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4개
-
만성신부전케이스2024.09.261. 만성신부전의 정의와 병인 1.1. 정의 만성 신질환(Chronic Kidney Disease, CKD)은 점진적이고 비가역적인 신장기능의 손상 상태를 의미한다. 즉, 3개월 이상 지속되는 신장손상이 있거나 사구체여과율(Glomerular Filtration Rate, GFR)이 60 mL/min/1.73m² 미만인 경우로 정의된다. 신장은 적응력이 높은 장기이기 때문에 신장질환은 네프론이 상당히 상실될 때까지 인지하기 어렵다. 때문에 만성 신질환 환자의 약 70%는 질환을 인식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만성 신질환은 질병의...2024.09.26
-
MICU 주요간호2024.10.051. 만성신부전 1.1. 정의 및 단계 만성신부전은 만성적인 신 질환이 수개월 이상 계속되어 기능적 nephron(60%이상)이 불가역적으로 감소함으로써 발생하는 상태이다. 신장의 손상 정도와 기능의 감소 정도에 따라 1단계에서 5단계로 나누어진다. 1단계는 신장 기능 검사상 정상 혹은 소변 검사상 이상이 관찰되는 단계이다. 2단계는 신장 기능이 정상의 69~89%로 약간의 기능 감소가 관찰되는 단계이다. 1~2단계에서는 신장 기능 저하의 원인을 찾아 치료하고, 신장 기능 저하의 진행 여부를 주기적으로 관찰해야 한다. 3단계...2024.10.05
-
인공신장실 케이스2024.10.01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말기 신질환은 신장의 기능이 정상인의 10% 이하로 감소하여 생명 유지가 불가능하게 되는 질환을 의미한다. 이러한 말기 신질환 환자에게는 혈액 투석, 복막 투석, 신장 이식 등의 신대체 요법이 필요하다.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만성신부전은 평생 혈액투석 또는 복막투석을 받거나 신장이식을 해야 하는 대표적인 질병이다. 혈액투석을 오랜 기간 받게 되면서 지혈을 하며 발생하는 자극들로 인해 발적이 생기기도 하며, 일부는 접촉성 피부염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이에 대한 ...2024.10.01
-
비뇨기계 구조와 병태생리 정리2024.10.101. 비뇨기계 질환 1.1. 감염성 질환 1.1.1. 요로감염 요로감염(urinary Tract Infections)은 인체에서 가장 흔한 세균성 감염 중 하나로, 주로 대장균(Escherichia coli)에 의해 발생한다. 여성은 남성에 비해 해부학적 구조상 요도가 짧고 넓으며 항문 가까이에 위치하고 있어 감염 발생 가능성이 높다. 특히 임신이나 성생활 등의 과정에서 세균이 방광으로 유입되어 요로감염이 발생할 수 있다. 반면 남성은 전립선 비대와 잦은 배뇨로 인해 노인층에서 요로감염이 자주 발생하는 편이다. 또한 선천...2024.10.10
-
혈당검사 목적2024.11.071. 신장과 요로계의 구조와 기능 1.1. 신장의 구조와 기능 신장은 적갈색의 강낭콩 모양을 한 기관으로 좌우 2개가 복벽 후면에 고정되어 있다."" 신장의 길이는 약 11~12cm, 너비 약 6.5cm, 두께 약 2.5cm이며 무게는 약 100g이다."" 신장의 움푹 들어간 부분인 힐럼(hilum)은 혈관, 림프, 신경, 요관이 신장으로 들어가는 부위이다."" 신장은 겉질(renal cortex)과 수질(renal medulla)로 구성되어 있으며, 겉질에는 여과 단위인 신소체(renal corpuscle)와 신세뇨관(renal...2024.11.07
