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1개
-
산과 염기의 성질 및 용액의 색 변화2024.09.181. 산과 염기 1.1. 산과 염기의 정의 산과 염기는 화학반응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두 가지 물질이다. 산은 수소 이온(H+)을 내놓는 물질이며, 염기는 수산화 이온(OH-)을 내놓는 물질이다. 산과 염기는 서로 반대되는 성질을 갖고 있어 반응하면 중화 반응이 일어나 중성 용액이 된다. 산은 물에 녹으면 수소 이온(H+)을 내놓는데, 이 수소 이온이 많을수록 산의 농도가 높아진다. 예를 들어 염산(HCl)은 물에 녹으면 다음과 같은 반응이 일어난다. HCl + H2O → H3O+ + Cl- 이처럼 수소 이온이 많이 ...2024.09.18
-
용액의제조및표준화2024.10.061. 화학실험 용액의 제조 및 표준화 1.1. 실험 이론 1.1.1. 농도 농도는 일정한 영역 내에 존재하는 물질의 양을 말한다. 농도는 모든 종류의 혼합물에 적용되지만, 화학에서는 일반적으로 용액에 존재하는 용질의 상대적인 양을 말한다. 용액에서 용질의 농도는 용액의 부피에 대한 용질의 양으로 표현되며, 이를 통해 용질의 상대적인 양을 나타낼 수 있다. 농도를 표현하는 방법에는 질량 농도, 몰 농도, 부피 농도 등이 있다. 질량 농도는 단위 부피 당 용질의 질량으로 표현되고, 몰 농도는 단위 부피 당 용질의 몰수로 표현된다. ...2024.10.06
-
용해도곱상수의결정2024.09.191. 용해도 곱 상수 결정 1.1. 실험 목적 이번 실험의 목적은 공통이온효과를 이용하여 수산화칼슘 포화용액의 용해도 곱 상수를 결정하는 것이다." 1.2. 실험 이론 및 과제조사 1.2.1. 용어 정리 1.2.1.1. 용해도 용해도는 어떤 온도에서 용매 100g에 최대로 녹을 수 있는 용질의 질량(g으로 표시)을 말한다. 용질의 종류가 다르면 특정 온도에서 용해도가 달라지므로 용해도는 물질의 특성이 된다. 즉, 용해도는 일정한 온도에서 용매에 녹을 수 있는 용질의 최대량을 말하는 것이다. 또한 용질이 같더라도 용매의 온도가 ...2024.09.19
-
산 염기 적정 동국대2024.10.301. 생활 속의 산, 염기 분석 1.1. 실험 개요 1.1.1. 실험 목적 이 실험의 목적은 적정 실험을 통해 중화 반응을 이해하고, 식초와 이온 음료에 포함된 산의 농도를 측정하는 것이다. 산-염기 적정 실험을 통해 중화 반응의 원리를 이해하고, 표준 용액인 수산화나트륨(NaOH)을 사용하여 식초와 이온 음료 속 산의 농도를 정량적으로 분석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생활 속 화학 물질의 성질과 함량을 파악할 수 있으며, 화학 양론 개념을 실제 사례에 적용해볼 수 있다. 1.1.2. 실험 이론 주기율표에서 알칼리족이나 알칼리 토...2024.10.30
-
알칼리성 표준용액2024.12.101. 산, 알칼리 표준용액의 조제 1.1. 표준용액 표준용액이란 적정(滴定)에 사용되는 용액으로, 이미 정확한 농도를 알고 있기 때문에 다른 미지시료 용액 속에 있는 어떤 물질의 농도를 구할 때에 표준으로 사용된다. 표준용액은 순수한 물질의 일정량을 일정부피의 용매에 녹이는 것만으로 표준용액이 되는 것과, 대략의 농도를 갖는 용액을 만든 다음에 표준용액으로 그 농도를 정확하게 측정하는 것이 있다. 이러한 조작을 표정(標定, standardization)이라고 한다. 표준용액으로 사용되기 위해서는 ① 분석물과 빠르게 반응해야 하...2024.12.10
-
