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0개
-
미국탐방시리즈2024.09.131. 문화 콘텐츠와 OSMU 전략 1.1. OSMU의 개념과 중요성 OSMU(One Source Multi Use)는 하나의 콘텐츠를 영화, 게임, 책 등의 다양한 방식으로 개발하여 판매하는 전략이다. 이를 통해 최소의 투자비용으로 높은 부가가치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 용어는 우리나라가 문화콘텐츠 사업을 시작하면서 생겨났으며, 현재 한류 콘텐츠 시장의 고부가가치 서비스로 인하여 한국에서도 큰 시장이 형성되어 있다. OSMU 전략은 하나의 콘텐츠를 다양한 매체와 형태로 전환하여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2024.09.13
-
한국 뮤지컬 창작 수출2024.09.241. 엔터테인먼트 산업의 OSMU(One Source Multi Use) 특성 1.1. OSMU의 정의 OSMU는 'One Source Multi Use'의 줄임말로, 원작 콘텐츠를 하나의 소스(One Source)로 삼아 이를 출판물, 영상물, 상품 제작 등 다양한 분야에 다른 방식으로 사용(Multi-Use)하여 그 상품의 가치를 극대화시키는 것이다. 엔터테인먼트 산업 내에는 뮤지컬, 드라마, 음악 등 다양한 분야가 있지만, 이는 개별적이지 않고 유기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하나의 콘텐츠가 특정 분야에서 성공하면, 엔터테...2024.09.24
-
중앙대 신화2024.10.111. 문화원형의 이해 1.1. 문화원형의 개념 문화원형이란 "한 지역 또는 민족의 역사적으로 누적된 정체성과 고유성을 잘 담고 있는 전통문화"를 의미한다. 즉, 특정 문화권에 오랜 기간 전승되어 온 예술적, 정신적, 지적 활동의 소산으로, 타 문화권과 구별되는 고유성을 지니고 있는 것이다. 문화원형은 형상, 소리, 언어, 문자, 관습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며, 이를 통해 그 문화의 정체성과 전통이 반영된다. 이러한 문화원형은 현대사회에서 이미지, 영상, 게임, 문학, 공연예술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새로운 문화콘텐츠로...2024.10.11
-
지적재산r2024.10.111. 디즈니의 지적재산권 전략과 동향 1.1. '파워IP' 전략과 공격적 확장 디즈니의 '파워IP' 전략과 공격적 확장은 디즈니가 콘텐츠를 어떻게 취급하고 활용하는지에서 시작된다. 디즈니는 사이코그래픽스 기법을 통해 확인한 잠재수요에 맞는 라이센스 상품(Licensed merchandise)을 기획하여, 디즈니의 상상력을 사업 성과로 이어지게 하는 원동력이 되었다. 즉, 디즈니는 원천 콘텐츠의 IP를 원재료(Raw material)로 취급하며, 이를 기반으로 코믹스, 잡지, 테마파크, 캐릭터 상품 등을 재생산한다. 2005년 밥...2024.10.11
-
한국전통무용 작품2024.10.231. 한국 전통문화의 가치창조 - 한국무용의 가치창조 및 활용방안 1.1. 서론 1.1.1. 들어가는 글 세계는 지금 '한류열풍(韓流烈風)'의 시기에 있다. 여기서 '한류'란 대한민국의 대중적인 문화가 외국에서도 유행하고 관심을 얻는 것이다. 1996년 중국으로 수출된 한국드라마를 시작으로 한국 대중문화가 인기를 얻으며 중국 언론이 붙인 용어인 '한류'에 '열풍'이란 단어가 더해져 하나의 사회현상을 표현하는 신조어로 부상했다. 본격적으로 2002년부터 "겨울연가"를 비롯한 한국 드라마들이 일본, 중국, 그리고 동남아시아에서 인기...2024.10.23
-
