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5개
-
MICU 주요간호2024.10.051. 만성신부전 1.1. 정의 및 단계 만성신부전은 만성적인 신 질환이 수개월 이상 계속되어 기능적 nephron(60%이상)이 불가역적으로 감소함으로써 발생하는 상태이다. 신장의 손상 정도와 기능의 감소 정도에 따라 1단계에서 5단계로 나누어진다. 1단계는 신장 기능 검사상 정상 혹은 소변 검사상 이상이 관찰되는 단계이다. 2단계는 신장 기능이 정상의 69~89%로 약간의 기능 감소가 관찰되는 단계이다. 1~2단계에서는 신장 기능 저하의 원인을 찾아 치료하고, 신장 기능 저하의 진행 여부를 주기적으로 관찰해야 한다. 3단계...2024.10.05
-
미생물검체채취2024.11.081. 병원 내 검체 관리 1.1. 혈액 Sample Bottle 병원 내 검체 관리에서 '혈액 Sample Bottle'은 다양한 검사 항목에 따라 각기 다른 용기를 사용하게 된다. 빨강색 용기는 SERUM 검사를 위해 사용되며, 보라색 용기는 CBC(Complete Blood Count) 검사를 위한 EDTA 처리된 혈액을 담는다. 파랑색 용기는 PT(Prothrombin Time)/PTT(Partial Thromboplastin Time) 검사를, 노랑색 용기는 간기능 검사(LFT)를, 회색 용기는 Glucose 검사를 위해 ...2024.11.08
-
혈액배양2024.10.171. 혈액배양검사(Blood culture) 1.1. 목적 혈액배양검사의 목적은 혈액 내 미생물이 있는지 확인하여 세균, 진균 또는 그 부산물로 인한 독성이 신체에 해를 끼치고 있는 패혈증의 증상을 가지고 있는 경우 원인균주를 찾기 위함이다."혈액 내 어떤 미생물이 있다면, 그 미생물(원인균주)을 없애기 위해 적합한 항생제를 선택하여 환자에게 투여하고 치료를 시행"하기 위해 혈액배양검사를 실시한다. 1.2. 검사 방법 1.2.1. 준비물 및 채혈절차 혈액배양검사를 시행할 때 준비물과 채혈절차는 다음과 같다. 준비물에는 D-se...2024.10.17
-
염증성 심장질환 간호진단2024.10.201. 서론 1.1. 연구의 의의 및 필요성 심내막염은 즉시 적절한 치료를 하지 않으면 매우 위험한 합병증을 야기할 수 있지만, 다행히 심장병이 있는 환자의 경우 그 빈도가 매우 낮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 및 필요성이 있다. 드물게는 심장병이 없는 사람에서도 발생하지만, 감염성 심내막염의 진단과 치료는 지속적인 발전에도 불구하고 사망률이 여전히 20~30%로 매우 높은 실정이다. 따라서 성공적인 치료를 위해서는 정확한 진단, 합병증의 조기 발견 및 적절한 치료의 선택이 매우 중요하다. 이에 감염성 심내막염 환자를 대상으로 치료와 간...2024.10.20
-
심박출량 감소와 관련된 활동 지속성2024.11.151. 서론 1.1. 연구의 의의 및 필요성 심내막염은 즉시 적절한 치료를 하지 않으면 매우 위험한 합병증이나 다행히 심장병이 있는 환자라도 그 빈도는 매우 낮다. 아주 드물게는 심장병이 없는 사람에서도 발생한다. 그러나 감염성 심내막염의 진단과 치료는 지속적인 발전에도 사망률은 20~30%로 여전히 매우 높은 질환이다. 따라서 성공적인 치료를 위해서는 정확한 진단, 합병증의 조기 발견 및 적절한 치료의 선택이 중요하다. 그렇기 때문에 감염성 심내막염 환자를 대상으로 치료와 간호, 원인, 증상, 합병증에 대해 많은 것들을 공부하고,...2024.1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