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1개
-
대장균 형질전환2024.09.131. 대장균의 형질전환 1.1. 서론 대장균이 가지고 있지 않은 외부 유전자를 인위적으로 삽입하여 대장균의 본래의 형질을 전환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유전자 조작을 통해 형질 전환 시킨 대장균은 유용한 물질을 대량 생산할 수 있다. 따라서 이는 생명공학에서 매우 중요한 기술이라고 할 수 있다. 우린 이 대장균을 이용하여 형질 전환을 시키는 것이다. 1.2. 형질전환의 원리 형질전환의 원리는 다음과 같다. 세균이 다른 세균의 DNA를 받아들여 자신의 염색체에 삽입하는 것을 의미하며, 이를 통해 세균은 유전적 다양성을 확보할 수 있다....2024.09.13
-
genomic dna preparation2024.10.031. 서론 1.1. 실험 목적 실험 목적은 각자 채취한 혈액으로부터 DNA 추출 Kit를 사용하여 Genomic DNA를 추출하고, Spectrometer(Nano Drop)를 이용하여 추출된 DNA의 Optical Density를 측정하여 DNA의 농도를 계산하는 것이다. 또한 DNA의 종류와 DNA 추출 방법을 알아보고, 흡광도 측정에 의한 DNA 농도 계산 및 순도측정의 원리를 알아보는 것이다. DNA는 용액 내 Chaotropic salt의 존재 하에서 silica 표면에 잘 결합하며, 본 실험에서 사용되는 DNA Extr...2024.10.03
-
생화학실험 Ligation 및 형질전환 보고서2024.10.111. 개요 1.1. 플라스미드와 박테리아 형질 전환 플라스미드는 박테리아 세포 내에서 존재하는 작은 환형 DNA 분자이다. 플라스미드는 염색체 DNA와는 독립적으로 복제되고 유지되며, 박테리아 세포에 유용한 유전자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형질 전환은 외래 DNA를 박테리아 세포 내로 도입하여 새로운 유전 형질을 발현시키는 과정이다. 플라스미드는 박테리아의 형질 전환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플라스미드는 replication origin, 선별 마커 유전자, 클로닝에 필요한 제한효소 인식 부위 등의 주요 요소를 포함하고 있다....2024.10.11
-
Gene cloning2024.09.301. 유전자 클로닝 1.1. 유전자 클로닝의 개요 유전자 클로닝이란 생물체의 특정 유전자를 세포에서 추출한 후, 그 유전자를 벡터 DNA에 삽입하고 Competent Cell에서 증식시킴으로써 균일한 유전자 집단을 생성하는 기술이다. 다른 말로 유전자 클론화라고도 하며 특정 유전자의 대량 복제를 위해 쓰이는 중요한 DNA 재조합 기술이다. 이 기술은 기본적으로 수많은 종의 유전체와 종간 유전적 다양성을 연구하기 위해서 유전체의 DNA 조각, 혹은 서로 겹쳐져 있는 염기서열의 분석을 위해 활용된다. 또한 개별 유전자 수준에서 핵산의...2024.09.30
-
분자세포생물학 실험 모듈12024.09.281. 세포 관찰 및 분류 1.1. 동물 세포와 식물 세포의 차이 관찰 동물 세포와 식물 세포는 여러 가지 측면에서 서로 구분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첫째, 식물 세포는 동물 세포와 달리 세포막 바깥에 단단하고 반복되는 형태의 세포벽이라는 구조를 가진다. 이로 인해 식물 세포는 관찰했을 때 규칙적인 모습을 보이게 된다. 둘째, 세포소기관의 구성에서도 차이가 나타난다. 식물 세포는 광합성을 담당하는 엽록체를 가지고 있으며, 동물 세포보다 훨씬 큰 크기의 액포를 포함하고 있다. 반면 동물 세포에만 존재하는 소기관으로는 중심체와 리소좀...2024.09.28
