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52개
-
hemt2024.11.131. HEMT(High Electron Mobility Transistor) 1.1. 용어 설명 HEMT(High Electron Mobility Transistor)는 전자의 이동도가 높은 트랜지스터를 뜻한다. 일반적인 전계효과 트랜지스터(FET)의 특징이라 볼 수 있는 입력과 출력의 양 전극간에 흐르는 전류를 제3의 게이트 전극의 전압으로 제어 방식을 따르므로 HEMT는 일종의 FET 소자라고 볼 수 있다. 연산속도는 피코초에 이르며, 초전도물질을 이용한 조셉슨소자와 함께 차기 슈퍼 컴퓨터 연산처리 장치 (CPU:Central...2024.11.13
-
핵심이 보이는 전자회로 개정판2024.10.091. 반도체 개요 1.1. 반도체의 정의 전기가 반쯤 통하는 성질, 전기를 잘 통하지 않게 하는 이와 같은 것들을 부도체 또는 절연체라 하고, 전기를 잘 통하게 하는 양도체, 간단히 도체라고 한다. 그런데 이 세상에는 제작자의 의도에 의해 도체도 될 수 있고, 부도체도 될 수 있는 성질을 가진 것이 있는데 이것을 반도체라고 부른다. 반도체는 원하는 대로 저항의 크기를 조절하거나 빛을 내는 등 특별한 성능을 가질 수 있어, 전자 산업 발전의 핵심 역할을 하고 있다. 우리 주위의 모든 전자제품에는 반도체로 만든 조그마한 부품들이 들어...2024.10.09
-
광전자공학실험2 침입자2024.11.121. 침입자 경보기의 회로 1.1. 회로의 작동 원리 회로의 작동 원리는 다음과 같다" 1. 회로도에서 창문의 전선이 끊어졌을 때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와 이미터 간의 전압이 0.6V 정도 되면 컬렉터와 이미터 간의 도통이 되어 전압강하가 0.1V로 낮아진다. 이때 나머지 8.9V의 전압이 부저에 걸려 부저가 울리게 된다. 2. 창문의 전선이 연결되어 있을 때는 검출 전선이 연결되어 있는 상태이다. 트랜지스터의 베이스 전압과 전지의 0V 사이에 검출 전선이 연결되어 베이스전압이 0V가 된다. 이에 따라 트랜지스터의 전위 장벽을 넘...2024.11.12
-
인천대 신소재2024.08.151. 서론 1.1. 반도체 소자의 중요성 반도체 소자는 현대 전자 기술의 근간을 이루는 핵심 부품이다. 반도체 소자의 중요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반도체 소자는 전자 기기의 핵심 부품으로 활용되고 있다. 다이오드와 트랜지스터와 같은 반도체 소자는 전자 회로의 기본 구성 요소로, 전자 기기의 작동과 제어에 필수적인 역할을 한다. 이를 통해 반도체 소자는 현대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을 이끌어왔다. 둘째, 반도체 소자의 소형화와 집적화 기술 발전으로 전자 기기의 소형화와 고성능화가 가능해졌다. 과거 진공관으로 구성된 전자 기기는 부...2024.08.15
-
지스트2024.09.091. 트랜지스터의 구조와 동작 1.1. NPN, PNP접합 NPN과 PNP 접합은 트랜지스터의 구조와 동작을 이해하는 데 필수적이다. NPN 접합은 두 개의 N형 반도체 사이에 얇은 P형 반도체를 끼운 구조이며, PNP 접합은 그 반대의 구조를 갖는다. NPN 접합의 경우, 에미터는 N형 자유전자를 매우 많이 가지고 있으며 베이스는 P형으로 전공의 양이 에미터보다 훨씬 적어야 한다. 또한 베이스의 두께는 매우 얇아야 한다. 에미터와 베이스 간 PN 접합이 순방향이 되도록 전압을 걸면 약간의 에미터-베이스 간 전압 Veb로 큰 ...2024.09.09
-
