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6개
-
1. E.coli의 배양 조건 및 분열시간 2. E.coli 성장곡선 3. Lac operon 4. IPTG 5. 흡광도란2024.09.261. 세균의 성장 과정과 유전자 발현 조절 1.1. 일반적인 세균의 성장 곡선 일반적인 세균의 성장 곡선은 세균이 새로운 환경에 접종된 후 시간의 경과에 따른 세균 수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이 곡선은 크게 4단계로 구분된다. 첫 번째 단계는 유도기(lag phase)로, 세균이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는 시기이다. 이 기간 동안 세균 수의 증가는 거의 없으며, 세포 구조와 효소 합성 등이 이루어진다. 이 시기는 환경 조건에 따라 길이가 달라질 수 있다. 두 번째 단계는 지수기(exponential phase)로, 세균이 최적...2024.09.26
-
대장균 배양 단백질 발현 실험 목적2024.09.261. 실험 개요 1.1. 실험 목적 실험 목적은 재조합 단백질(Naa30)을 정제하는 것이다. 세포는 여러 종류의 단백질을 만들어내는데, 이 중 특정한 단백질을 얻어내기 위해 단백질 정제가 이뤄진다. 내생적 단백질(endogenous)은 자연적으로 세포 내에 존재하지만 낮은 농도로 존재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정제가 어렵다. 반면 재조합 단백질(recombinant)은 외부 유전자를 플라스미드 벡터에 삽입하여 숙주 세포에 도입한 후 발현되는 단백질이다. 재조합 단백질은 과 발현이 가능하며 정제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태그(tag)를 ...2024.09.26
-
단백질 정제 및 발현에서 cell lysis와 sonication 보고서를 써줘2024.10.131. 단백질 정제 1.1. 실험배경 1.1.1. 재조합 단백질 발현 재조합 단백질 발현이란 외부 유전자를 플라스미드 벡터에 삽입한 후, 이를 숙주세포에 도입하여 단백질을 발현하는 기법이다. 이를 통해 내생적 단백질에 비해 훨씬 높은 양의 단백질을 생산할 수 있으며, 정제 및 검출을 위한 태그(tag)를 부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재조합 단백질 발현 실험에서 사용되는 pET28a 벡터는 kanamycin 항생제에 대한 저항성 유전자인 KanR을 갖고 있다. 따라서 배양액에 kanamycin을 첨가하면 KanR을 갖고 있는 ...2024.10.13
-
단백질 발현, 정제 보고서를 써줘2024.10.121. 생명과학실험Ⅰ 실험보고서 1.1. 실험배경 1.1.1. 세포 내 단백질 발현 세포 내 단백질 발현은 생명체의 기본적인 생명 활동을 이해하는 데에 매우 중요한 과정이다. 세포는 살아가기 위해 필요한 다양한 단백질을 끊임없이 합성하고 있으며, 이러한 단백질들은 세포 내에서 복잡한 네트워크를 이루며 상호작용하며 세포의 구조와 기능을 유지한다. 세포 내에서 원래부터 만들어지는 단백질을 내생적(endogenous) 단백질이라고 하며, 세포는 수만 개 이상의 다양한 내생적 단백질들을 끊임없이 생산해내고 있다. 이러한 내생적 단백질...2024.10.12
-
특정 유전자를 선택하여 T-Vector에 삽입시키고 이를 E-Coli 내에 transformation 시켜 형질전환 박테리아를 선택적으로 배양2024.11.161. Transformation 조 1.1. 실험 목적 재조합된 DNA(eGFP DNA)를 Competent cell에 넣고, 배양된 Colony를 대조군과 비교함으로써 형질전환(Transformation)에 관하여 고찰해보는 것이 이 실험의 목적이다. 수용세포에 노출된 DNA가 흡수, 통합, 발현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형질전환은 몇몇 박테리아 사이에서 자연적으로 일어나는 현상이다. 그러나 대장균을 포함한 다른 종들은 외부 DNA를 흡수할 능력이 없기 때문에 인공적인 방법으로 형질전환을 유도하게 된다. 이번 실험에서는 경쾌한 녹색...2024.11.16
-
Induction sds2024.10.171. 단백질 발현 분석 1.1. 실험 개요 실험 개요는 단백질 발현 분석을 위한 전반적인 실험 과정을 설명한다. 이 실험은 대장균(E. coli)에서 특정 유전자를 발현시켜 단백질을 생산하고, SDS-PAGE를 통해 발현된 단백질을 확인하는 것이 주요 목적이다. 우선, 대장균 세포에 목적 유전자가 도입된 발현 벡터를 형질전환하여 균주를 만든다. 이 균주를 배양하면서 IPTG를 처리하여 Lac operon 시스템을 활성화시켜 단백질 발현을 유도한다. 발현된 단백질은 세포 용해 과정을 거쳐 추출하고, SDS-PAGE를 통해 단백질...2024.1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