적정 실험2025.03.171. 서론 1.1. 실험 목적 05M 수산화나트륨 용액을 제조할 수 있다. 일차표준물질인 프탈산수소칼륨을 이용해 표정할 수 있다. 표준용액으로 산, 염기 적정을 함으로써 미지시료의 농도를 결정할 수 있다. 1.2. 실험 이론 표준 용액은 농도를 이미 아는 용액이며, 적정에서 미지 용액의 농도를 확인할 때 사용된다. 표준화란 적정에 쓰이는 용액의 정확한 농도를 알아내는 것이다. 표준화하려는 물질이 일차 표준 물질인 경우와 일차 표준 물질이 아닌 경우에는 각각 다른 방법으로 구한다. 표준물질과 표준용액은 적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2025.03.17
-
Naoh khp2025.03.291. Background & Abstract 배경 및 초록 이산화 탄소의 헨리 상수를 정확히 측정하는 것이 본 실험의 목적이다. 먼저 1차 표준물질인 KHP로 수산화 나트륨 용액을 적정하여 용액의 농도를 표준화한다. 그 후 이 표준화된 수산화 나트륨 용액을 드라이아이스로 포화시킨 이산화탄소 용액과 적정하여 이산화탄소 용액의 농도를 구한다. 이제 기체 용해도와 헨리 상수, 기체분압과의 관계식인 헨리의 법칙을 이용하여 이산화탄소의 헨리 상수(KH)를 구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드라이아이스의 승화, 기체의 용해, 약산의 산 적정 개념...2025.03.29
-
헨리 상수2025.03.251. Background & Abstract 이산화 탄소의 용해도는 생물의 진화부터 시작해, 오늘날 우리의 실생활까지 밀접한 연관이 있다. 탄산음료에 녹아 있는 이산화 탄소가 온도가 올라감에 따라 기체 방울로 올라오기도 하고 기체의 용해도는 잠수부들이 잠수병을 조심해야 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이번 실험에서는 1기압의 이산화 탄소와 평형을 이룬 것으로 생각되는 탄산수를 NaOH를 적정하는 과정을 통해 헨리 상수를 구해 볼 것이다. 이 과정에서 기체의 용해, 약산의 산 적정 등에 대해서도 고찰할 수 있었다. 2. Methods NaOH...2025.03.25
-
전공기초실험 식초2025.04.041. 실험 제목 식초 중의 아세트산 정량 식초(vinegar)는 약간의 아세트산이 들어있어 신맛이 나는 액체 조미료이다. 식초에는 약 3~5%의 아세트산이 함유되어 있다. 이번 실험에서는 시판 식초를 0.1N 수산화나트륨(NaOH) 용액으로 적정하여 식초 중의 아세트산(CH3COOH) 함유율을 구하고자 한다. 아세트산과 수산화나트륨은 약산과 강염기의 중화반응을 일으킨다. 이 반응에서 생성되는 초산나트륨은 가수분해되어 pH가 7보다 큰 약알칼리성을 띠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중화반응에서는 페놀프탈레인이 종말점 지시약으로 적합하다....2025.04.04
-
전공기초실험 식초2025.04.041. 실험 목적 및 이론 1.1. 식초 중의 아세트산 정량 식초(vinegar)는 아세트산을 약 3~5% 함유하는 산성 조미료이다. 이번 실험은 조미료로 사용되고 있는 시판 식초를 0.1N의 수산화나트륨 표준용액으로 적정하여 식초 안에 들어 있는 아세트산의 함유율을 구하는 것이다. 아세트산(acetic acid)은 대표적인 카복실산 중 하나로, 시판 식초의 주성분이다. 아세트산은 물에 잘 녹으며 수소 원자를 제외하고는 모든 원자가 한 평면 위에 있는 분자 구조를 가지고 있다. 또한 분자 간 수소 결합이 강하게 작용하여 일부는 ...2025.04.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