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0개
-
단백질 발현 실험 목적2024.09.261. 단백질 발현과 정제 1.1. 실험 목적 단백질 발현의 목적은 특정 유전자를 통해 얻고자 하는 단백질을 대량 생산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단백질 정제의 목적은 단백질을 순도 높게 분리 및 정제함으로써 수많은 단백질 중 원하는 단백질만을 얻기 위함이다. 1.2. 실험 이론 및 원리 단백질 발현의 재조합 DNA 기법은 외부 유전자를 플라스미드 벡터에 삽입하여 숙주 세포에 도입하면 마치 숙주 세포의 유전자처럼 발현되는 기법이다. 알로락토오스와 유사한 IPTG를 이용해 Lac repressor와 결합하게 함으로써 lac opera...2024.09.26
-
대장균 배양 단백질 발현 실험 목적2024.09.261. 실험 개요 1.1. 실험 목적 실험 목적은 재조합 단백질(Naa30)을 정제하는 것이다. 세포는 여러 종류의 단백질을 만들어내는데, 이 중 특정한 단백질을 얻어내기 위해 단백질 정제가 이뤄진다. 내생적 단백질(endogenous)은 자연적으로 세포 내에 존재하지만 낮은 농도로 존재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정제가 어렵다. 반면 재조합 단백질(recombinant)은 외부 유전자를 플라스미드 벡터에 삽입하여 숙주 세포에 도입한 후 발현되는 단백질이다. 재조합 단백질은 과 발현이 가능하며 정제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태그(tag)를 ...2024.09.26
-
단백질정제 및 정량2024.09.281. 서론 1.1. eGFP의 정의 및 특성 eGFP(enhanced Green Fluorescent Protein)는 Aequorea victoria에서 발견된 GFP(Green Fluorescent Protein)를 변형시킨 단백질이다. eGFP는 GFP의 아미노산 중 64번째 phenylalanine이 leucine으로, 65번째 serine이 threonine으로 변이된 돌연변이체이다. eGFP는 GFP보다 더 많은 빛을 흡수할 수 있어 단백질 정량 실험에서 더 높은 효율을 보인다. eGFP는 293개의 아미노산으로 구...2024.09.28
-
5X His tagged2024.09.281. 실험 개요 1.1. 단백질 정제 기술 단백질 정제 기술은 목적 단백질을 다른 불순물들로부터 분리하여 순수하게 얻어내는 방법이다. 이를 위해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 기술이 사용되며, 그중에서도 친화성 크로마토그래피(Affinity chromatography)가 널리 사용된다. 친화성 크로마토그래피는 특정 리간드와 단백질 사이의 결합 특이성을 이용하여 목적 단백질을 분리하는 방법이다. 그 중 하나가 금속이온 친화성 크로마토그래피(Immobilized metal ion affinity chromatography, IMAC)이다. ...2024.09.28
-
Induction sds2024.10.171. 단백질 발현 분석 1.1. 실험 개요 실험 개요는 단백질 발현 분석을 위한 전반적인 실험 과정을 설명한다. 이 실험은 대장균(E. coli)에서 특정 유전자를 발현시켜 단백질을 생산하고, SDS-PAGE를 통해 발현된 단백질을 확인하는 것이 주요 목적이다. 우선, 대장균 세포에 목적 유전자가 도입된 발현 벡터를 형질전환하여 균주를 만든다. 이 균주를 배양하면서 IPTG를 처리하여 Lac operon 시스템을 활성화시켜 단백질 발현을 유도한다. 발현된 단백질은 세포 용해 과정을 거쳐 추출하고, SDS-PAGE를 통해 단백질...2024.10.17
-
생화학 정리2024.10.121. 생화학의 기초 1.1. 아미노산의 구조 아미노산의 구조는 3차원적 입체구조를 가지고 있다. 아미노산 분자의 중심이 되는 부분은 α-탄소 원자이며, 이 α-탄소 원자에는 네 개의 기능기가 연결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아미노기(-NH2), 카르복실기(-COOH), 수소(-H), 그리고 곁사슬(-R그룹)이 연결되어 있다. 곁사슬(-R그룹)의 종류에 따라 20종류의 서로 다른 아미노산이 존재한다. 이들 각각의 아미노산은 고유한 화학적 성질과 생물학적 기능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친수성, 소수성, 염기성, 산성 등의 성질을 나...2024.10.12
-
단백질 발현, 정제 보고서를 써줘2024.10.121. 생명과학실험Ⅰ 실험보고서 1.1. 실험배경 1.1.1. 세포 내 단백질 발현 세포 내 단백질 발현은 생명체의 기본적인 생명 활동을 이해하는 데에 매우 중요한 과정이다. 세포는 살아가기 위해 필요한 다양한 단백질을 끊임없이 합성하고 있으며, 이러한 단백질들은 세포 내에서 복잡한 네트워크를 이루며 상호작용하며 세포의 구조와 기능을 유지한다. 세포 내에서 원래부터 만들어지는 단백질을 내생적(endogenous) 단백질이라고 하며, 세포는 수만 개 이상의 다양한 내생적 단백질들을 끊임없이 생산해내고 있다. 이러한 내생적 단백질...2024.10.12
-
단백질 정제 및 발현에서 cell lysis와 sonication 보고서를 써줘2024.10.131. 단백질 정제 1.1. 실험배경 1.1.1. 재조합 단백질 발현 재조합 단백질 발현이란 외부 유전자를 플라스미드 벡터에 삽입한 후, 이를 숙주세포에 도입하여 단백질을 발현하는 기법이다. 이를 통해 내생적 단백질에 비해 훨씬 높은 양의 단백질을 생산할 수 있으며, 정제 및 검출을 위한 태그(tag)를 부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재조합 단백질 발현 실험에서 사용되는 pET28a 벡터는 kanamycin 항생제에 대한 저항성 유전자인 KanR을 갖고 있다. 따라서 배양액에 kanamycin을 첨가하면 KanR을 갖고 있는 ...2024.10.13
-
식품화학 정리2024.10.131. 서론 1.1. 식품의 선택조건 식품은 사람이 섭취하는 것이 기본적인 특성이므로 식품을 선택할 때는 영양가, 위생적 성질, 기호적 가치, 경제적 측면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첫째, 영양가는 식품의 중요한 선택조건이다. 식품은 인간의 성장과 건강유지에 필요한 열량과 영양소를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식품에 함유된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비타민, 무기질 등의 영양성분이 균형을 이루고 있는지를 고려해야 한다. 둘째, 식품의 위생적 성질이 중요하다. 식품이 병원성 미생물에 의해 오염되었거나 유해 화학물질이 혼입되...2024.10.13
-
SDS page2025.03.271. SDS PAGE 1.1. SDS PAGE의 정의와 특징 SDS PAGE(Sodium Dodecyl Sulfate 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는 단백질을 분리해내는 기술로, 전기영동 이동성을 이용하는 방법이다. 단백질을 구성하는 아미노산 서열의 길이, 분자량, 3차원 접힘 구조 등의 요인에 따라 나타나는 전기적 이동 특성을 이용하여 단백질을 분리할 수 있다. 핵산 전기영동에는 주로 아가로스 겔을 사용하지만, 단백질 전기영동에는 폴리아크릴아마이드 겔을 사용한다. 아크릴아마이드 단량체와 교차결합...2025.03.27