-
아동간호학 급성사구체신염 사례 연구2024.11.081. 서론 1.1. 연구 배경 및 목적 사구체신염은 신장의 여과 부위인 사구체에 염증반응이 생겨 발생하는 신질환을 총칭하는 말로 줄여서 신장염 혹은 신염이라 불리기도 한다. 사구체신염에는 급성으로 진행되는 것과 만성으로 서서히 심해지는 것이 있고, 급성진행성 사구체신염이라는 특이한 유형도 있다. 그리고 어린이들의 신장병에는 급성 사구체신염이 많고 만성 사구체신염은 드문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늦은 가을부터 이른 봄에 걸쳐 많이 발생되는 질병으로 감기나 편도염 다음에 발병되는 경우가 많다고 하였고 입원하는 환아들이 조금씩 늘어감...2024.11.08
-
아동 급성사구체신염 간호진단 사례 연구2024.11.081. 서론 사구체신염은 신장의 여과 부위인 사구체에 염증반응이 생겨 발생하는 신질환을 총칭하는 말이다. 이는 급성으로 진행되는 것과 만성으로 서서히 심해지는 것이 있고, 급성진행성 사구체신염이라는 특이한 유형도 있다. 어린이들의 신장병에는 급성 사구체신염이 많고 만성 사구체신염은 드문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늦은 가을부터 이른 봄에 걸쳐 많이 발생되는 질병으로 감기나 편도염 다음에 발병되는 경우가 많다고 하였고 입원하는 환아들이 조금씩 늘어감에 따라 급성사구체신염에 대해서 연구해 보아야겠다고 생각하게 되었다. 이런 중요한 문제가...2024.11.08
-
nephrotic syndrome 성인2024.10.221. 서론 ○○○ 병원의 ○○병동은 콩팥·요로계, 항암치료 병동으로 ARF, CRF, UTI 등 다양한 질병을 가진 환자분들과 항암치료를 받는 분들이 계신 병동이다. 많은 환자들 중 ○○○환자는 혈당을 재고, vital을 측정할 때 항상 누워계시고, 화장실을 갈 때를 제외하곤 하루의 대부분을 침대에 누워 생활하시며, 다리를 누르면 누른 자국이 빨리 회복되지 않는 것을 보며 환자 ○○○의 질병에 대하여 궁금하였다. ○○○환자분의 질병은 헨리고리에 장애가 생겨 다량의 단백뇨와 저알부민혈증, 부종, 고지혈증을 일으키는 질병인 Nephro...2024.10.22
-
신장 기능 저하와 관련된 체액 과다 a2024.11.231. 신증후군(Nephrotic Syndrome) 1.1. 정의 신증후군(Nephrotic Syndrome)은 다량의 단백뇨와 저알부민혈증, 부종, 고지혈증 등의 특징을 보이는 질병이다. 신장의 사구체를 이루는 모세혈관에 이상이 생겨 혈액 내의 단백질이 신장으로 빠져나가 다량의 단백뇨가 나오고, 이로 인해 몸 안의 단백질이 소실되어 저알부민혈증(hypoalbuminemia)이 발생하게 된다. 저알부민혈증에 의해 혈액 중의 수분이 혈관 밖으로 빠져나오면서 피부 밑에 고여 부종이 나타나게 된다. 1.2. 병태생리 일차성 신증후군은 사...2024.11.23
-
만성 신장 질환 병태생리2024.10.221. 만성 신장질환의 이해 1.1. 정의 및 분류 만성 신장질환은 진행성이고 불가역성 장애로 신기능은 회복되지 않는다. 부적절한 신기능으로 생명을 유지할 수 없는 만성 신장질환을 말기 신질환(end-stage kidney disease; ESKD)이라고 한다. 신기능손실은 사구체 여과율에 따라 5단계를 포함한다. ESKD로의 진행은 보통 사구체여과율(GFR)이 점진적으로 감소되면서 시작한다. 첫 단계인 1단계(Stage 1)에서는 정상 신기능 상태로 GFR(분당 90mL 이상)이 정상이고 신질환이 없는 상태이다. 그러나 신 예...2024.1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