025.04.05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위암 환자의 증가와 조기 진단의 필요성 우리나라에서 남성에게 가장 흔한 암은 위암이며, 전체 암 발생의 12%를 차지하고 있다. 최근 10년간 위암의 생존율이 19% 증가하는 등 암 생존율이 전반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병기와 상관없이 모든 위암의 5년 생존율은 77%이며, 1기 위암의 경우 90% 이상의 높은 생존율을 보인다. 따라서 위암 환자의 조기 진단과 적절한 치료가 환자의 생존율 향상에 중요하다. 이에 위암 환자의 증상과 진단, 치료 과정 및 간호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임상실...2025.04.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