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2개
-
저체온요법2025.03.291. 저체온요법 1.1. 정의 및 적응증 저체온요법은 심정지로부터 순환회복이 되었으나, 혼수상태인 환자를 경도(32~34℃)의 저체온 상태로 일정 시간동안 유지함으로써 뇌손상을 치료하는 방법이다. 그 목적은 체온을 내리는 것에 의해 생체의 대사 및 산소소비량을 감소시켜, 장기의 저산소상태나 혈류차단에 견딜 수 있는 시간을 연장하는 것이다. 적응증으로는 심정지후 뇌부종 치료, 뇌수술, 심장수술 등이 있다. 외부 냉각법과 내부 냉각법을 각각 또는 함께 사용하여 저체온의 유도 및 유지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 유도기에는 가능한 빠른...2025.03.29
-
심폐소생술 및 기관 내 삽관2024.11.181. 응급 약물 및 장비 1.1. 응급 약물 1.1.1. Epinephrine Epinephrine은 응급 상황에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약물이다. 주요 적응증은 기관지 천식 발작의 완화, 혈청병, 두드러기, 맥관신경성 부종의 증상 완화, 약물에 의한 쇼크, 심정지의 보조치료, 국소마취제 효력의 지속이다. Epinephrine은 주로 피하(SC) 또는 근육주사(IM) 투여되며, 1회 용량은 0.2~1.0 ml이다. 정맥(IV) 투여 시에는 약 0.25 ml를 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생리식염주사액 등에 희석하여 천천히 주사한다. ...2024.1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