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8개
-
동물실험 반대 5분 발표하기2024.10.251. 동물 복제 1.1. 동물 복제의 역사 인류 역사에서 동물의 개체 발생은 암수 생식세포간의 수정에 의해서만 가능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1950년대 초반부터 동물 복제에 대한 시도가 있었다. 1952년 킹과 브릭스는 개구리의 체세포핵을 다른 수정란에 이식하는 핵치환 기술에 성공하였다. 이후 1970년대에 존 거든이 개구리 수정란의 핵을 다른 개구리 난자에 이식시켜 올챙이까지 키우는데 성공하면서 양서류에서의 동물 복제 가능성이 제시되었다. 이어서 1983년 마우스의 1세포기 수정란의 전핵을 치환하여 새끼를 얻는데 성공하는 등...2024.10.25
-
융합바이오화학과 지원동기2024.10.111. 생명공학 개요 1.1. 생명공학의 정의 생명공학은 "생물의 새로운 기능을 이용하는 새로운 Bio기술"을 의미한다. 즉, 생물의 지식을 탐구하고 이를 응용하여 첨단과학기술을 발전시킨다는 뜻이다. 생명공학기술의 계기가 된 것은 1973년 미국의 S. Cohen 등이 개발한 유전자 재조합기술이다. 이 기술은 시험관 내에서 이종의 DNA를 결합시켜 재조합 DNA분자를 만들고 이를 생세포에 도입하는 것이다. 이러한 유전자공학 기술을 통해 insulin 등 유용물질을 대량으로 합성할 수 있게 되었다. 생명공학기술은 단순히 기술적 진전뿐...2024.10.11
-
생명과학 실험 플라스미드 DNA 정제2024.10.091. 실험 개요 1.1. 실험 목적 Plasmid DNA의 원형을 유지하려는 구조적 특성을 이용하며 alkaline lysis prep method를 이용하여 plasmid DNA를 분리해본다. DNA Purification을 한 후 Agarose gel 전기영동을 통해 DNA를 크기별로 분리하여 확인한다. 1.2. 실험 원리 플라스미드(Plasmid)는 DNA에 존재하는 유전자 정보 중 염색체(chromosome) DNA와는 별도로 독립적으로 복제되는 대표적인 에피솜(episome) DNA 분자이다. 플라스미드 DNA는 일반적으...2024.10.09
-
플라스미드 추출2024.11.101. 플라스미드 DNA 추출 1.1. 플라스미드의 정의와 특성 플라스미드는 세포 내에서 세대를 통해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전달되지만 염색체와는 독립적으로 존재하고 자율적으로 번식하는 유전자를 총칭하는 말이다. 진핵세포의 미토콘드리아나 엽록체 속에 들어 있는 DNA는 일반적으로 오르가넬 DNA라고 불리며 구별된다. 플라스미드는 세균의 생존에 필수적이지는 않지만 유전자의 존재로 인해 결합 전이(F 인자), 항생제에 대한 저항성(R 인자), 항균성의 합성(콜리신 인자)으로서의 기능을 한다. 또한 토양 박테리아에 존재하는 Ti 플라스미드와...2024.11.10
-
특정 유전자를 선택하여 T-Vector에 삽입시키고 이를 E-Coli 내에 transformation 시켜 형질전환 박테리아를 선택적으로 배양2024.11.171. 형질전환(Transformation) 1.1. 개념 및 원리 1.1.1. 형질전환의 정의 형질전환(transformation)이란 세포가 외부 DNA를 받아들여 자신이 갖고 있던 DNA와 결합함으로써 세포의 유전형질에 변화가 나타나는 현상을 말한다. 이러한 형질전환은 세균에서 흔히 관찰되며, 인공적인 유전자 조작을 통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어떤 세포가 외부의 DNA를 받아들일 수 있는 생리적 상태에 있는 것을 '유능(Competent)'하다고 하며 그러한 상태를 '유능성(Competence)'이라고 한다. 원래 자연스...2024.11.17
-
화학물질에 의한 유전자 변형2024.12.011. 유전자 변형 식품(GMO) 1.1. 유전자 변형 식품의 개념 및 개발 방법 1.1.1. DNA 변형을 통한 농작물의 형질전환 DNA 변형을 통한 농작물의 형질전환이란, 식물세포에 직접 DNA를 삽입하여 새로운 유전자를 도입함으로써 특정 형질을 발현시키는 방법이다. 이는 유전자 재조합 기술의 대표적인 방법으로, 농작물의 생산성 향상, 품질 개선, 환경 적응성 증대 등을 위해 활용된다. 식물 세포에 외래 유전자를 도입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목적하는 유전자를 분리하고, 이 유전자를 식물 발현용 벡터에 삽입한다. 이 발...2024.12.01
-
GMO2024.08.161. 서론 1.1. GMO의 개념과 개발 동기 GMO(Genetically Modified Organism)는 인간이 인위적으로 유전자를 재조합하거나 삽입하여 만든 생명체를 의미한다. GMO의 개발 동기는 크게 두 가지로 볼 수 있다. 첫째,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인구와 감소하는 경지면적으로 인해 안정적인 식량 수급이 어려워졌기 때문이다. 과거의 전통적인 육종 기술로는 생산량 증대에 한계가 있었지만, GMO 기술은 작물의 수량, 품질, 내병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어 식량 문제 해결의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둘째, 화석연료 과...2024.08.16
-
유전자 재조합2024.08.301. 유전자 재조합 기술 1.1. 유전자 재조합의 개념 유전자 재조합이란 특정 표현형으로 발현하는 DNA를 확인하고 분리해낸 DNA 단편을 다른 DNA 단편과 융합시켜 재조합 DNA를 만드는 기술이다. 유전자 재조합을 한 후 증폭을 통해 재조합한 DNA를 다량 얻어야 하므로 조작이 쉽고 클로닝이 가능한 플라스미드 DNA를 주로 사용한다. 플라스미드 DNA란 벡터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으로, 염색체와 독립하여 존재하지만 복제가 가능하며, 때로는 염색체에 삽입이 가능한 염색체 외의 DNA로 안정적으로 유전되지만 숙주 세포의 생장과 ...2024.08.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