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개
-
임상미생물 S.aureus, S.epidermidis, M. luteus2024.09.231. 미생물 분리 및 동정 1.1. 실험 목적 이 실험의 목적은 균을 장기간 보관할 수 있는 stock solution와 균을 배양학 위한 LB agar 배지를 직접 제작해보고, 이 과정에서 마이크로피펫을 포함한 다양한 실험 기구들의 사용방법을 익히는 것이다. 또한 PCR과 겔 전기영동의 원리를 이해하고 이를 활용해 배양한 균의 염기서열을 직접 산출해낸다. 산출된 염기서열을 sequencing과정을 통해 미생물의 종을 확인해보며 Hydrolysis test, 그람염색법 그리고 Oxidase, catalase test을 이용해 실험...2024.09.23
-
세균 계수2024.10.161. 세균 계수 실험 1.1. 실험 목표 실험 목표는 액체시료 내에 존재하는 세균의 수를 십진 희석법을 통해 평판 계수법으로 측정하는 것이다. 정량적인 세균 수 측정을 통해 식품 내 미생물 오염 정도를 파악할 수 있다. 이는 식품 위생 및 안전성 평가에 중요한 지표가 된다. 1.2. 재료 및 기구 멸균 생리식염수, 검체, 튜브, 파이펫, TSA, 스프레더, 알코올램프, vortex mixer가 실험에 사용되었다. 멸균 생리식염수는 검체의 세균을 희석하는데 사용되며, 튜브와 파이펫은 검체와 희석액을 옮기는데 사용된다. TSA(Try...2024.10.16
-
bacitracin optochin2024.11.031. 주변 상재균 검사 1.1. 배지 관찰 실험 결과 관찰에 따르면, 냉난방기의 필터에서 채취한 균은 한 개의 작은 colony가 형성되었고, 정수기에서는 균이 검출되지 않았다. 실험대에서는 하얀색과 노란색의 두 종류의 colony가 관찰되었고, 손톱 밑에서 채취한 균이 가장 큰 규모의 노란색 colony를 형성하였다. 그 주위로 작은 하얀색 colony들도 형성된 것을 볼 수 있었다. 이러한 관찰 결과로 볼 때, 손톱 밑에서 채취한 균이 가장 많은 양의 세균이 존재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1.2. Gram staining 결과 관...2024.1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