수학탐구보고서2024.08.301. 지구자기장과 원환면의 수학적 탐구 1.1. 주제 선정 배경 및 목적 영어독해와 작문시간에 지구의 여러 가지 북극에 대한 지문을 배우다가 지문에서 언급 된 자북극이 무엇인지 고민을 하게 되었다. 다양한 인터넷 자료와 관련 서적들을 통해 알아보니 현재 우리가 배우고 있는 지구과학의 '가까워지는 우주'중 천체 단원과 관련이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지구과학 시간에 배웠던 내용을 바탕으로 조금 더 깊이 자북극에 대해 들어가 보니 지구를 하나의 자석으로 보았을 때 만들어지는 자기장을 발견하였다. 그 모양이 기하학적인 도형을 띄고 ...2024.08.30
-
전자회로2024.09.031. 전자회로의 기본 개념 1.1. 회로의 구성 요소 회로의 구성 요소는 전자회로를 구성하는 여러 가지 전기적 부품을 말한다. 회로의 기본 구성 요소에는 저항(Resistor, R), 커패시터(Capacitor, C), 인덕터(Inductor, L)가 있다. 저항은 전기 에너지를 열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기능을 하는 소자로, 옴의 법칙에 따라 전압, 전류, 저항 간의 관계가 결정된다. 전기 회로에서는 전압 강하와 전류 제한 등의 목적으로 사용된다. 커패시터는 전기 에너지를 전기장의 형태로 저장했다가 필요할 때 다시 내보내는 소자...2024.09.03
-
Multisim2025.03.101. 서론 Multisim은 전자회로 설계 및 시뮬레이션을 수행할 수 있는 대표적인 프로그램이다. 본 보고서에서는 Multisim을 활용하여 RLC 직렬 회로와 RLC 병렬 회로의 특성을 이해하고, 제너 다이오드의 동작 원리 및 전압조절기 실험, 트랜지스터의 컬렉터 특성과 스위칭 작용, 다이오드 클리퍼 및 클램퍼 회로의 구동 특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전자회로 설계 및 해석 능력을 향상시키고, 실험과 시뮬레이션을 통해 이론적 지식을 실제 적용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2. RLC 직렬 회로의 특성 2.1....2025.03.10
-
울산대 전기전자2025.03.101. 발진기 회로의 동작 원리 1.1. RC 결합 발진기 안정화 발진기의 한 종류인 RC 결합 발진기는 저항과 커패시터 조합으로 이루어져 있다. 저항과 커패시터의 시정수에 의해 발진 주기가 결정되며, 이를 이용하여 일정한 주기를 갖는 정현파나 구형파를 출력할 수 있다. RC 결합 발진기는 저항과 커패시터로 구성된 RC 네트워크에 증폭기를 연결하여 구현한다. 증폭기의 출력이 RC 네트워크의 입력으로 되돌려져 적절한 위상차와 이득을 가지면 발진이 발생한다. 증폭기의 전압이득이 1보다 크고 위상천이가 180도가 되도록 설계하면 발진...2025.03.10
-
전자공학과 면접2025.03.111. 서론 4차 산업혁명과 더불어 발달하는 인공지능으로 인해 미래에 어떤 직장에서 어떤 일을 할 수 있을지에 대한 의문이 생기기 시작했다. 이는 곧 미래에 대한 불안감으로 이어졌다. 중학교 3학년 동안 무기력하게 지내다 고등학교 원서를 접수하는 기간이 다가오면서 이렇게 무기력하게 살다가는 죽을 바에야 이 세상에서 무언가를 이루고 싶다는 충동이 강하게 들기 시작했다. 이에 전공 탐구 캠프를 준비하게 되었다. 4차 산업혁명에 생기는 기술과 그로 인해 생기는 직업, 특히 전자공학과 관련된 직업들을 위주로 살펴봄으로써 전자공학자라는 자신의...2025.03.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