-
플라스미드 추출2024.11.101. 플라스미드 DNA 추출 1.1. 플라스미드의 정의와 특성 플라스미드는 세포 내에서 세대를 통해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전달되지만 염색체와는 독립적으로 존재하고 자율적으로 번식하는 유전자를 총칭하는 말이다. 진핵세포의 미토콘드리아나 엽록체 속에 들어 있는 DNA는 일반적으로 오르가넬 DNA라고 불리며 구별된다. 플라스미드는 세균의 생존에 필수적이지는 않지만 유전자의 존재로 인해 결합 전이(F 인자), 항생제에 대한 저항성(R 인자), 항균성의 합성(콜리신 인자)으로서의 기능을 한다. 또한 토양 박테리아에 존재하는 Ti 플라스미드와...2024.11.10
-
대장균 고체배지 배양 실험2024.11.131. 서론 1.1. 대장균의 특성 대장균은 간균에 속하는 장내세균의 하나로, 주로 온혈 동물의 창자에서 많이 볼 수 있다"." 특히 대장에 많이 서식하기 때문에 대장균이라고 부르며, 장 속에 사는 대부분의 대장균은 비병원성 박테리아들이라서 문제가 없지만, 대장균이 장 이외의 부위에 들어가거나, 장 속에서도 특정한 항원을 가진 병원성 대장균은 염증이나 식중독을 일으키는 경우가 있다"." 하지만 해롭지 않은 변종은 대장에서 우리와 공생하며 살아가는 공생동물이다"." 대장균들은 비타민 K2 등을 생산하여 이로움을 주기도 하며, 창자에서...2024.11.13
-
전기영동 및 플라스미드 추출, 식물 유전자 분석2024.11.301. Agarose Gel 만들기 및 DNA 전기영동 1.1. Agarose Gel 만들기 1% Agarose gel을 만드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우선 1× TAE 용액 100㎖에 Agar를 1g을 섞어서 1%로 만든다. 그 다음 전자레인지를 사용하여 완전히 녹일 수 있도록 열을 가한다. 또한 magnetic bar와 stirrer를 이용하여 녹일 수도 있지만 전자레인지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편리한 방법이다. 그 후 EtBr을 Agarose gel 용액에 1X만큼 넣어준다. EtBr은 DNA를 염색하는 역할을 하는 물질이다....2024.11.30
-
원핵세포 진핵세포 질병 유전2025.01.091. 원핵세포와 진핵세포의 구조와 기능 1.1. 원핵세포의 특징 원핵세포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원핵세포는 핵막이 없는 생물이며, 전부 단세포 생물이다. 원핵세포는 진핵생물과 달리 DNA를 담고 있는 핵양체를 가지고 있다. 원핵세포에는 편모가 있어 운동성을 가지며, 플라스미드라는 작은 원형 DNA 분자도 갖고 있다. 리보솜은 'rRNA + 단백질'로 구성되며, 단백질 합성을 수행한다. 원핵세포는 세포막을 가지고 세포 내부와 외부를 구분한다. 일부 원핵세포에는 세포벽 바깥에 협막이라는 큰 구조물이 존재한다. [] 원핵세포는 유전물...2025.01.09
-
대장균 형질전환 실험보고서2024.08.241. 서론 1.1. 대장균의 특성과 중요성 대장균(Escherichia coli)은 그람음성의 간균이며, 포자 생성을 하지 않고 섭씨 37도에서 쉽게 자랄 수 있다. 대장균은 Theodor Esherich의 이름을 따서 발견되어 명명되었으며, 크기는 1-2 microns x 30-30 micron (1 micron = 0.001 mm)이다. 정상적인 인간의 장에는 감염되지 않는 대장균이 1kg 가량 들어 있는데, 이는 장내 세균총의 일부로 건강에 유익하다. 하지만 대장균 박테리아는 배설물과 함께 나와 식중독과 같은 질병을 일으킬 ...2024.08.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