미국탐방시리즈2024.11.091. 문화와 기술의 융합 1.1. 문화콘텐츠의 OSMU 전략 OSMU(One Source Multi Use)는 하나의 콘텐츠를 영화, 게임, 책 등의 다양한 방식으로 개발하여 판매하는 전략으로, 최소의 투자비용으로 높은 부가가치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 용어는 우리나라가 문화콘텐츠 사업을 시작하면서 생겨났으며, 현재 한류 콘텐츠 시장의 고부가가치서비스로 인하여 한국에서도 큰 시장이 형성되어 있다. OSMU는 영화, 애니메이션, 게임 등 다른 국가보다 더욱 하나의 소재를 서로 다른 장르에 적용하여 파급효과를 노리는 마케팅...2024.11.09
-
미중 갈등이 K콘텐츠에 주는 영향2024.12.101. 한국 영상문화콘텐츠산업의 역사적 발전 1.1. 한미 FTA와 스크린쿼터제 축소 한미 FTA와 스크린쿼터제 축소는 한국 영화산업의 역사적 발전 과정에 있어서 중요한 전환점이었다. FTA란 "Free Trade Area" 또는 "Free Trade Agreement"의 약어로 당사국들 간 역내 무역에 대해 완전한 자유무역을 지향하는 무역협정을 의미한다. 이전까지 한국 영화에 대해 상영관이 일정 비율 이상을 상영하도록 하는 "스크린쿼터제"가 존재하였으나, 한미 FTA 체결로 인해 이러한 스크린쿼터제가 축소되었다. 당시 한미 FT...2024.12.10
-
매체(드라마/영화/웹툰 등)를 통해 본 결혼과가족에 대해 자신의 생각을 작성해주세요2024.08.131. 서론 연구의 목적은 웹툰만이 가지는 효과를 어느 분야에서, 어떻게 현 시대에 사용하고 있는지를 알아보는데 있다. 만화라는 것은 1900년 초반부터 그 기반을 다져왔으며 그 역사는 지금까지도 이어져 오고 있다. 만화는 문자가 아닌 그림위주이기 때문에 다른 매체에 비해 전달방법이나 가독성 면에서 우월하다는 특징이 있다. 문자를 위주로 한 문학은 학생과 지식인과 같은 엘리트계층의 특권이었음에 반해, 만화는 이해가 쉽고 누구나 그릴 수 있는 자유로운 형식인 점 또한 만화가 대중들이 이에 접근하기 용이했던 이유이다. 만화의 무형식성이 ...2024.08.13
-
글로벌 E&M2024.09.041. CJ E&M 개요 1.1. 기업 소개 CJ E&M은 1953년 8월 1일 제일제당공업으로 시작하여 현재 다양한 사업분야에서 여러 계열사를 지니고 있는 대한민국 대기업이다. 음식에서부터 문화까지 여러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다양한 브랜드를 보유하고 있는 CJ 기업은 최근 2012년부터 "문화선도기업"이라는 슬로건으로 소비자들에게 포지셔닝하고 있다. 이러한 다양한 CJ 계열사들은 서비스 산업에서 각 산업분야마다 높은 연계성을 가지고 있고, 이러한 연계성을 기반으로 시너지 효과를 내어 글로벌 전략을 성공적으로 수립한 기업으로 평가받고...2024.09.04
-
심청전2024.09.011. 서론 1.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21세기 정보화 사회에서 문화산업의 발달을 맞이하여 여러 매체에서 행해지고 있는 고전소설의 문화콘텐츠적 활용 방안에 대해 연구하고, 보다 나은 콘텐츠로 재생산하기 위한 방법을 찾는 것이 본고의 연구 목적이다. 특히 의 변용 사례인 애니메이션 을 중심으로 고전소설의 문화콘텐츠적 가치에 대해 종합적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90년대 이후부터 한국은 첨단 IT산업이 급속도로 발전하였다. IT기술은 대한민국의 경제 성장에도 크게 이바지하였고, 대표적인 국가 경쟁력으로 자리 잡았다. 그로인해 우리...2024.09.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